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하늘/메모장/역사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편집 | 원본 편집]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朝鮮敎學圖書株式會社)

1938년 설립된 초·중등과정용 및 사범학교용 교재를 번각하여 발행한 교과서전문민간출판기업.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교재를 번각, 발행하는 사업이었으나 광복 직후 한글 첫 걸음을 발행하여 우리말 살리기에 기여를 했다.

아이누인[편집 | 원본 편집]

메이지 시대에는 1877년 홋카이도 지권발행조례가 제정되어 아이누인의 거주지도 관유지가 되어버린다. 1899년 홋카이도구토인보존법이 제정되는데 명목상 아이누인을 도와주는 취지이지만 아이누인을 구토인으로 차별적으로 표현하였고 속내가 의심되는 법이다.

대한제국 개화[편집 | 원본 편집]

https://arca.live/b/city/68656309?p=2

사대부의 등장[편집 | 원본 편집]

오대십국

당의 귀족사회 붕괴하고 새롭게 등장한 형세호(신흥 지주층으로 송대 사회의 지배자층을 형성)를 기반으로 사대부 형성.

개인 능력 중심의 사대부 형성. 원칙적 출신과 무관

지식과 교양을 사회적 특권으로 전환하기 시작.

사회 지도층이 농서를 간행하고 보급하고, 농사로 개발에 적극적으로 개입함.

향약 도입: 주희에 의해 널리 보급.

당 귀족 사회와 사대부 사회의 차이점.

  • ㅡㅡ
  • ㄹㄹ

당나라의 귀족 사회체제와 대비되는 황제체제(문신 관료 체제)의 송나라가 등장. 960년 건국.

국가 행정을 귀족이 맡는게 아닌 사대부가 맡도록함.

조광윤(무인)을 황제로 세우고 건국.

귀족적 질서 무너지고 과거제 위주로 등용 (사실은 공부하는게 매우 힘들어 돈 많은 농부, 상인과 기존 문신의 집안의 사람들만 합격하였다.

치자의식: 사대부가 황제를 대신하여 천하 통치의 책임을 진다.

선천하지우이우

후천하지악이악

(천하 사람들이 근심하기에 앞서 근심하고, 천하 사람들이 즐긴 후에 즐긴다)

다만 합격하기 매우 어렵고 생업에 몰두하는 서민은 생업을 버리고 공부할 수 없었기에 소수의 권력자가 계속 독점하는 문제는 뿌리뽑지 못하였다.

사창(社倉)은 주희에 의해 정착한 일종의 곡물 대여기관.

조선의 사대부

고려 말에 신진사대부가 성립하였다.

무신정권 최우는 실력(문학적 소양, 행정실무 능력)을 갖춘 사람을 관리로 등용. 지방에서 행정 실무 능력을 쌓고 관직에 진출. 사대부 성립.

고려 말 신진사대부 지방 향리, 중소 지주

최근 견해로는 고려 후기 농업생산성이 발전하면서 경제적 안정으로 유교적 소양을 습득한 지식 계층인 사대부가 등장하였다고 함.

성리학 수용

정도전: 기존 정치권력과 연결되어있던 불교를 성리학을 기반으로 비판하였다. (불교 탄압)

성리학의 관학화

임진왜란의 영향[편집 | 원본 편집]

https://bigforest.a2hosted.com/wiki/%EC%9E%84%EC%A7%84%EC%99%9C%EB%9E%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