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수십여 척이 건조되었으며 수가 많은 만큼 알레이버크급도 세번의 개량을 거쳐 초기형인 플라이트1 부터 플라이트3까지 3번의 개량을 거치며 현역 미 해군 주력함의 위치에 있다.
수십여 척이 건조되었으며 수가 많은 만큼 알레이버크급도 세번의 개량을 거쳐 초기형인 플라이트1 부터 플라이트3까지 3번의 개량을 거치며 현역 미 해군 주력함의 위치에 있다.
또한 타국의 이지스 구축함 개발에도 영향을 주어 일본 해상자위대의 공고급 이지스 구축함이나 아타고급 이지스 구축함은 알레이버크급의 설계를 바탕으로 건조되었다.
또한 타국의 이지스 구축함 개발에도 영향을 주어 일본 해상자위대의 공고급 이지스 구축함이나 아타고급 이지스 구축함은 알레이버크급의 설계를 바탕으로 건조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인 [[세종대왕급 구축함]] 역시 알레이버크급의 설계사상에 기반을 둔 군함이다.


==개발==
==개발==

2017년 7월 10일 (월) 16:14 판

알레이버크급 이지스 구축함미국이 보유한 구축함으로서 미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다.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과 같이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어 강력한 함대방공능력을 가지고 있는 구축함이다.

수십여 척이 건조되었으며 수가 많은 만큼 알레이버크급도 세번의 개량을 거쳐 초기형인 플라이트1 부터 플라이트3까지 3번의 개량을 거치며 현역 미 해군 주력함의 위치에 있다. 또한 타국의 이지스 구축함 개발에도 영향을 주어 일본 해상자위대의 공고급 이지스 구축함이나 아타고급 이지스 구축함은 알레이버크급의 설계를 바탕으로 건조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인 세종대왕급 구축함 역시 알레이버크급의 설계사상에 기반을 둔 군함이다.

개발

성능

미국에서 개발된 보편적인 이지스 방공 체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과 같이 SPY-1레이더를 이지스 레이더로 사용하고 있다. 동시 교전능력은 16개에서 20개의 표적과 동시 교전이 가능하다. 또한 TMD기능을 가지고 있어 함대에 대한 탄도탄 공격과 대륙간탄도탄의 탄두를 조기 요격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MD체계에서 상층방어를 담당하는 중요한 전력이다.

사용 무장으론 대공 방어용으로 일반적인 항공기와 대함미사일 요격시엔 SM-2를 사용하며 차후 탄도탄 방어 기능이 있는 SM-6가 배치될 예정에 있다. 아직까진 SM-3로 탄도탄 요격을 수행한다. 대함 무장은 하푼 대함미사일 8발을 함 중앙에 두고 있으며 이 외에도 수직발사대를 통해 순항미사일 토마호크와 대잠무장인 아스록을 사용한다.

실전

개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