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 (건축)

서울 망원정

정자(亭子)는 없이 지붕만 씌운 한국중국건축물로, 일종의 휴식 공간이다. 줄여서 (亭)이라고도 하며, 지명이나 문구(文句), 호(號) 등을 붙여서 명명하는 것이 상례다.

역할[편집 | 원본 편집]

주로 경치가 좋은 곳(이른바 포토스팟)에 벽 없이 지붕만 씌운 쉼터를 말한다. 옛부터 내려오건 새로 재건하건, 21세기에도 경치가 좋은 위나 해안가 등지에 실용적인 목적의 정자가 적잖게 남아있다.

훤하게 뚫린 설계 덕에 화면 잡는 것도 쉬우며 조선 시대양반들이 기생을 끼고 술판을 벌였던 장소로도 활용되어서, 사극 및 시대극에서 야외 음주가무 장면의 주요 무대가 되곤 한다. 또한 비슷한 이유로 한식점, 특히 한정식 전문점의 간판명으로도 많이 활용되었다.

한편 문인들이 자연을 벗삼아 공부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정자를 세워 일종의 개인 및 공용 작업장처럼 이용하기도 하였는데, 이런 경우는 소음에 신경을 쓰지 않도록, 주로 마을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곳에 자리하곤 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정자동(亭子洞), 그리고 그 행정구역명에서 가져온 수인분당선 및 수도권 8호선 정자역(亭子驛)의 유래 또한 이런 형태의 "정자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외부 참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정자 문서의 1007422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