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군

대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에 왕실의 적통이 끊어져서 방계 종친 중에서 대를 잇는 임금이 나왔을 때 그 임금의 친부에게 주는 칭호였다. 본래 세자가 바로 승계하지 못하고 선왕의 조카나 손자가 즉위하는 경우 왕의 친부를 사후에 왕으로 추존하여 묘호를 올리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으나 중종의 서자였던 선조의 친부인 덕흥군을 왕으로 추존하려고 하였으나 형식상 하성군(즉위 전 선조의 군호) 명종의 양자로 입적하는 방식을 택하였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왕의 아버지가 아니라 하여 덕흥군이 추존왕이 되지 못하고 사후 그의 군호를 한 등급 올리는 타협책으로 만들어진 직위에 해당한다.

조건[편집 | 원본 편집]

물론 아들이 힘으로 왕위를 빼앗았거나 혹은 아버지가 스스로 왕위에서 은퇴하고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줌으로서 생부가 살아 있는 채로 국왕이 만들어질 수는 있다. 참고로 이 예시를 둘 다 해낸 인간이 바로 이방원이다. 전자는 자기 아버지에게, 후자는 자기 아들에게 시전했다. 오오 태종 오오 다만 이 경우 그 물러난 국왕도 어쨌든 한 때는 국왕이었으니만큼 보통 '상왕'이라는 호칭으로 부르기 때문에 대원군이 될 수 없다.[1]

사례를 보면 조선시대 대원군이 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1) 국왕의 슬하에 왕위를 물려받을 아이가 없어야 한다 (아들 한정. 딸의 경우는 어차피 왕위를 물려받지 못하니 상관없다)
  • 2) 국왕의 방계에 다음 왕위를 물려받을만한 친척이 있어야 한다
  • 3) 다음 왕의 아버지의 군호를 대원군으로 승격한다. 단, 직계 및 적통이라 할 수 있는 선왕의 조카나 직계에 해당하는 손자(세손)이 즉위할 경우에는 다음 왕에게는 묘호를 내려 추촌왕으로 급을 올린다.

일반적으로 선왕의 세자나 세제(왕의 동생)가 왕이 되지 못할 경우 왕실 직계 및 적통 내에서 우선적으로 다음 왕을 찾게 되고, 이 경우 다음 국왕의 부친에게 묘호를 내리는 식으로 갔으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겠지만, 의외로 조선왕조의 경우 의외로 단명한 왕들도 꽤 있는데다 적통 왕자가 귀했고[2] 거기에 2번의 반정까지 있었기 때문에 적장자 승계가 생각만큼 자주 지켜지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어쩔 수 없이 방계에서 왕족을 데리고 와서 왕으로 세워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밖에 없었는데 이 경우 방계인 왕의 부친을 적통을 이은 선왕보다 높일 수 없는 문제와, 그래도 임금의 아버지인데 그냥 군(君)으로 두면 격이 맞지 않는 상황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대책으로 만들어진 작위라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당시 그다지 길지 않았던 평균수명 등을 감안하면 다음에 즉위하는 왕의 아버지가 살아 있는 채로 왕이 되는 경우는 매우 희귀한 케이스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대원군 자체도 조선왕조 전체에서 4명에 불과한데 이 극도로 희귀한 조건까지 맞춘 살아있는 대원군은 흥선대원군 이하응 1명이 유일하다.

역대 조선 대원군[편집 | 원본 편집]

  • 덕흥대원군 : 최초의 대원군이다. 덕흥군은 중종의 서자였고, 이 서자 라인(방계)에서 처음 국왕으로 즉위한 사례가 덕흥군의 3남이었던 하성군(선조)이었기 때문이다.
  • 정원대원군 : 후대에 원종으로 추존. 선조가 끝까지 못했던 것이 덕흥대원군을 추존왕으로 올리는 것이었으나 인조는 이에 반대하는 신하들을 싹 씹어먹고 서자였던 정원대원군을 결국 원종으로 추존하는데 성공했다.
  • 전계대원군
  • 흥선대원군

살아있는 대원군[편집 | 원본 편집]

조선사에 총 4명의 대원군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대원군' 하면 떠오르는 사람은 흥선대원군, 즉 이하응 한명인 경우가 많다. 이는 이하응이 살아있는 대원군으로 그 당시에도 특이한 사례였던 것이 그 원인으로 여러 타이밍이 겹치고 겹친 신의 타이밍과 그것을 적절히 이용한 정치적 계산 덕분이였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대원군 발동 조건과 이하응의 당시 행보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았다.

  • 1) 국왕의 슬하에 왕위를 물려받을 아이가 없어야 한다
당시 조선 왕조는 24대 국왕인 헌종이 슬하에 자식이 없이 사망한 상태인데다가 왕족 계보가 거의 다 끊겨서, 왕권을 계승할만큼 나이가 되고 판단력이 되는 사람이 이원범(철종) 밖에 없는 사람이였다. 그나마 결국 철종조차 후대를 보지 못하였다.
  • 2) 국왕에게 다음 왕위를 물려받을만한 친척이 있어야 한다
이 상황에서 왕족 중 하나인 이하응이 살아 있었고, 그는 비밀리에 신정왕후와 접선하여 자신의 둘째 아들인 이명복을 신정왕후의 양자로 찔러넣어두었다. 참고로 이 때 이명복은 아직 10대도 안된 어린아이였다. 말인즉 이하응은 펄펄 뛰던 시기.
  • 3) 다음 왕위 계승자의 친부를 대원군으로 급을 높여준다.
흥선군의 2남 이명복이 다음 국왕으로 즉위하고 흥선군은 살아있는 상태로 대원군에 추승되면서 살아있는 대원군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경위로 왕이 후대가 없음 + 나이 어린 아들을 왕위로 옹립하는 호재의 연속으로 이하응은 살아있는 대원군이 되었고, 이후 고종과 함께 한국의 근대사의 굵직굵직한 사건들과 얽히고 조선의 마지막 대원군이 되면서 후대에도 계속해서 기억되는 대원군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것이다.

각주

  1. 애초에 '군'이라는 표현 자체가 왕보다 낮은 표현이다. 조선 시대에 폐위된 왕 두명이 다른 왕들처럼 '~종' 이나 '~조'가 아닌 각각 연산군, 광해군 등 '~군'으로 불리게 된 것을 생각해보자
  2. 왕이 빨리 죽어버리니 후사를 만들 시간도 없었던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