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국검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한민족의 검술인 본국검법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검법중 하나로 무예도보통지 3권에 수록되어 있다.
한민족의 검술인 본국검법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검법중 하나로 무예도보통지 3권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의 환도로 하는 검법이며 본국 이라는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자국 고유의 검법이라는 의미가 있다.
조선의 환도로 하는 검법이며 본국이라는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자국의 무술이며 우리 고유의 검법이라는 의미가 있다.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내용으로 총 33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격법 12개와 자법 9개로 나누어 진다.
 
기원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보통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검법이라곤 하나 그 주장을 입증할 만한 증거는 없으며 본격적으로 기록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시기의 무술로 보는것이 타당하다.
기원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보통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검법이라곤 하나 그 주장을 입증할 만한 증거는 없으며 본격적으로 기록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시기의 무술로 보는것이 타당하다.


====
==순서==
 




[[분류:무술]]
[[분류:무술]]

2017년 2월 14일 (화) 15:41 판

한민족의 검술인 본국검법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검법중 하나로 무예도보통지 3권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의 환도로 하는 검법이며 본국이라는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자국의 무술이며 우리 고유의 검법이라는 의미가 있다.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내용으로 총 33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격법 12개와 자법 9개로 나누어 진다.

기원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보통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검법이라곤 하나 그 주장을 입증할 만한 증거는 없으며 본격적으로 기록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시기의 무술로 보는것이 타당하다.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