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유목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번째 줄: 17번째 줄:
선비는 초원이 지배적인 세력으로 대두되었지만, 부족끼리 분열되어 유목국가로 보기는 어려웠다. 2세기 중반, 단석괴(檀石槐)라는 걸출한 지도자가 등장하여 선비를 하나로 모아 강력한 유목 제국을 건설하였다. 단석괴는 "아버지가 3년 동안 흉노를 따라 종군하는 사이 어머니가 천둥과 함께 떨어진 우박을 삼키고 임신하여 나은 자식이라고" 전해진다.<ref>중앙유라시아의 역사, 고마츠 히사오 외, 이평래 역, 소나무.</ref> 이미 열네 살 무렵에 용맹하고 지략과 지혜가 뛰어났다고 하며, 부족민들은 그의 무용과 공평한 처사 등에 감복하여 스스로 그를 따랐다고 한다. 부족민들은 그를 "대인(大人)"으로 추대했다. 이 기록에는 전설적 요소가 혼합되었지만, 단석괴는 혈통적 조건이 아니라 스스로의 실력만으로 유목 군주의 자리까지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선비는 초원이 지배적인 세력으로 대두되었지만, 부족끼리 분열되어 유목국가로 보기는 어려웠다. 2세기 중반, 단석괴(檀石槐)라는 걸출한 지도자가 등장하여 선비를 하나로 모아 강력한 유목 제국을 건설하였다. 단석괴는 "아버지가 3년 동안 흉노를 따라 종군하는 사이 어머니가 천둥과 함께 떨어진 우박을 삼키고 임신하여 나은 자식이라고" 전해진다.<ref>중앙유라시아의 역사, 고마츠 히사오 외, 이평래 역, 소나무.</ref> 이미 열네 살 무렵에 용맹하고 지략과 지혜가 뛰어났다고 하며, 부족민들은 그의 무용과 공평한 처사 등에 감복하여 스스로 그를 따랐다고 한다. 부족민들은 그를 "대인(大人)"으로 추대했다. 이 기록에는 전설적 요소가 혼합되었지만, 단석괴는 혈통적 조건이 아니라 스스로의 실력만으로 유목 군주의 자리까지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파일:Mongolia III.jpg|섬네일|선비의 최대 세력판도.]]
[[파일:Mongolia III.jpg|섬네일|선비의 최대 세력판도.]]
단석괴가 이끄는 선비는 전성기의 [[흉노]]를 연상시키는 넓은 세력 판도를 마련했다. 선비는 서쪽의 오손을 격파하고, 동쪽으로는 [[부여]]를 물리치는 한편 북방의 정령의 공격을 막아내며 거대 세력으로 발돋움했다. 156년에는 북흉노를 대파하고 초원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남쪽의 {{ㅊ|동네북}} 한나라 북방을 약탈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이후 단석괴는 [[흉노]]와 유사한 분권적 통치체제를 정비했다. 영역을 동부, 중부, 서부로 나누어 그 아래에는 각각 20개, 10개, 20개의 읍을 두고, 동부와 서부에는 4명, 중부에는 3명의 대인(태수라고도 한다)을 파견하여 다스리게 하였다.<ref>중앙유라시아의 역사, 고마츠 히사오 외, 이평래 역, 소나무.</ref>
단석괴가 이끄는 선비는 전성기의 [[흉노]]를 연상시키는 넓은 세력 판도를 마련했다. 선비는 서쪽의 오손을 격파하고, 동쪽으로는 [[부여]]를 물리치는 한편 북방의 정령의 공격을 막아내며 거대 세력으로 발돋움했다. 남쪽의 {{ㅊ|동네북}} 한나라 북방을 약탈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156년에는 북흉노를 대파하고 초원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이후 단석괴는 [[흉노]]와 유사한 분권적 통치체제를 정비했다. 영역을 동부, 중부, 서부로 나누어 그 아래에는 각각 20개, 10개, 20개의 읍을 두고, 동부와 서부에는 4명, 중부에는 3명의 대인(태수라고도 한다)을 파견하여 다스리게 하였다.<ref>중앙유라시아의 역사, 고마츠 히사오 외, 이평래 역, 소나무.</ref>


선비는 다른 유목제국들에 비하여 빠르게 중국 문화에 익숙해졌다. 당시 한은 후한 말의 혼란기였는데, 경제적,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린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넘어갔다고 한다.  접경지대에서의 밀무역도 성행했다.  선비가 한을 공격하여 납치해 오는 인원 역시 무시할 수 없을만큼 많았다. 후한의 학자 채옹은 "장성의 경비가 느슨해 선비가 무기로 쓰일 양질의 쇠(鐵)을 다량 보유하고, 한인 도망자 가운데 선비의 고문이 된 사람도 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ref>중앙유라시아의 역사, 고마츠 히사오 외, 이평래 역, 소나무.</ref> 그러나 단석괴는 흉노와 같은 안정적인 지배 체제를 완성시키지 못했다. 단석괴 사망 이후 그의 후손들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 선비는 빠르게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선비는 다른 유목제국들에 비하여 빠르게 중국 문화에 익숙해졌다. 당시 한은 후한 말의 혼란기였는데, 경제적,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린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넘어갔다고 한다.  접경지대에서의 밀무역도 성행했다.  선비가 한을 공격하여 납치해 오는 인원 역시 무시할 수 없을만큼 많았다. 후한의 학자 채옹은 "장성의 경비가 느슨해 선비가 무기로 쓰일 양질의 쇠(鐵)을 다량 보유하고, 한인 도망자 가운데 선비의 고문이 된 사람도 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ref>중앙유라시아의 역사, 고마츠 히사오 외, 이평래 역, 소나무.</ref> 그러나 단석괴는 흉노와 같은 안정적인 지배 체제를 완성시키지 못했다. 단석괴 사망 이후 그의 후손들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 선비는 빠르게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