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4,125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7월 26일 (화) 18:20: YiReun (토론 | 기여)님이 에버노트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웹사이트 정보
| 이름            = 에버노트
| 패비콘          = Evernote_favicon.png
| 로고            = evernote_logo_center_512.png
| 로고 크기      =
| 로고설명        =
| 그림            =
| 그림2          =
| 그림3          =
| 그림 크기      =
| 설명            =
| url            = {{URL|https://www.evernote.com/}}
| 표어            =
| 영리 여부      = 영리
| 종류            =
| 회원 가입      = 필수
| 언어            =
| 사용자 수      = 1억 5천만명 이상<ref>2015년 12월, [https://blog.evernote.com/ko/2015/12/18/4-million-users-in-korea/ Evernote Blog (ko)]</ref>
| 콘텐츠 라이선스 =
| 프로그래밍 언어 =
| 소유자          = Evernote Corporation
| 제작자          = Stepan Pachikov
| 편집자          =
| 운영자          = Evernote Corporation
| 시작일          = 2007년
| 종료일          = <!-- {{종료일|YYYY|MM|DD}} -->
| 수익            =
| [[알렉사 인터넷|알렉사]] 순위          =
| ip              =
| 현재 상태      = 운영 중
| 각주            =
}}
[[분류:웹 사이트]]
[[분류: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메모 클라우드 서비스. 메모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나 문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라는 카테고리와 태그를 통해 자료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고 찾을 수 있다.
2007년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엔진파이브의 창업자였던 필 리빈 (Phil Libin)이 첨단 이미지 인식 기술을 연구하는 러시아 과학자 스티판 파치코드 (Stepan Pachikov)를 만나며 시작되었다.<ref>[https://blog.evernote.com/ko/2013/01/17/evernote-120/ Evernote Blog (ko)]</ref>
브라우저에 [https://evernote.com/intl/ko/webclipper/ Evernote Web Clipper]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OS의 공유 기능 통해 저장할 수 있다.
경쟁 서비스인 [[원노트]]에도 웹 클리퍼 기능이 있으나, 에버노트가 웹 페이지의 HTML 정보를 가져오는 데 반해 원노트는 단순히 이미지로 캡쳐하는 방식이다.
한국에는 2011년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한국 지사를 세우고 사용자 컨퍼런스를 여는 등 한국 시장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2016년 6월 28일에는 [https://blog.evernote.com/ko/2016/06/28/evernotekoreaforumlaunch/ 한국어 포럼을 열었다]. 이는 영어 [[포럼]]에 더해 일본어, 브라질/포루투칼어, 스페인어에 이은 네 번째 언어별 포럼이다. [https://discussion.evernote.com/forum/289-korean-discussions/ Evernote 한국어 포럼]
전 대학 교수인 [[김정운]]이 저서 '에디톨로지'와 강연에서 여러 번 언급하며 에버노트 사용자임을 밝혔다.<ref>[https://youtu.be/I9-ziD54Fns 김정운 교수 "창조는 편집에 있다" 영림원CEO포럼에서 강연], [https://blog.evernote.com/ko/2015/01/08/drkim_editology/ 내 삶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김정운 박사의 에디톨로지 도구는?]</ref> 만화 '[[미생]]'의 작가로 유명한 [[윤태호]]는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활용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ref>[http://it.donga.com/22431/ 에버노트, 일상의 변화를 이끌다 '유저 컨퍼런스 2015']</ref>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48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YiReun'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2350954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에버노트'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에버노트'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문서 생성'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웹사이트 정보 | 이름 = 에버노트 | 패비콘 = Evernote_favicon.png | 로고 = evernote_logo_center_512.png | 로고 크기 = | 로고설명 = | 그림 = | 그림2 = | 그림3 = | 그림 크기 = | 설명 = | url = {{URL|https://www.evernote.com/}} | 표어 = | 영리 여부 = 영리 | 종류 = | 회원 가입 = 필수 | 언어 = | 사용자 수 = 1억 5천만명 이상<ref>2015년 12월, [https://blog.evernote.com/ko/2015/12/18/4-million-users-in-korea/ Evernote Blog (ko)]</ref> | 콘텐츠 라이선스 = | 프로그래밍 언어 = | 소유자 = Evernote Corporation | 제작자 = Stepan Pachikov | 편집자 = | 운영자 = Evernote Corporation | 시작일 = 2007년 | 종료일 = <!-- {{종료일|YYYY|MM|DD}} --> | 수익 = | [[알렉사 인터넷|알렉사]] 순위 = | ip = | 현재 상태 = 운영 중 | 각주 = }} [[분류:웹 사이트]] [[분류: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메모 클라우드 서비스. 메모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나 문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라는 카테고리와 태그를 통해 자료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고 찾을 수 있다. 2007년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엔진파이브의 창업자였던 필 리빈 (Phil Libin)이 첨단 이미지 인식 기술을 연구하는 러시아 과학자 스티판 파치코드 (Stepan Pachikov)를 만나며 시작되었다.<ref>[https://blog.evernote.com/ko/2013/01/17/evernote-120/ Evernote Blog (ko)]</ref> 브라우저에 [https://evernote.com/intl/ko/webclipper/ Evernote Web Clipper]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OS의 공유 기능 통해 저장할 수 있다. 경쟁 서비스인 [[원노트]]에도 웹 클리퍼 기능이 있으나, 에버노트가 웹 페이지의 HTML 정보를 가져오는 데 반해 원노트는 단순히 이미지로 캡쳐하는 방식이다. 한국에는 2011년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한국 지사를 세우고 사용자 컨퍼런스를 여는 등 한국 시장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2016년 6월 28일에는 [https://blog.evernote.com/ko/2016/06/28/evernotekoreaforumlaunch/ 한국어 포럼을 열었다]. 이는 영어 [[포럼]]에 더해 일본어, 브라질/포루투칼어, 스페인어에 이은 네 번째 언어별 포럼이다. [https://discussion.evernote.com/forum/289-korean-discussions/ Evernote 한국어 포럼] 전 대학 교수인 [[김정운]]이 저서 '에디톨로지'와 강연에서 여러 번 언급하며 에버노트 사용자임을 밝혔다.<ref>[https://youtu.be/I9-ziD54Fns 김정운 교수 "창조는 편집에 있다" 영림원CEO포럼에서 강연], [https://blog.evernote.com/ko/2015/01/08/drkim_editology/ 내 삶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김정운 박사의 에디톨로지 도구는?]</ref> 만화 '[[미생]]'의 작가로 유명한 [[윤태호]]는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활용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ref>[http://it.donga.com/22431/ 에버노트, 일상의 변화를 이끌다 '유저 컨퍼런스 2015']</ref>'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46 @@ +{{웹사이트 정보 +| 이름 = 에버노트 +| 패비콘 = Evernote_favicon.png +| 로고 = evernote_logo_center_512.png +| 로고 크기 = +| 로고설명 = +| 그림 = +| 그림2 = +| 그림3 = +| 그림 크기 = +| 설명 = +| url = {{URL|https://www.evernote.com/}} +| 표어 = +| 영리 여부 = 영리 +| 종류 = +| 회원 가입 = 필수 +| 언어 = +| 사용자 수 = 1억 5천만명 이상<ref>2015년 12월, [https://blog.evernote.com/ko/2015/12/18/4-million-users-in-korea/ Evernote Blog (ko)]</ref> +| 콘텐츠 라이선스 = +| 프로그래밍 언어 = +| 소유자 = Evernote Corporation +| 제작자 = Stepan Pachikov +| 편집자 = +| 운영자 = Evernote Corporation +| 시작일 = 2007년 +| 종료일 = <!-- {{종료일|YYYY|MM|DD}} --> +| 수익 = +| [[알렉사 인터넷|알렉사]] 순위 = +| ip = +| 현재 상태 = 운영 중 +| 각주 = +}} +[[분류:웹 사이트]] +[[분류: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메모 클라우드 서비스. 메모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나 문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라는 카테고리와 태그를 통해 자료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고 찾을 수 있다. + +2007년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엔진파이브의 창업자였던 필 리빈 (Phil Libin)이 첨단 이미지 인식 기술을 연구하는 러시아 과학자 스티판 파치코드 (Stepan Pachikov)를 만나며 시작되었다.<ref>[https://blog.evernote.com/ko/2013/01/17/evernote-120/ Evernote Blog (ko)]</ref> + +브라우저에 [https://evernote.com/intl/ko/webclipper/ Evernote Web Clipper]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OS의 공유 기능 통해 저장할 수 있다. + +경쟁 서비스인 [[원노트]]에도 웹 클리퍼 기능이 있으나, 에버노트가 웹 페이지의 HTML 정보를 가져오는 데 반해 원노트는 단순히 이미지로 캡쳐하는 방식이다. + +한국에는 2011년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한국 지사를 세우고 사용자 컨퍼런스를 여는 등 한국 시장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2016년 6월 28일에는 [https://blog.evernote.com/ko/2016/06/28/evernotekoreaforumlaunch/ 한국어 포럼을 열었다]. 이는 영어 [[포럼]]에 더해 일본어, 브라질/포루투칼어, 스페인어에 이은 네 번째 언어별 포럼이다. [https://discussion.evernote.com/forum/289-korean-discussions/ Evernote 한국어 포럼] + +전 대학 교수인 [[김정운]]이 저서 '에디톨로지'와 강연에서 여러 번 언급하며 에버노트 사용자임을 밝혔다.<ref>[https://youtu.be/I9-ziD54Fns 김정운 교수 "창조는 편집에 있다" 영림원CEO포럼에서 강연], [https://blog.evernote.com/ko/2015/01/08/drkim_editology/ 내 삶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김정운 박사의 에디톨로지 도구는?]</ref> 만화 '[[미생]]'의 작가로 유명한 [[윤태호]]는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활용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ref>[http://it.donga.com/22431/ 에버노트, 일상의 변화를 이끌다 '유저 컨퍼런스 2015']</ref> '
새 문서 크기 (new_size)
3452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웹사이트 정보', 1 => '| 이름 = 에버노트', 2 => '| 패비콘 = Evernote_favicon.png', 3 => '| 로고 = evernote_logo_center_512.png', 4 => '| 로고 크기 = ', 5 => '| 로고설명 = ', 6 => '| 그림 = ', 7 => '| 그림2 = ', 8 => '| 그림3 = ', 9 => '| 그림 크기 = ', 10 => '| 설명 = ', 11 => '| url = {{URL|https://www.evernote.com/}}', 12 => '| 표어 = ', 13 => '| 영리 여부 = 영리', 14 => '| 종류 = ', 15 => '| 회원 가입 = 필수', 16 => '| 언어 = ', 17 => '| 사용자 수 = 1억 5천만명 이상<ref>2015년 12월, [https://blog.evernote.com/ko/2015/12/18/4-million-users-in-korea/ Evernote Blog (ko)]</ref>', 18 => '| 콘텐츠 라이선스 = ', 19 => '| 프로그래밍 언어 = ', 20 => '| 소유자 = Evernote Corporation', 21 => '| 제작자 = Stepan Pachikov', 22 => '| 편집자 = ', 23 => '| 운영자 = Evernote Corporation', 24 => '| 시작일 = 2007년', 25 => '| 종료일 = <!-- {{종료일|YYYY|MM|DD}} -->', 26 => '| 수익 = ', 27 => '| [[알렉사 인터넷|알렉사]] 순위 = ', 28 => '| ip = ', 29 => '| 현재 상태 = 운영 중', 30 => '| 각주 = ', 31 => '}}', 32 => '[[분류:웹 사이트]]', 33 => '[[분류: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34 =>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메모 클라우드 서비스. 메모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나 문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라는 카테고리와 태그를 통해 자료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고 찾을 수 있다. ', 35 => '', 36 => '2007년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엔진파이브의 창업자였던 필 리빈 (Phil Libin)이 첨단 이미지 인식 기술을 연구하는 러시아 과학자 스티판 파치코드 (Stepan Pachikov)를 만나며 시작되었다.<ref>[https://blog.evernote.com/ko/2013/01/17/evernote-120/ Evernote Blog (ko)]</ref> ', 37 => '', 38 => '브라우저에 [https://evernote.com/intl/ko/webclipper/ Evernote Web Clipper]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OS의 공유 기능 통해 저장할 수 있다. ', 39 => '', 40 => '경쟁 서비스인 [[원노트]]에도 웹 클리퍼 기능이 있으나, 에버노트가 웹 페이지의 HTML 정보를 가져오는 데 반해 원노트는 단순히 이미지로 캡쳐하는 방식이다. ', 41 => '', 42 => '한국에는 2011년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한국 지사를 세우고 사용자 컨퍼런스를 여는 등 한국 시장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2016년 6월 28일에는 [https://blog.evernote.com/ko/2016/06/28/evernotekoreaforumlaunch/ 한국어 포럼을 열었다]. 이는 영어 [[포럼]]에 더해 일본어, 브라질/포루투칼어, 스페인어에 이은 네 번째 언어별 포럼이다. [https://discussion.evernote.com/forum/289-korean-discussions/ Evernote 한국어 포럼]', 43 => '', 44 => '전 대학 교수인 [[김정운]]이 저서 '에디톨로지'와 강연에서 여러 번 언급하며 에버노트 사용자임을 밝혔다.<ref>[https://youtu.be/I9-ziD54Fns 김정운 교수 "창조는 편집에 있다" 영림원CEO포럼에서 강연], [https://blog.evernote.com/ko/2015/01/08/drkim_editology/ 내 삶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김정운 박사의 에디톨로지 도구는?]</ref> 만화 '[[미생]]'의 작가로 유명한 [[윤태호]]는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활용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ref>[http://it.donga.com/22431/ 에버노트, 일상의 변화를 이끌다 '유저 컨퍼런스 2015']</ref>'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69524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