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6,395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7년 4월 4일 (화) 07:10: Nekosandesu (토론 | 기여)님이 사바나 기후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 차이)

편집에서 바뀐 내용

그런데, 연 강수량이 1000mm 이하(500mm 이상)라면 건기가 있을 경우 무조건 사바나 기후가 된다.
그런데, 연 강수량이 1000mm 이하(500mm 이상)라면 건기가 있을 경우 무조건 사바나 기후가 된다.


'''여기서 겨울 온도를 +18℃ 이하로 낮춘게 바로 한국이 속한 온대하우기후/냉대동계건조기후이다.'''--나주 평야 발발이 치와와!--
==기후 특성==
==기후 특성==
비슷하게 건기가 있는 [[열대몬순 기후]]에 비해서 건조하다. 열대기후와 다른 기후의 경계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열대기후]]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비슷하게 건기가 있는 [[열대몬순 기후]]에 비해서 건조하다. 열대기후와 다른 기후의 경계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열대기후]]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65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Nekosandesu'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31084401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 1 => 'user', 2 => 'autoconfirmed' ]
문서 ID (page_id)
51739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사바나 기후'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사바나 기후'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분류:기후]] *Tropical savanna climate, Tropical wet and dry climate ==개요== [[열대기후]]중 건기가 있는 [[기후]]. 쾨펜의 기후 분류에 의하면 Aw, As로 구분한다. Aw는 여름이, As는 겨울이 우기다. 정확히는 건기의 월 강수량이 60mm보다 적고, (100-연강수량/25)mm보다 적은 기후.<ref>https://en.wikipedia.org/wiki/Tropical_savanna_climate</ref> 예를 들어서 연 강수량이 2000mm인 곳이 있으면 건기의 월 강수량이 20mm보다 적어야 한다. 그런데, 연 강수량이 1000mm 이하(500mm 이상)라면 건기가 있을 경우 무조건 사바나 기후가 된다. ==기후 특성== 비슷하게 건기가 있는 [[열대몬순 기후]]에 비해서 건조하다. 열대기후와 다른 기후의 경계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열대기후]]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그 외에, [[사바나기후]]는 주로 [[대기 대순환]]의 적도 저압대와 중위도 고압대의 영향을 받지만, 열대몬순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주로 받는다. [[건조기후]]지역과 붙어있는 경우, 사막화가 진행될 때 꽤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대표적인 지역이 [[아프리카]]의 사헬/[[사하라 사막|사하라]]랑 붙어있는 사바나 지역이다. 사막이 확장하면서 이쪽 지역의 사바나를 야금야금 침범하고 있는 상황. ==식생== 이름답게 사바나, 즉 초원 식생이 주로 자란다. 이 경우 나무는 비교적 드물고, 다큐멘터리의 중요한 무대가 된다. 숲이 자라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열대 건조림이라고 부른다. 건조한 곳에서는 주로 유목을 하며, 수수와 같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한 작물을 재배하기도 한다. 반면, 비교적 습한 곳에서는 우기에 벼농사를 짓기도 한다. {{각주}}'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분류:기후]] *Tropical savanna climate, Tropical wet and dry climate ==개요== [[열대기후]]중 건기가 있는 [[기후]]. 쾨펜의 기후 분류에 의하면 Aw, As로 구분한다. Aw는 여름이, As는 겨울이 우기다. 정확히는 건기의 월 강수량이 60mm보다 적고, (100-연강수량/25)mm보다 적은 기후.<ref>https://en.wikipedia.org/wiki/Tropical_savanna_climate</ref> 예를 들어서 연 강수량이 2000mm인 곳이 있으면 건기의 월 강수량이 20mm보다 적어야 한다. 그런데, 연 강수량이 1000mm 이하(500mm 이상)라면 건기가 있을 경우 무조건 사바나 기후가 된다. '''여기서 겨울 온도를 +18℃ 이하로 낮춘게 바로 한국이 속한 온대하우기후/냉대동계건조기후이다.'''--나주 평야 발발이 치와와!-- ==기후 특성== 비슷하게 건기가 있는 [[열대몬순 기후]]에 비해서 건조하다. 열대기후와 다른 기후의 경계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열대기후]]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그 외에, [[사바나기후]]는 주로 [[대기 대순환]]의 적도 저압대와 중위도 고압대의 영향을 받지만, 열대몬순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주로 받는다. [[건조기후]]지역과 붙어있는 경우, 사막화가 진행될 때 꽤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대표적인 지역이 [[아프리카]]의 사헬/[[사하라 사막|사하라]]랑 붙어있는 사바나 지역이다. 사막이 확장하면서 이쪽 지역의 사바나를 야금야금 침범하고 있는 상황. ==식생== 이름답게 사바나, 즉 초원 식생이 주로 자란다. 이 경우 나무는 비교적 드물고, 다큐멘터리의 중요한 무대가 된다. 숲이 자라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열대 건조림이라고 부른다. 건조한 곳에서는 주로 유목을 하며, 수수와 같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한 작물을 재배하기도 한다. 반면, 비교적 습한 곳에서는 우기에 벼농사를 짓기도 한다. {{각주}}'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7,6 +7,7 @@ 그런데, 연 강수량이 1000mm 이하(500mm 이상)라면 건기가 있을 경우 무조건 사바나 기후가 된다. +'''여기서 겨울 온도를 +18℃ 이하로 낮춘게 바로 한국이 속한 온대하우기후/냉대동계건조기후이다.'''--나주 평야 발발이 치와와!-- ==기후 특성== 비슷하게 건기가 있는 [[열대몬순 기후]]에 비해서 건조하다. 열대기후와 다른 기후의 경계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열대기후]]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 '
새 문서 크기 (new_size)
2074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여기서 겨울 온도를 +18℃ 이하로 낮춘게 바로 한국이 속한 온대하우기후/냉대동계건조기후이다.'''--나주 평야 발발이 치와와!--'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91257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