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파일:/api/File/Real/59c75ff68e87c2ff7d84ce96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Romeo & Juliet Effect

두 사람의 관계에 반대가 심할수록 그 사랑은 깊어진다?

로미오와 줄리엣[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9c760748e87c2ff7d84ce99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로맨스 소설이 바로 로미오와 줄리엣이다. 이 소설을 아주 짧게 요약하자면 원수 가문 사이의 두 사람이 사랑에 빠져 벌어지는 비극적 로맨스라고 할 수 있다. 두 가문은 서로 못잡아먹어 안달인 사이였으므로 자연히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반대가 아주 극심할 수 밖에 없었고, 이 반대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의 사랑은 점점 커져만 갔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다 그렇듯이 로미오와 줄리엣 또한 수많은 학자들이 연구하고 또, 관련 논문도 많은데, 혹자는 오히려 이들의 사랑에 대한 반대가 많았기 때문에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이 더 깊어졌다고도 해석하기도 한다. 하지 말라고 하면 더욱 하고 싶어지는 청개구리 심보를 자극했기 때문이라고.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원본 편집]

이들의 사랑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고 하며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라고 이름 붙인 논문이 나온 것이 1972년의 일이다. 이 논문은 콜로라도 대학교의 리처드 드리스콜(Richard Driscoll), 키이스 E. 데이비스(Keith E. Daivs), 밀턴 E. 리페츠(Milton E. Lipitz)가 공동저자로 올라가 있다.

해당 논문은이곳에서 살 수 있다. PDF파일을 단 돈 $11.95에 판매하니 곧 죽어도 보고 싶다는 사람은 한 번 구매해보자.

논문의 제목은 『부모의 간섭과 로맨틱한 사랑: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PARENTAL INTERFERENCE AND ROMANTIC LOVE: THE ROMEO AND JULIET EFFECT』이며 말그대로 정확히 로미오와 줄리엣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해당연구는 부모의 간섭이 심할수록 사랑은 더 깊어질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실 실험이라기보다는 설문 조사에 의해 진행되었지만.

연구팀은 결혼을 한 부부와 결혼하지 않은 커플, 140명을 인터뷰했다. 배우자에 대한 감정과 신뢰감, 사랑 등과 부모의 간섭에 대해 설문을 마치고 약 6개월간 그들을 관찰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말 로미오와 줄리엣과 같이 대략적으로 부모의 간섭이 많으면 많을수록 두 사람의 관게가 깊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가 정말 잘 작동한다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이를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라고 이름 지으면서 이 말이 대중에게도 퍼져나갔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누구나 알고 있는 로맨스 소설이었으므로 그 파급력은 꽤 강했다.

하지만 이는 곧 이은 후속연구에 의해 반박되기에 이른다! 1983년에 말콤 파크스(Malcolm Parks)는 비슷한 연구를 실시했는데 이번엔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가 관측되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즉, 파트너의 가족이 반대를 하건말건 그들의 정서적인 애착과는 크게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2001년, 다이애나 펨리(Diane Felmlee)는 좀 더 발전된 연구를 하면서 말콤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즉, 친구나 파트너의 가족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두 사람의 관계가 끝날 확률이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수잔 스프레처(Susan Sprecher)의 또다른 연구는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적 네트워크가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파고 들었는데 여기서도 찬성을 하건 반대를 하건 별 상관없는 것으로 나왔다. 오히려 부모나 주변 사람의 응원과 지지는 관계를 길게 늘리는데 도움을 주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관계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심지어 커플들이 헤어지는 이유 중에 '주변의 반대'가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는 처음에는 소설처럼 로맨틱한 사랑에 대한 근거가 있는 것처럼 느껴졌지만 점차 후속연구들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소설 속 낭만'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혹자의 분석처럼 로미오와 줄리엣은 집안의 반대덕(?)에 사랑을 한 것이 아니라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니까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라는 것은 없지만 이 말이 주는 낭만과 해당 소설의 여운이 이러한 효과가 실제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