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심가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넔이라도 있고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있으랴
— 포은 정몽주
  • 丹心歌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고려 말기 이방원정몽주를 초청하여 하여가를 지어서 역성혁명에 대한 그의 마음을 떠보자 이에 답하여 정몽주가 지은 시조이다. 이방원이 하여가에서 어찌되었건 같이 부귀영화를 누려보자고 하였는데 정몽주는 자신이 백번을 더 죽고도 모자라서 혼백이 사라지더라도 자신의 뜻이 변하지 않을 것을 표현하였다. 본래 당시에는 특별하게 제목이 붙지 않았었으나 후대에 단심가라는 제목이 붙여졌다. 단심(丹心)이라는 말 자체가 일편단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진실된 마음이라는 뜻이다.

결국 정몽주는 이방원에게 선죽교에서 살해당하지만, 정몽주의 충직을 볼 수 있는 시조라고 할 수 있겠다.

문학사적 의미[편집 | 원본 편집]

여말선초 시기의 시조 양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교적 충의적 관점을 담고 있기 때문에 후대에 시조양식이 자리잡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한역[편집 | 원본 편집]

포은집에 기록된 시조는 한역되어서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있다.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白骨爲塵土 魂魄有也無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也歟

다른 작자설[편집 | 원본 편집]

단재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이 시의 원저자가 본래 정몽주가 아닌 백제 여인 한주라는 주장을 하였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