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1,315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1월 25일 (월) 23:41: Vfx (토론 | 기여)님이 KTX-산천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 차이)

편집에서 바뀐 내용

{{철도차량 정보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차량명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량수 = 10
|편성구조 = <ref>Pc-T-T-T-T-T-T-T-T-Pc</ref>
|동력방식 =
|전기방식 = 교류 25kV
|제어방식 = VVVF-IGBT
|기관형식 =
|전동기형식 = 1C2M
|기어비 =
|차륜배열 =
|차륜직경 =
|기동가속도 =
|영업최고속도 = 305
|설계최고속도 = 350
|감속도 =
|기관출력 =
|전동기출력 = 1,100
|편성출력 =
|출력 =
|견인력 =
|용도 =
|차량정원 =
|편성정원 = 363
|편성길이 = 201,270
|전장 =
|전폭 = 2970
|전고 = 4100
|차량중량 =
|편성중량 = 403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구동장치 =
|MT비 = 2M 8T
|보안장치 =
|구동방식 =
|제동방식 =
|설계사 =
|제작사 = 현대로템
|제작연도 =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생산량 =
|사용량 =
|도입단가 =
|비고 =
}}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 연접대차를 채용했다. 현대로템에서 모든 편성을 제작하였다. KTX-I에 없었던 스낵 코너가 생기고 좌석 피치도 좀 넓어졌다.


[[새마을호]] PP 동차때 하다가 폐지된 [[복합열차]]가 부활했다. 호남고속철도-[[전라선]] 복합열차와 경부고속철도-[[경전선]] 복합열차가 있었으나 경전선은 수요 폭발로 복합열차가 엎어지고 KTX-I까지 들어오게 된다. [[동해선]] KTX 개통 이후에 경전선-동해선 복합열차 운행중.
==개요==
== 110000호대 KTX-산천 ==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이다. 제작은 [[현대로템]]이 담당하였고, 해당 열차에 적용된 기술의 대부분은 기술시험기였던 [[HSR-350X]]에서 검증된 것들이 적용되었다. [[KTX-I]]과의 유사점은 [[연접대차]], 싱글암 [[접전장치|팬터그래프]] 정도이며 외부 형상 및 내부 인테리어는 KTX-I과의 공통점이 거의 없을정도로 대폭 개량되었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
 
==세부 모델==
=== 110000호대 KTX-산천 ===
{{참조|KTX-산천 (11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File:KTX Sancheon.jpg|300px]]
|[[File:KTX Sancheon.jpg|300px]]
|-
|-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KTX-I에서 승객들의 불만을 야기했던 일반석의 고정형 역방향 좌석을 삭제하고 회전식 좌석을 도입했다.
 
=== 120000호대 KTX-산천 ===
{{참조|KTX-산천 (12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 [[파일:KTX-SANCHEON.jpg|300px]]
|-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
|}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일반실도 전 좌석 리클라이닝이 가능해졌다. 순방향 좌석만 있다는 뜻.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도입 초기에는 잦은 고장으로 몸살을 앓았다. 오죽하면 코레일이 제작사인 현대로템에 소송을 걸어서 승소할 정도.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역사내의 열차 안내 전광판에서도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어 110000호대와 구분한다.


== 120000호대 KTX-산천 ==
=== SR 130000호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
{{참조|SR 130000호대}}
| [[파일:KTX-SANCHEON.jpg|300px]]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 [[파일:sr_130000i.jpg|300px]]
|-
|-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창원의 [[현대로템]] 공장에서 출고된 SR 1호기
|}
|}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도입 초기에 전광판에서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는 일이 있었다.
[[수도권고속철도]]를 운영하게 될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SR (기업)|SR]]에서 발주한 차량. SR측은 이 차량을 10편성 100량 주문했다. 기본적으로 KTX-산천 120000호대와 큰 차이가 없지만 내부 인테리어나 열차의 안전운행에 관련된 소소한 업그레이드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원주-강릉선]] 고속열차==
[[File:KTX-산천 병풍.jpg|300px]]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강릉역]]에서 거행된 원주-강릉선 기공식에 참석하였고, 그 뒤에 KTX-산천 24호기가 병풍신세(...)로 먼길을 디젤기관차에 끌려와서<ref>당시 [[솔안터널]]이 개통되기 이전이라 무려 [[나한정역]] [[스위치백]]을 디젤기에 견인되어 넘어왔다(!!!). [[태백선]]이나 [[영동선]]은 전철화가 되어있지만 워낙 쩔어주는 급구배 구간과 스위치백같은 장애물이 많아서 KTX-산천의 자력주행은 어려웠을 것이다.</ref> 전시되었던 것으로 미뤄보아 해당 노선에 KTX-산천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까지 남은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힘들다는 현실상 120000호대나 130000호대처럼 일부 사양을 개조<ref>[[대관령터널]]의 구배가 급한 편으로 이에 대비한 출력장치와 제동장치의 보완이 필요한 상태라고 한다.</ref>한 가지치기 모델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각주}}
{{각주}}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2012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Vfx'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24187093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19563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KTX-산천'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KTX-산천'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tru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철도차량 정보 |차량명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량수 = 10 |편성구조 = <ref>Pc-T-T-T-T-T-T-T-T-Pc</ref> |동력방식 = |전기방식 = 교류 25kV |제어방식 = VVVF-IGBT |기관형식 = |전동기형식 = 1C2M |기어비 = |차륜배열 = |차륜직경 = |기동가속도 = |영업최고속도 = 305 |설계최고속도 = 350 |감속도 = |기관출력 = |전동기출력 = 1,100 |편성출력 = |출력 = |견인력 = |용도 = |차량정원 = |편성정원 = 363 |편성길이 = 201,270 |전장 = |전폭 = 2970 |전고 = 4100 |차량중량 = |편성중량 = 403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구동장치 = |MT비 = 2M 8T |보안장치 = |구동방식 = |제동방식 = |설계사 = |제작사 = 현대로템 |제작연도 =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생산량 = |사용량 = |도입단가 = |비고 = }}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 연접대차를 채용했다. 현대로템에서 모든 편성을 제작하였다. KTX-I에 없었던 스낵 코너가 생기고 좌석 피치도 좀 넓어졌다. [[새마을호]] PP 동차때 하다가 폐지된 [[복합열차]]가 부활했다. 호남고속철도-[[전라선]] 복합열차와 경부고속철도-[[경전선]] 복합열차가 있었으나 경전선은 수요 폭발로 복합열차가 엎어지고 KTX-I까지 들어오게 된다. [[동해선]] KTX 개통 이후에 경전선-동해선 복합열차 운행중. == 110000호대 KTX-산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 |[[File:KTX Sancheon.jpg|300px]] |-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일반실도 전 좌석 리클라이닝이 가능해졌다. 순방향 좌석만 있다는 뜻. 도입 초기에는 잦은 고장으로 몸살을 앓았다. 오죽하면 코레일이 제작사인 현대로템에 소송을 걸어서 승소할 정도. == 120000호대 KTX-산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 | [[파일:KTX-SANCHEON.jpg|300px]] |-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도입 초기에 전광판에서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는 일이 있었다. {{각주}} [[분류:전동차]]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목록}}'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개요==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이다. 제작은 [[현대로템]]이 담당하였고, 해당 열차에 적용된 기술의 대부분은 기술시험기였던 [[HSR-350X]]에서 검증된 것들이 적용되었다. [[KTX-I]]과의 유사점은 [[연접대차]], 싱글암 [[접전장치|팬터그래프]] 정도이며 외부 형상 및 내부 인테리어는 KTX-I과의 공통점이 거의 없을정도로 대폭 개량되었다. ==세부 모델== === 110000호대 KTX-산천 === {{참조|KTX-산천 (11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File:KTX Sancheon.jpg|300px]] |-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KTX-I에서 승객들의 불만을 야기했던 일반석의 고정형 역방향 좌석을 삭제하고 회전식 좌석을 도입했다. === 120000호대 KTX-산천 === {{참조|KTX-산천 (12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 [[파일:KTX-SANCHEON.jpg|300px]] |-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역사내의 열차 안내 전광판에서도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어 110000호대와 구분한다. === SR 130000호대 === {{참조|SR 13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 [[파일:sr_130000i.jpg|300px]] |- !창원의 [[현대로템]] 공장에서 출고된 SR 1호기 |} [[수도권고속철도]]를 운영하게 될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SR (기업)|SR]]에서 발주한 차량. SR측은 이 차량을 10편성 100량 주문했다. 기본적으로 KTX-산천 120000호대와 큰 차이가 없지만 내부 인테리어나 열차의 안전운행에 관련된 소소한 업그레이드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원주-강릉선]] 고속열차== [[File:KTX-산천 병풍.jpg|300px]]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강릉역]]에서 거행된 원주-강릉선 기공식에 참석하였고, 그 뒤에 KTX-산천 24호기가 병풍신세(...)로 먼길을 디젤기관차에 끌려와서<ref>당시 [[솔안터널]]이 개통되기 이전이라 무려 [[나한정역]] [[스위치백]]을 디젤기에 견인되어 넘어왔다(!!!). [[태백선]]이나 [[영동선]]은 전철화가 되어있지만 워낙 쩔어주는 급구배 구간과 스위치백같은 장애물이 많아서 KTX-산천의 자력주행은 어려웠을 것이다.</ref> 전시되었던 것으로 미뤄보아 해당 노선에 KTX-산천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까지 남은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힘들다는 현실상 120000호대나 130000호대처럼 일부 사양을 개조<ref>[[대관령터널]]의 구배가 급한 편으로 이에 대비한 출력장치와 제동장치의 보완이 필요한 상태라고 한다.</ref>한 가지치기 모델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각주}} [[분류:전동차]]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목록}}'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77 +1,43 @@ -{{철도차량 정보 -|차량명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량수 = 10 -|편성구조 = <ref>Pc-T-T-T-T-T-T-T-T-Pc</ref> -|동력방식 = -|전기방식 = 교류 25kV -|제어방식 = VVVF-IGBT -|기관형식 = -|전동기형식 = 1C2M -|기어비 = -|차륜배열 = -|차륜직경 = -|기동가속도 = -|영업최고속도 = 305 -|설계최고속도 = 350 -|감속도 = -|기관출력 = -|전동기출력 = 1,100 -|편성출력 = -|출력 = -|견인력 = -|용도 = -|차량정원 = -|편성정원 = 363 -|편성길이 = 201,270 -|전장 = -|전폭 = 2970 -|전고 = 4100 -|차량중량 = -|편성중량 = 403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구동장치 = -|MT비 = 2M 8T -|보안장치 = -|구동방식 = -|제동방식 = -|설계사 = -|제작사 = 현대로템 -|제작연도 =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생산량 = -|사용량 = -|도입단가 = -|비고 = -}}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 연접대차를 채용했다. 현대로템에서 모든 편성을 제작하였다. KTX-I에 없었던 스낵 코너가 생기고 좌석 피치도 좀 넓어졌다. - -[[새마을호]] PP 동차때 하다가 폐지된 [[복합열차]]가 부활했다. 호남고속철도-[[전라선]] 복합열차와 경부고속철도-[[경전선]] 복합열차가 있었으나 경전선은 수요 폭발로 복합열차가 엎어지고 KTX-I까지 들어오게 된다. [[동해선]] KTX 개통 이후에 경전선-동해선 복합열차 운행중. -== 110000호대 KTX-산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 +==개요==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이다. 제작은 [[현대로템]]이 담당하였고, 해당 열차에 적용된 기술의 대부분은 기술시험기였던 [[HSR-350X]]에서 검증된 것들이 적용되었다. [[KTX-I]]과의 유사점은 [[연접대차]], 싱글암 [[접전장치|팬터그래프]] 정도이며 외부 형상 및 내부 인테리어는 KTX-I과의 공통점이 거의 없을정도로 대폭 개량되었다. + +==세부 모델== +=== 110000호대 KTX-산천 === +{{참조|KTX-산천 (11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File:KTX Sancheon.jpg|300px]] |-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일반실도 전 좌석 리클라이닝이 가능해졌다. 순방향 좌석만 있다는 뜻. - -도입 초기에는 잦은 고장으로 몸살을 앓았다. 오죽하면 코레일이 제작사인 현대로템에 소송을 걸어서 승소할 정도.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KTX-I에서 승객들의 불만을 야기했던 일반석의 고정형 역방향 좌석을 삭제하고 회전식 좌석을 도입했다. -== 120000호대 KTX-산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 +=== 120000호대 KTX-산천 === +{{참조|KTX-산천 (12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 [[파일:KTX-SANCHEON.jpg|300px]] |-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역사내의 열차 안내 전광판에서도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어 110000호대와 구분한다. + +=== SR 130000호대 === +{{참조|SR 130000호대}}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 [[파일:sr_130000i.jpg|300px]] +|- +!창원의 [[현대로템]] 공장에서 출고된 SR 1호기 +|} + +[[수도권고속철도]]를 운영하게 될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SR (기업)|SR]]에서 발주한 차량. SR측은 이 차량을 10편성 100량 주문했다. 기본적으로 KTX-산천 120000호대와 큰 차이가 없지만 내부 인테리어나 열차의 안전운행에 관련된 소소한 업그레이드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 +==[[원주-강릉선]] 고속열차== +[[File:KTX-산천 병풍.jpg|300px]]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도입 초기에 전광판에서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는 일이 있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강릉역]]에서 거행된 원주-강릉선 기공식에 참석하였고, 그 뒤에 KTX-산천 24호기가 병풍신세(...)로 먼길을 디젤기관차에 끌려와서<ref>당시 [[솔안터널]]이 개통되기 이전이라 무려 [[나한정역]] [[스위치백]]을 디젤기에 견인되어 넘어왔다(!!!). [[태백선]]이나 [[영동선]]은 전철화가 되어있지만 워낙 쩔어주는 급구배 구간과 스위치백같은 장애물이 많아서 KTX-산천의 자력주행은 어려웠을 것이다.</ref> 전시되었던 것으로 미뤄보아 해당 노선에 KTX-산천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까지 남은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힘들다는 현실상 120000호대나 130000호대처럼 일부 사양을 개조<ref>[[대관령터널]]의 구배가 급한 편으로 이에 대비한 출력장치와 제동장치의 보완이 필요한 상태라고 한다.</ref>한 가지치기 모델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각주}} [[분류:전동차]] '
새 문서 크기 (new_size)
4078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1 => false, 2 => '==개요==', 3 =>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1편성 10량 동력집중식 고속철도 차량이다. 제작은 [[현대로템]]이 담당하였고, 해당 열차에 적용된 기술의 대부분은 기술시험기였던 [[HSR-350X]]에서 검증된 것들이 적용되었다. [[KTX-I]]과의 유사점은 [[연접대차]], 싱글암 [[접전장치|팬터그래프]] 정도이며 외부 형상 및 내부 인테리어는 KTX-I과의 공통점이 거의 없을정도로 대폭 개량되었다.', 4 => false, 5 => '==세부 모델==', 6 => '=== 110000호대 KTX-산천 ===', 7 => '{{참조|KTX-산천 (110000호대)}}', 8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9 => '! [[마산역]]에 정차중인 110000호대', 10 => '{{날짜/출력|2010-3-2}} 영업운행 시작. [[KTX-I]]에서 특실에만 있던 교류 전원 콘센트가 일반실 앞, 뒤 2열에도 생겼다. 일반석의 동반석은 비즈니스석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객차에 몰아서 편성되었으며, KTX-I에서 승객들의 불만을 야기했던 일반석의 고정형 역방향 좌석을 삭제하고 회전식 좌석을 도입했다.', 11 => '=== 120000호대 KTX-산천 ===', 12 => '{{참조|KTX-산천 (120000호대)}}', 13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14 => '![[여수EXPO역]]에서 발차 대기중인 120000호대', 15 => '{{날짜/출력|2015-3-31}} 영업운행 시작. 동호인의 애칭은 '와인산천'. 처음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버전이라고 KTX-호남으로 불렸으나 호남고속선 민간 자본 유치가 엎어진 관계로 [[코레일]]에서 노선을 가리지 않고 넣고 있다. 애초에 코레일이 차량 구분을 그렇게까지 신경쓰지 않은데다 일단 수요가 있는 곳에는 일단 우겨넣고 보는 것이 어찌되었건 이익이기 때문. 여담으로, '''달리안'''이라는 애칭도 있지만 같은 이유로 쓰지 않는다.{{--|다행이다}}', 16 => false, 17 => '전산에서는 KTX'''_'''산천으로 구별되고 있다. 역사내의 열차 안내 전광판에서도 KTX-산천이 아닌 KTX_산천으로 표기되어 110000호대와 구분한다.', 18 => false, 19 => '=== SR 130000호대 ===', 20 => '{{참조|SR 130000호대}}', 2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300px', 22 => '| [[파일:sr_130000i.jpg|300px]]', 23 => '|-', 24 => '!창원의 [[현대로템]] 공장에서 출고된 SR 1호기', 25 => '|}', 26 => false, 27 => '[[수도권고속철도]]를 운영하게 될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SR (기업)|SR]]에서 발주한 차량. SR측은 이 차량을 10편성 100량 주문했다. 기본적으로 KTX-산천 120000호대와 큰 차이가 없지만 내부 인테리어나 열차의 안전운행에 관련된 소소한 업그레이드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28 => false, 29 => '==[[원주-강릉선]] 고속열차==', 30 => '[[File:KTX-산천 병풍.jpg|300px]]', 31 =>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강릉역]]에서 거행된 원주-강릉선 기공식에 참석하였고, 그 뒤에 KTX-산천 24호기가 병풍신세(...)로 먼길을 디젤기관차에 끌려와서<ref>당시 [[솔안터널]]이 개통되기 이전이라 무려 [[나한정역]] [[스위치백]]을 디젤기에 견인되어 넘어왔다(!!!). [[태백선]]이나 [[영동선]]은 전철화가 되어있지만 워낙 쩔어주는 급구배 구간과 스위치백같은 장애물이 많아서 KTX-산천의 자력주행은 어려웠을 것이다.</ref> 전시되었던 것으로 미뤄보아 해당 노선에 KTX-산천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까지 남은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힘들다는 현실상 120000호대나 130000호대처럼 일부 사양을 개조<ref>[[대관령터널]]의 구배가 급한 편으로 이에 대비한 출력장치와 제동장치의 보완이 필요한 상태라고 한다.</ref>한 가지치기 모델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53732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