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학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big>}}
</big>}}


유자가 말하길, 사람이 된다는 것은 효(孝)와 제(弟)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니 윗사람을 농락<ref>上犯(상범) 윗사람을 범한다는 말은 윗사람을 농락하거나 괴롭히거나 등 윗사람을 어른 대접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ref>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적다. 윗사람을 농락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나 분란을 일으키는 사람은 일찍이 존재한 바가 없다(未之有). 군자는 근본을 힘쓰니,  근본이 곧바로 서게 되면 도(道)가 저절로 생겨난다. 그러므로 효와 제는 인(仁)을 행하는 근본이다.
유자가 말하길, 사람이 된다는 것은 효(孝)와 제(弟)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니 윗사람을 농락<ref>上犯(상범) 윗사람을 범한다는 말은 윗사람을 농락하거나 괴롭히거나 등 윗사람을 어른 대접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ref>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적다. 윗사람을 농락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나 분란을 일으키는 사람은 일찍이 존재한 바가 없다(未之有). 군자는 근본을 힘쓰니,  근본이 곧바로 서게 되면 도(道)가 저절로 생겨난다. 그러므로 효와 제는 인(仁)을 행하는 근본이다.  


==1-3==
==1-3==
27번째 줄: 27번째 줄:
증자가 말하였다. 나는 매일 세 가지에 대해서  내 자신을 살핀다. 남을 위해 일을 도모하면서 충실하지 않았는가?<ref>爲(위)는 하다의 뜻이고, 人(인)은 사람을 뜻한다. 謀(모)는 타인을 위해 계책을 내다라고 의역할 수 있다. 그래서 爲人謀는 '타인을 돕는 일을 하다.'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忠(충)은 자신의 마음을 다 쓴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충성(忠誠)이란 의미가 마음을 다하고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이다. <del>그러니 충성이 누구에게 복종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del></ref> 친구와 사귀면서 믿음직스럽지 않았는가? 배운 것을 연습하지 않았는가?
증자가 말하였다. 나는 매일 세 가지에 대해서  내 자신을 살핀다. 남을 위해 일을 도모하면서 충실하지 않았는가?<ref>爲(위)는 하다의 뜻이고, 人(인)은 사람을 뜻한다. 謀(모)는 타인을 위해 계책을 내다라고 의역할 수 있다. 그래서 爲人謀는 '타인을 돕는 일을 하다.'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忠(충)은 자신의 마음을 다 쓴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충성(忠誠)이란 의미가 마음을 다하고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이다. <del>그러니 충성이 누구에게 복종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del></ref> 친구와 사귀면서 믿음직스럽지 않았는가? 배운 것을 연습하지 않았는가?


마지막에 傳不習乎의 경우에는 해석이 두 가지로 갈린다.
마지막에 傳不習乎의 경우에는 해석이 두 가지로 갈린다.  


일반적인 해석인 배운 것을 연습하지 않았는가? 라는 설명이 대부분이나  
일반적인 해석인 배운 것을 연습하지 않았는가? 라는 설명이 대부분이나  
47번째 줄: 47번째 줄:
공자님께서 말씀하시길, 제자들아! (집에) 들어갈때는 효를 행하고, (집에서) 나오면 (타인과) 사이좋게 지내고, (일을 하는데 있어서)삼가고 신뢰가 있어야 하고, 무릇 타인을 사랑하고 인(仁)하고 친하게 지내야 한다(가깝게 한다는 뜻으로 보임). 그리고 힘이 남은 다음에서야 학문을 행하는 것이다.
공자님께서 말씀하시길, 제자들아! (집에) 들어갈때는 효를 행하고, (집에서) 나오면 (타인과) 사이좋게 지내고, (일을 하는데 있어서)삼가고 신뢰가 있어야 하고, 무릇 타인을 사랑하고 인(仁)하고 친하게 지내야 한다(가깝게 한다는 뜻으로 보임). 그리고 힘이 남은 다음에서야 학문을 행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이 되고나서 공부해라는 말이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이 되고나서 공부해라는 말이다.  


"삼갈 근(謹)"의 의미는 삼가다는 뜻보다는 일을 대하는데 신경과 주의를 더 기울여라라는 의미로 보인다.
"삼갈 근(謹)"의 의미는 삼가다는 뜻보다는 일을 대하는데 신경과 주의를 더 기울여라라는 의미로 보인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易 "바꿀 역, 쉬울 이"로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어떤 견해를 취할지는 궁극적으로 이 글을 읽는 {{위키러}}가 판단할 문제이지만, 여기서는 "쉬울 이"에서 파생된 "가볍게 여기다"로 풀이했다. 소중히 여긴다(重)와 가볍게 여긴다(輕)로 문장구조상 대조가 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그리고 다수의 번역서는 "바꿀 역"으로 해석하였다. 그 경우에도 '현명한 이를 현명하게 여기되, 그 호색하는 마음을 바꾼다.(주희 논어집주 등)', '어진 이를 어질게 여기되 색(겉모습)을 바꾸며. (논어언해 등)', '현인을 미색과 바꾸라' 같은 풀이 외에도 견해가 갈린다. {{--|"자하가 겉모습을 가벼이 여겼을 리가 없는데... 예를 들어 [[논어/자장#19-12]] 참조, 외면의 행태도 내면만큼 키워야 하니 바꿀 역이 맞다" vs "그게 아니라 문장구조상 뒤의 세 가지와는 다르고, 맥락상 배웠다는 것을 겉모습으로 혹은 어디에서 배웠다는 것만으로 판단하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가볍게 여길 이가 맞다"}}
易 "바꿀 역, 쉬울 이"로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어떤 견해를 취할지는 궁극적으로 이 글을 읽는 {{위키러}}가 판단할 문제이지만, 여기서는 "쉬울 이"에서 파생된 "가볍게 여기다"로 풀이했다. 소중히 여긴다(重)와 가볍게 여긴다(輕)로 문장구조상 대조가 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그리고 다수의 번역서는 "바꿀 역"으로 해석하였다. 그 경우에도 '현명한 이를 현명하게 여기되, 그 호색하는 마음을 바꾼다.(주희 논어집주 등)', '어진 이를 어질게 여기되 색(겉모습)을 바꾸며. (논어언해 등)', '현인을 미색과 바꾸라' 같은 풀이 외에도 견해가 갈린다. {{--|"자하가 겉모습을 가벼이 여겼을 리가 없는데... 예를 들어 [[논어/자장#19-12]] 참조, 외면의 행태도 내면만큼 키워야 하니 바꿀 역이 맞다" vs "그게 아니라 문장구조상 뒤의 세 가지와는 다르고, 맥락상 배웠다는 것을 겉모습으로 혹은 어디에서 배웠다는 것만으로 판단하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가볍게 여길 이가 맞다"}}


色 "색깔 색"은 여색을 탐하다는 말에서 처럼 색은 주로 얼굴모양, 미모 등을 말하거나, 기색(氣色) 혹은 눈에 보이는 외면을 말한다.
色 "색깔 색"은 여색을 탐하다는 말에서 처럼 색은 주로 얼굴모양, 미모 등을 말하거나, 기색(氣色) 혹은 눈에 보이는 외면을 말한다.  


事君能致其身에서 能은 능히, 거뜬히 라는 의미이고 致(치) 다하다는 의미로 "목숨을 다하다"라는 말에서 다하다의 의미와 동일하다. 즉 이 말은 군주를 모시는데 있어서 목숨을 바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事君能致其身에서 能은 능히, 거뜬히 라는 의미이고 致(치) 다하다는 의미로 "목숨을 다하다"라는 말에서 다하다의 의미와 동일하다. 즉 이 말은 군주를 모시는데 있어서 목숨을 바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