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대

본부대(本部隊, Headquarters and Service Unit)는 부대의 전투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부대를 말한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말하는 본부대는 지휘부참모부, 지휘부와 참모부에 소속된 병사, 주둔지 경계부대(경비부대), 수송부대, 군악대 등 직할대를 이리저리 찢어내고 남은 부대를 말한다. 전투기능이 거의 없으므로 통상 기행부대로 분류한다.

단, 연대급 이하의 본부중대는 예하에 통신소대, 화력소대 등이 있어 전투부대 중 하나로 본다. 대대본부, 연대본부는 말이 되지만 사단 본부, 군단 본부 등은 말이 안 되는 것과 같은 이치.

구성[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본부 혹은 본부근무라 부르는 편제는 보통 독립여단급 혹은 사단, 군단급 편제의 지휘부와 참모부를 지원하는 부대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대대나 연대급 야전부대는 본부중대를 두고, 작전사령부 이상으로 규모가 커지거나, 통합주둔지(계롱대, 자운대 등)의 근무지원부대를 하나로 묶어 편성하거나, 학교처럼 특수한 경우 "근무지원단"으로 급에서 급 부대로 커지며, 자체적인 통신부대, 군사경찰부대 등이 배치된다. 단, 근무지원단 중 미8군 한국군지원단은 KATUSA 소속부대로 기행부대로 보지 않는다.

야전부대[편집 | 원본 편집]

대대 예하 보병중대도 중대장을 중심으로 작으나마 지휘통제실에 해당하는 상황실(보통 행정반)을 두고 행정보급관 및 행정을 담당하는 계원이 소수 배치되는 정도. 통상 "중대본부" 또는 "본부소대"라고 부른다.

대대의 본부중대는 대대장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작전, 정보, 인사, 군수, 교육, 정훈 등 위관급을 구성된 참모장교들도 배속된다. 이들을 지원하는 행정병 및 대대장을 보좌하는 당번병(운전병이 겸임하는 경우가 대부분), 통신병 등이 포함되며, 연대에서 파견나온 의무반 등이 추가로 편제될 수 있다. 나이 든 사람은 "치중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부중대장은 대위가 아니라 통상 말년 중위나 대위(진)이 보임된다. 기본적으로 상급 지휘관에 직접 배속되는 인원이고, 전투중대보다 인원이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연대급은 대대급의 구성과 유사하나 연대 본부 주둔지 한 울타리 안에 수색, 지원, 통신 등 전투병과도 중대급으로 편제되므로 순수한 기행부대의 성격은 아니다. 또한 대대보다 상급부대인 만큼 참모부 소속 장교들의 계급이 대대 본부보다 살짝 높은 점이 포인트.

사단, 군단급 사령부[편집 | 원본 편집]

야전부대와 달리 참모부의 기능이 대폭 확대되고, 주요 전투지원 기능이 직할대로 분리되어 순수하게 사령부만으로 구성되는 상급 부대는 본부대/본부근무대를 편제한다.

사단급 기준으로 본부대에는 보통 참모부 소속 행정병들이 배속되며, 사단장의 근접호위를 담당하는 경비중대[1], 각종 행사에 동원되는 군악대, 부대에 따라서는 처부장들에게 배속된 운전병들도 본부대에 소속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사령부의 각종 편의시설(PX, 간부식당 조리병, 회관 관리병, 간부용 체력단련장 등)에 배치되는 인원들도 본부대 소속이다.

사단급 본부대장은 소령이 부임한다. 본부대장은 전투부대가 아닌 기행부대이기 때문에 사실상 한직에 가까우며 말년 보직으로 여겨지는 편이다.

각주

  1. 부대에 따라서는 경비소대로 칭하기도 한다. 경비중대여도 중대장은 중위급이 보임된다. 사실 경비중대라 하더라도 완편된 보병중대와 비교시 한참 못미치는 규모의 인원들이 편제되기 때문에 사실상 소대급으로 볼 수 있으나 사단장을 호위하는 특성상 급을 높여서 불러주는 것이다. 군단은 별도로 경비연대가 존재하며 지휘관대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