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유래 ==
== 유래 ==
[[초나라]]에서 무기를 파는 상인이 있었다. 그 상인은 자신의 창을 들어 보이며 그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는 창이라고 선전했고, 또 자신의 방패를 들어 보이며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는 방패라고 선전했다. 그러자 그 모습을 본 명나라 왕 신하중 한 명이 상인에게 "당신이 그 어떤 방패도 다 뚫을 수 있다고 선전하는 창으로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다고 선전하는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하고 질문을 던지자 상인은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
《[[한비자]]》에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초나라]]에서 무기를 파는 상인이 있었다. 그 상인은 자신의 [[창]]을 들어 보이며 그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는 창이라고 선전했고, 또 자신의 방패를 들어 보이며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는 방패라고 선전했다. 그러자 그 모습을 본 명나라 왕 신하중 한 명이 상인에게 "당신이 그 어떤 방패도 다 뚫을 수 있다고 선전하는 창으로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다고 선전하는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하고 질문을 던지자 상인은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


[[분류:고사성어]]
[[분류:고사성어]]
[[분류:논리학]][[분류:오류]]
[[분류:논리학]][[분류:오류]]

2021년 8월 6일 (금) 01:30 판

모순(矛盾, Contradiction)은 각각 명제가 제시하는 것이 논리적인 이치에 어긋남을 의미하는 말이다.

유래

한비자》에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초나라에서 무기를 파는 상인이 있었다. 그 상인은 자신의 을 들어 보이며 그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는 창이라고 선전했고, 또 자신의 방패를 들어 보이며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는 방패라고 선전했다. 그러자 그 모습을 본 명나라 왕 신하중 한 명이 상인에게 "당신이 그 어떤 방패도 다 뚫을 수 있다고 선전하는 창으로 그 어떤 창도 막아낼 수 있다고 선전하는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됩니까?"하고 질문을 던지자 상인은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