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圓周率'''
<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big><big><big><big><big><big><big><big><big>'''리브레위키혁명'''</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div><big><big><big><big><big><big>
 
==개요==
==개요==
완전한 평면에서의 원의 지름에 대한 원의 둘레의 비. 그리스 문자 <math>\pi</math>로 표기한다. 대표적인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다. 과거에는 밀률(비밀스러운 비율)이라고 불렸다. 그 밖에 역사적으로 유명한 근삿값으로는 3, 22/7, 355/113, 루트10 등이 있다. <s>[[성서무오설|성경에선 3이라고 한다]]</s> 손으로 계산해야 할 상황에서는 상황에 따라 pi에 22/7 또는 루트10<ref>등속원운동 공식을 끼는 물리 문제에서는 파이의 제곱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매우 많다. 단진동 공식 그 자체가 등속원운동 공식에서 유도됨을 생각하면...</ref>을 대입하면 계산이 매우 쉬워질 수 있다.
완전한 평면에서의 원의 지름에 대한 원의 둘레의 비. 그리스 문자 <math>\pi</math>로 표기한다. 대표적인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다. 과거에는 밀률(비밀스러운 비율)이라고 불렸다. 그 밖에 역사적으로 유명한 근삿값으로는 3, 22/7, 355/113, 루트10 등이 있다. <s>[[성서무오설|성경에선 3이라고 한다]]</s> 손으로 계산해야 할 상황에서는 상황에 따라 pi에 22/7 또는 루트10<ref>등속원운동 공식을 끼는 물리 문제에서는 파이의 제곱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매우 많다. 단진동 공식 그 자체가 등속원운동 공식에서 유도됨을 생각하면...</ref>을 대입하면 계산이 매우 쉬워질 수 있다.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때 근삿값 3.14를 사용하며, 중학교에서부터는 <math>\pi</math>를 쓴다.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때 근삿값 3.14를 사용하며, 중학교에서부터는 <math>\pi</math>를 쓴다.  


명심해야 할 점은 '''<math>\pi</math>는 어디까지나 수를 나타내는 기호이지,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다!'''  
명심해야 할 점은 '''<math>\pi</math>는 어디까지나 수를 나타내는 기호이지,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다!'''  
10번째 줄: 9번째 줄:
또 사람들이 많이 헷갈려하는 것 중 하나로, 중학교 올라가서 각도 계산할 때 <math>\pi</math> 뒤에 ˚가 안 붙어서 그 숫자를 각도가 아니라 해당 호의 길이라고 생각하고 따로 계산하는 실수를 하는데 '''이거 각도 맞다.''' 애초에 중학교 교재에 각도랑 길이를 같이 단순 계산하는 문제가 나올리가 없다. 정확히는 이 숫자에 곱해진, 뒤의 [[라디안|특수한 기호]]를 생략해 버려서 이런 참극이 벌어지는 것. [[라디안]] 문서 참고.
또 사람들이 많이 헷갈려하는 것 중 하나로, 중학교 올라가서 각도 계산할 때 <math>\pi</math> 뒤에 ˚가 안 붙어서 그 숫자를 각도가 아니라 해당 호의 길이라고 생각하고 따로 계산하는 실수를 하는데 '''이거 각도 맞다.''' 애초에 중학교 교재에 각도랑 길이를 같이 단순 계산하는 문제가 나올리가 없다. 정확히는 이 숫자에 곱해진, 뒤의 [[라디안|특수한 기호]]를 생략해 버려서 이런 참극이 벌어지는 것. [[라디안]] 문서 참고.


{{ㅊ|3.14는 왜 배운 건지...}}<ref>중학교에 가서야 x가 아닌 문자에 대해 배우고 또, 무리수라는 항목을 배우지 않아서 그렇다.</ref><ref>또한, 컴퓨터로는 무리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로 파이를 표현할 때에는 근삿값을 사용하기 때문이다.</ref><ref>초등학교 때에는 소수의 곱셈 나눗셈이 익숙하지 않으므로 소수의 곱셈 나눗셈을 익숙하게 하려는 측면도 있다. </ref> 사실 원주율을 3.14로 표현하는 것은 '''상당히 정확한 값'''이다. 실제값과의 오차가 0.0507% 밖에 안 된다!  
{{ㅊ|3.14는 왜 배운 건지...}}<ref>중학교에 가서야 x가 아닌 문자에 대해 배우고 또, 무리수라는 항목을 배우지 않아서 그렇다.</ref><ref>또한, 컴퓨터로는 무리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로 파이를 표현할 때에는 근삿값을 사용하기 때문이다.</ref><ref>초등학교 때에는 소수의 곱셈 나눗셈이 익숙하지 않으므로 소수의 곱셈 나눗셈을 익숙하게 하려는 측면도 있다. </ref> 사실 원주율을 3.14로 표현하는것은 '''상당히 정확한 값'''이다. 실제값과의 오차가 0.0507% 밖에 안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원주율의 대체값
! 원주율의 대체값
35번째 줄: 34번째 줄:
| <math>\sqrt{9.9}</math>
| <math>\sqrt{9.9}</math>
| 0.1538%
| 0.1538%
|-
| <math>\sqrt{9.87}</math>
| 0.002%
|-
|-
| <math>22 \over 7</math>
| <math>22 \over 7</math>
52번째 줄: 48번째 줄:
* <math> \pi = \left((-1)^{n+1}\frac{(2n)!}{2^{2n-1}B_{2n}}\left(\frac1{1^{2n}}+\frac1{2^{2n}}+\frac1{3^{2n}}+\cdots\right)\right)^{1/{2n}}</math>
* <math> \pi = \left((-1)^{n+1}\frac{(2n)!}{2^{2n-1}B_{2n}}\left(\frac1{1^{2n}}+\frac1{2^{2n}}+\frac1{3^{2n}}+\cdots\right)\right)^{1/{2n}}</math>
<math> B_{2n}</math>는 [[베르누이 수]]로, 유리수이다.
<math> B_{2n}</math>는 [[베르누이 수]]로, 유리수이다.
* <math>\pi =\frac2{\frac{\sqrt 2}2 \cdot \frac{\sqrt{2+\sqrt 2}}2\cdot \frac{\sqrt{2+\sqrt {2+\sqrt 2}}}2\cdots} = {{\sqrt{2}\cdot \sqrt{2}}\over{ { {\sqrt{2}}\over{\sqrt{2}\cdot \sqrt{2}} }} \cdot  { {\sqrt{2+\sqrt{2}}}\over{\sqrt{2}\cdot \sqrt{2}}} \cdot { {\sqrt{2+\sqrt{2+\sqrt{2}}}} \over{\sqrt{2}\cdot \sqrt{2}} }\cdots \cdots }</math> [[비에타]](Vieta, Franciscus) <math>\sqrt{2}</math>만을 사용한 표현식
* <math>\pi = \frac2{\frac{\sqrt 2}2 \cdot \frac{\sqrt{2+\sqrt 2}}2\cdot \frac{\sqrt{2+\sqrt {2+\sqrt 2}}}2\cdots}</math> (비에타)
* <math> \pi = 4\left(\frac{1}{1} - \frac{1}{3} + \frac{1}{5} - \frac{1}{7} + \cdots\right)</math> (그레고리 & 라이프니츠)
* <math> \pi = 4\left(\frac{1}{1} - \frac{1}{3} + \frac{1}{5} - \frac{1}{7} + \cdots\right)</math> (그레고리 & 라이프니츠)
* <math>\arctan</math>의 테일러 급수를 통해서 쉽게 증명이 가능하다. 보기에 매우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렴하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근삿값을 구하는 데에는 비효율적이다.
*: <math>\arctan</math>의 테일러 급수를 통해서 쉽게 증명이 가능하다. 보기에 매우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렴하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근삿값을 구하는 데에는 비효율적이다.
* <math>\pi = \int_{-\infty}^\infty \frac1{1+x^2}dx </math>
* <math>\pi = \int_{-\infty}^\infty \frac1{1+x^2}dx </math>
*<math>\pi = \left(\int_{-\infty}^\infty e^{-x^2}dx \right)^2 </math>
*<math>\pi = \left(\int_{-\infty}^\infty e^{-x^2}dx \right)^2 </math>
78번째 줄: 74번째 줄:
* <s>라이프 오브 파이 - 주인공 이름이 파이일 뿐 원주율과는 관계없음</s>
* <s>라이프 오브 파이 - 주인공 이름이 파이일 뿐 원주율과는 관계없음</s>
* <s>[[라즈베리 파이]]</s>
* <s>[[라즈베리 파이]]</s>
* <s>[[초코파이, 엄마손 파이, 애플파이, 빅파이, 와이파이]]</s>
 
[[추가바람]]
[[추가바람]]


1,088번째 줄: 1,084번째 줄:
3781100444806079767242927624951078415344642915084276452000204276947069804177583220909702029165734725
3781100444806079767242927624951078415344642915084276452000204276947069804177583220909702029165734725
1582904630910359037842977572651720877244740952267166306005469716387943171196873484688738186656751279
1582904630910359037842977572651720877244740952267166306005469716387943171196873484688738186656751279
29857501636341131462753049901913564682380432997069577015078933772865803571279091376742080565549362464
2985750163634113146275304990191356468238043299706957701507893377286580357127909137674208056554936246
4
}}
}}


1,739번째 줄: 1,736번째 줄:
== 기타 ==
== 기타 ==
아무래도 무리수 중 가장 유명한 수이자 가장 유명한 수학 기호 중 하나답게 인기가 엄청나게 많다.
아무래도 무리수 중 가장 유명한 수이자 가장 유명한 수학 기호 중 하나답게 인기가 엄청나게 많다.
파이 댄스가 있을 정도(...)<br />
파이 댄스가 있을 정도(...)<br>
{{youtube|sruq4yOsCK4}}<br />
{{youtube|sruq4yOsCK4}}<br>
바닥에  
바닥에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1,766번째 줄: 1,763번째 줄:


{{각주}}
{{각주}}
{{수}}
[[분류: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