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학술}} Bolzano-Weierstrass Theorem == 개요 == 해석학을 배울 때 반드시 배우게 되는 매우 중요한 정리. 실해석학에서 수열에 관련된 문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증명을 이해하려면 [[단조 수렴 정리]]와 [[유계]]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이를 알면 상당히 간단하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증명을 이해하려면 [[단조 수렴 정리]]와 [[유계]]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이를 알면 상당히 간단하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math>\left\{a_n\right\}</math>는 단조 증가하는 수열이고, 위로 유계이다 (<math>b_1</math>이 한 상한이다.). 따라서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math>\lim_{n\to\infty}a_n=A</math>가 실수로서 존재하고, 각 자연수 <math>k</math>에 대해 <math>A=\sup_na_n\leq b_k</math>이다.<ref>만약 아니면 폐구간에 관한 가정에 모순</ref> 따라서 모든 자연수 <math>k</math>에 대해 <math>a_k\leq A\leq b_k</math>이다. 즉 <math>A</math>는 모든 폐구간 <math>I_k</math>에 속해있다. 이제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B\in I_n</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a_n\leq B\leq b_n</math>이고, <math>0\leq B-a_n\leq b_n-a_n</math>이다. 그런데 <math>\lim_{n\to\infty}\left(b_n-a_n\right)=0</math>이므로, 샌드위치 정리에 의해 <math>\lim_{n\to\infty}\left(B-a_n\right)=0</math>이다. 이는 곧, <math>B=\lim_{n\to\infty}a_n=A</math>를 의미하고, <math>A</math>가 모든 폐구간에 포함된 유일한 실수라는 것을 보인다.
:<math>\left\{a_n\right\}</math>는 단조 증가하는 수열이고, 위로 유계이다 (<math>b_1</math>이 한 상계이다.). 따라서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math>\lim_{n\to\infty}a_n=A</math>가 실수로서 존재하고, 각 자연수 <math>k</math>에 대해 <math>A=\sup_na_n\leq b_k</math>이다.<ref>만약 아니면 폐구간에 관한 가정에 모순</ref> 따라서 모든 자연수 <math>k</math>에 대해 <math>a_k\leq A\leq b_k</math>이다. 즉 <math>A</math>는 모든 폐구간 <math>I_k</math>에 속해있다. 이제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B\in I_n</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모든 자연수 <math>n</math>에 대해 <math>a_n\leq B\leq b_n</math>이고, <math>0\leq B-a_n\leq b_n-a_n</math>이다. 그런데 <math>\lim_{n\to\infty}\left(b_n-a_n\right)=0</math>이므로, 샌드위치 정리에 의해 <math>\lim_{n\to\infty}\left(B-a_n\right)=0</math>이다. 이는 곧, <math>B=\lim_{n\to\infty}a_n=A</math>를 의미하고, <math>A</math>가 모든 폐구간에 포함된 유일한 실수라는 것을 보인다.
중요한 점은 모든 구간이 '''폐구간'''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반열린 구간이나 개구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중요한 점은 모든 구간이 '''폐구간'''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반열린 구간이나 개구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2015년 11월 30일 (월) 11:37 판

틀:학술

Bolzano-Weierstrass Theorem

개요

해석학을 배울 때 반드시 배우게 되는 매우 중요한 정리. 실해석학에서 수열에 관련된 문제라면 매우 높은 확률로 사용하게 되는 정리이다. 증명을 위해서는 먼저 폐구간 수렴 정리(Nested Interval Theorem)을 알아야 한다.

폐구간 수렴 정리

한 폐구간이 있다고 생각하자. 그리고 그 폐구간 안에 다른 폐구간이 있고, 그 폐구간 안에 다른 폐구간이 있고, 그 폐구간 안에 또 다른 폐구간이 있고... 인셉션 이런식으로 폐구간이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폐구간의 길이가 계속 줄어들어 구간 길이의 극한값이 0이라면 어떻게 될까? 직관적으로 생각하면 폐구간이 한 곳으로 수렴해서 한 점으로 모일 것이다. 이를 수학적으로 좀 더 엄밀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폐구간 [math]\displaystyle{ I_n=\left[a_n,b_n\right]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I_1\supseteq I_2\supseteq I_3\supseteq\cdots }[/math]이고,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left(b_n-a_n\right)=0 }[/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모든 폐구간 [math]\displaystyle{ I_n }[/math]에 포함되어있는 실수가 존재하며, 유일하다.

증명을 이해하려면 단조 수렴 정리유계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이를 알면 상당히 간단하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는 단조 증가하는 수열이고, 위로 유계이다 ([math]\displaystyle{ b_1 }[/math]이 한 상계이다.). 따라서 단조 수렴 정리에 의해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a_n=A }[/math]가 실수로서 존재하고, 각 자연수 [math]\displaystyle{ k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sup_na_n\leq b_k }[/math]이다.[1] 따라서 모든 자연수 [math]\displaystyle{ k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k\leq A\leq b_k }[/math]이다. 즉 [math]\displaystyle{ A }[/math]는 모든 폐구간 [math]\displaystyle{ I_k }[/math]에 속해있다. 이제 모든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B\in I_n }[/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모든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leq B\leq b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0\leq B-a_n\leq b_n-a_n }[/math]이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left(b_n-a_n\right)=0 }[/math]이므로, 샌드위치 정리에 의해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left(B-a_n\right)=0 }[/math]이다. 이는 곧, [math]\displaystyle{ B=\lim_{n\to\infty}a_n=A }[/math]를 의미하고, [math]\displaystyle{ A }[/math]가 모든 폐구간에 포함된 유일한 실수라는 것을 보인다.

중요한 점은 모든 구간이 폐구간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반열린 구간이나 개구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모든 수열이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계인 무한 수열은 반드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짐이 알려져 있다. 이를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라 한다. 증명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이 유계이므로, 양수 [math]\displaystyle{ M }[/math]이 존재해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leq M,\,\forall n\in\mathbb{N} }[/math]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in\left[-M,M\right] }[/math]이다. 두 폐구간 [math]\displaystyle{ \left[-M,0\right],\,\left[0,M\right] }[/math]에 대해, 적어도 한 구간은 무수히 많은 [math]\displaystyle{ a_n }[/math]을 포함해야 한다.[2]. 그 구간을 [math]\displaystyle{ I_0 }[/math]이라 하자. 마찬가지로 [math]\displaystyle{ I_0 }[/math]을 동일한 길이의 두 폐구간으로 나눈다. 그럼 적어도 한 구간은 무한한 [math]\displaystyle{ a_n }[/math]을 포함한다. 이를 [math]\displaystyle{ I_1 }[/math]이라 하자. 이를 계속 반복하여 [math]\displaystyle{ I_0,I_1,I_2,\cdots }[/math]를 얻는다. 그럼 [math]\displaystyle{ I_0\supset I_1\supset I_2\supset\cdots }[/math]이고, [math]\displaystyle{ I_n }[/math]의 길이는 [math]\displaystyle{ \frac{M}{2^n} }[/math]이다.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frac{M}{2^n}=0 }[/math]이므로, 폐구간 수렴정리에 의해 모든 구간에 속하는 유일한 한 점 [math]\displaystyle{ A }[/math]가 존재한다. 이제 [math]\displaystyle{ a_{n_1}\in I_1 }[/math]을 고르고, [math]\displaystyle{ a_{n_2}\in I_2,\,n_2\gt n_1 }[/math]을 고르고, [math]\displaystyle{ a_{n_3}\in I_3,\,n_3\gt n_2 }[/math]을 고르고, 이를 계속 반복한다.[3] 그럼 [math]\displaystyle{ \left\{a_{n_k}\right\} }[/math][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의 부분수열이고, [math]\displaystyle{ a_{n_k} }[/math][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I_k }[/math]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left|a_{n_k}-A\right|\lt \frac{M}{2^k} }[/math]이고, 이는 곧 [math]\displaystyle{ \lim_{k\to\infty}a_{n_k}=A }[/math]임을 의미한다.

일반화

유한한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인 [math]\displaystyle{ \mathbb{R}^n }[/math]에 대해 확장이 가능하다. 명제도 거의 다른 것이 없다.

[math]\displaystyle{ \mathbb{R}^n }[/math] 내의 유계인 수열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활용

가장 대표적인 활용으로는 코시 수열의 수렴성이 있다.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이 코시 수열이라 가정하자. 코시 수열은 유계이므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에 의해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진다. 이를 [math]\displaystyle{ \left\{a_{n_k}\right\} }[/math]라 하고, 수렴값을 [math]\displaystyle{ A }[/math]라 하자. 이제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서, 적당한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m,n\gt N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a_m-a_n\right|\lt \frac{\varepsilon}{2} }[/math]이다.[4] 또한, [math]\displaystyle{ n_k }[/math][math]\displaystyle{ \left|a_{n_k}-A\right|\lt \frac{\varepsilon}{2},\,n_k\gt N }[/math]이 되게 잡을 수 있다. 그럼 [math]\displaystyle{ n\gt N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left|a_n-A\right|=\left|a_n-a_{n_k}+a_{n_k}-A\right|\leq\left|a_n-a_{n_k}\right|+\left|a_{n_k}-A\right|\lt \frac{\varepsilon}{2}+\frac{\varepsilon}{2}=\varepsilon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a_n=A }[/math]이다.

각주

  1. 만약 아니면 폐구간에 관한 가정에 모순
  2. 만약 그렇지 않으면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는 유한 수열이다.
  3. 이게 가능한 이유는 [math]\displaystyle{ \left\{a_n\right\} }[/math]이 무한 수열이기 때문이다.
  4. 코시 수열의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