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미수복 구간

경원선 (강원선)
나라 북한 북한
종류 간선철도
구간 고원[1] ~ 평강[2]
영업거리 145.8 km[3]
역 수 23[4]
소유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운영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통일 1911년 10월 15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1 (전 구간)
전기 직류 3,000 V, 가공전차선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경원선의 미수복 구간을 다룬다. 경원선의 미수복 구간은 백마고지 ~ 원산 간 약 120 km의 구간에 해당한다. 하지만 분단 이후 이 구간들은 북한의 실질 관할 영역에 속해있게 되어, 북한의 철도 체계에 따라 개편되어 있다.

현황[편집 | 원본 편집]

경의선 미수복 구간과는 다르게 한국 전쟁 이후 제거된 선로가 복원되지 않아 선로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 남측 구간에 한해 복원 공사를 진행 중에 있다. 남아 있는 북한 구간은 평강역부터 시작되며, 북한 측에서는 임의로 강원선으로 지정해, 함경선 남부 원산 ~ 고원 구간에 대해 강원선으로의 편입을 진행하였다.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경원선 구간과 추가적으로 강원선으로 지정된 고원 ~ 원산간에 대해서도 다루기로 한다.

경의선 방향보다도 관리 상태가 부실하다. 일단 연선에 도시라고 부를만한 곳이 거의 없으며, 경원선의 경우 단층선으로 인해 형성된 좁은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부설된 형태다보니, 주변에 뭔가를 더 짓기도 애매한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차 통행량이 없는 건 아니기는 하다. 그래도 상당히 부실하다보니 정전도 잦은 모양. 선로는 전 구간 단선이고, 노반 침목 모두 관리상태가 좋지 않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북한이 워낙 폐쇄적인 사회다보니 운행 상황에 대해서 알려진 바는 많이 없다.

  • 워낙 교통 사정이 좋지 않다보니, 그래도 평양에서의 직통 열차가 발착한다고 전해진다. 2002년 기준으로 평양 ~ 평강간 야간 급행 열차 1편과 대동강 ~ 평강 간 평덕선 · 평라선 경유 준급행 열차 1편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고 전해진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월정리 ~ 원산 (경원선)[편집 | 원본 편집]

용산
km
고원
km
정거장 접속 노선
대한민국 경원선 동두천 · 의정부 · 용산 방면 (미복원 상태, 선로 연결 없음)
103.1 162.6 월정리 (미복원) 月井里 경원선
군사분계선 구간
113.1 152.6 가곡 (미복원) 佳谷
119.9 145.8 평강 平康
123.7 142.0 복계 福溪
134.6 131.1 리목 [이목] 梨木
139.4 126.3 검불랑 劍佛浪
144.4 121.3 성산 城山
151.6 114.1 세포청년 [세포] 洗浦靑年 청년이천선
159.3 106.4 삼방 [삼방협] 三防
163.2 102.5 락천 [삼방] 樂川
168.3 97.4 동서리 東鋤里
177.6 88.1 고산 高山
184.1 81.6 룡지원 [용지원] 龍池院
192.2 73.5 광명 [석왕사] 光明
201.6 64.1 남산 南山
208.0 57.7 안변 安邊 금강산청년선 [동해북부선]
212.9 52.8 배화 培花
219.6 46.1 갈마 葛麻 원산항선
223.7 42.0 원산 元山 강원선 (계속) [함경선]

원산 ~ 고원 (함경선)[편집 | 원본 편집]

원산
km
고원
km
정거장 접속 노선
0.0 42.0 원산 元山 강원선 (계속) [경원선]
5.5 36.5 덕원 德源
12.6 29.4 문천 [문평] 文川
20.0 22.0 옥평 [문천] 玉坪 문천항선
29.9 12.1 룡담 [용담] 龍潭 천내선 [천내리선]
34.5 7.5 전탄 箭灘
42.0 0.0 고원 高原 평라선 [함경선]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강원선은 구 함경선을 포함하기 때문에, 강원선의 기점인 고원역은 사실 경원선에 속하는 부분은 아니다. 경원선으로의 미수복 구간의 기점은 백마고지역, 혹은 월정리역이다.
  2. 경원선으로의 미수복 구간의 종점은 원산역이다. 원산 ~ 고원 구간은 함경선의 일부였으나 강원선 편입으로 인해 현재와 같은 형태를 띠게 되었다.
  3. 경원선 구간 103.8 km
  4. 경원선 구간의 역은 17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