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틀:새 질병 정보 결핵(Tuberculosis, TB)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결핵균은 주로 에서 질병을 일으키지만(폐결핵), 몸의 다른 부위에서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증상이 없는데, 이러한 상태를 잠복감염이라고 한다. 잠복감염 환자의 약 10%는 실제 증상을 나타내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며, 활동성 결핵 환자의 절반 정도는 사망에 이른다. 활동성 결핵의 주요 증상은 가 섞인 가래를 동반하는 만성적인 기침, , 식은땀, 체중감소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 의학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결핵을 노채(勞瘵), 노증(勞症) 등으로 불렀는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치게 만드는[1] 소모성 질환이라는 결핵의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2] 서양 문화권에서도 예로부터 이와 비슷하게 ‘소모’라는 뜻의 consumption을 결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개요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이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가 기침, 침 뱉기, 대화, 재채기를 할 때 다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긴다. 잠복감염 환자는 질병을 퍼뜨리지 못한다. 에이즈 환자나 흡연자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크다. 활동성 결핵 환자는 흉부 X선 촬영이나 가래 속에 있는 결핵균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진단 가능하다. 잠복감염 환자는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ST)나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결핵의 예방법은 ⓵ 결핵 고위험군에 대한 결핵검진 ⓶ 결핵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 ⓷ BCG 백신 접종 등이다. 결핵 고위험군은 활동성 결핵환자의 가족과 직장동료를 포함한다. 치료법은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들을 투여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다제내성 결핵이 늘어나면서 결핵균의 항생제 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세계 인구의 1/3은 결핵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매년 세계인구의 약 1%가 결핵에 신규 감염되고 있다. 2014년 한 해 동안 960만 명의 활동성 결핵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에서 150만 명이 사망했다. 결핵은 대표적인 후진국형 질병으로서, 사망자의 95%는 개발도상국의 국민이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대한민국은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결핵 발병률이 개발도상국 수준으로 매우 높다. 2000년 이후로 결핵 신규 감염자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결핵 환자의 80%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며 한국도 결핵이 창궐하는 나라 중 하나이다. 한국인의 36.8%는 결핵에 잠복 감염된 상태이다.[3] 결핵은 고대로부터 인류 역사와 함께 해 온 질병이다.

증상

결핵은 주로 폐에 감염을 일으키지만(폐결핵), 우리 몸 어디에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폐 이외의 부위에 결핵균이 감염되는 것을 폐외(肺外) 결핵이라 하며, 폐결핵과 폐외 결핵이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결핵의 공통 증상으로는 미열, 오한, 식은땀, 식욕저하, 체중감소, 피로 등이 있다. 손톱이 곤봉 모양으로 뭉툭하게 변하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

폐결핵

잠복 감염된 결핵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면, 대부분(약 90%)은 폐에 질병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가슴통증가래를 동반하는 만성적인 기침 등이 있다. 25%의 환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무증상 감염). 경우에 따라서 기침을 할 때 소량의 혈액을 토할 수 있다. 결핵은 만성 질환으로 경과하여 허파의 앞쪽 엽에 심한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결핵은 허파의 뒤쪽 엽보다는 앞쪽 엽에 질병을 더 흔하게 일으킨다. 그 이유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폐외 결핵

활동성 결핵 환자의 15-20%에서는 감염이 폐외로 퍼져나가는데, 이를 폐외 결핵이라고 한다. 폐외 결핵은 면역이 저하된 환자와 어린 아이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에이즈 환자가 활동성 결핵에 걸릴 경우 폐외 결핵 증상이 나타날 확률은 50% 이상으로 비교적 높다. 폐외 결핵 감염이 일어나는 주요 부위로는 흉강, 중추신경계, 림프계, 비뇨생식계, 뼈와 관절 등이 있다.

림프계로 퍼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인근의 감염된 림프절에서 유래한 궤양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은 통증은 없지만 서서히 크기가 커진다.

뼈로 퍼지는 경우를 “골결핵”이라고 하는데, 이는 일종의 골수염이다. 결핵균이 몸 전체로 널리 퍼지는 경우를 “파종결핵” 또는 속립결핵 이라고 하며 이 경우는 매우 치명적이다. 속립결핵은 폐외 결핵의 10%를 차지한다.

진단

결핵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가까운 보건소 결핵검사실에 들러 무료 검진을 받도록 하자.

진단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객담배양검사와 흉부 X선 촬영이 있다.

  • 객담배양검사는 객담(가래)으로 배출된 결핵균을 검출하는 검사로 장기간의 배양 기간(빨라야 2주)이 필요하나, 정확도는 높다. 보건소 기준으로 방문 즉시 채취 1회, 자기 전 1회, 일어난 직후 1회씩 총 3회 채취하며, 채취 1회당 최소 3mL의 시료가 필요하다.
  • 흉부 X선 촬영은 폐결핵으로 인한 염증을 잡아내기 위한 검사로,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으나 잠복기 또는 발병 초기인 경우 잡아내기 어렵다. 기숙사 등 집단 생활 시설에서 흉부 X선 소견서를 요구하는 이유 중 하나.

치료

결핵의 원인은 세균(결핵균)이므로 결핵균을 죽이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한다. 결핵균은 세포벽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약물이 세포벽을 뚫고 세균 안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우며 웬만한 항생제에는 잘 듣지 않는다. 그래서 결핵 치료는 최소 6개월 정도로 오래 걸린다. 잠복감염된 경우에는 보통 한 종류의 항생제만 사용하여 치료하는 반면에, 활동성 결핵 환자의 경우에는 결핵균이 항생제 내성을 갖지 않도록 여러 종류의 항생제들을 동시에 투여해서 치료한다. 국내에서는 결핵 환자가 워낙 많이 발생하다보니 활동성 결핵 환자의 치료에만 신경 쓰기에도 버거운 상황이라 잠복 결핵 환자는 별로 신경을 안 써왔다. 그러나 잠복 결핵 환자의 10%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발병 가능성에 따라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잠복 결핵 환자의 경우 따로 약(항생제)을 투여 받지 않고 활동성 결핵으로 넘어가지 않는지 여부만 주기적으로 검사하며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

신규 환자

폐결핵 신규 환자에 대한 치료법은 6개월 동안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첫 2달 동안은 리팜피신, 아이소나이아지드, 피라진아마이드, 에탐부톨 등을 투여하며, 이후 4달 동안은 리팜피신과 아이소나이아지드를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아이소나이아지드에 대한 내성균이 많이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에탐부톨을 이후 4달동안의 기간에 투여할 수도 있다.

재발 환자

신규 환자의 경우 6개월 동안 꾸준히 약을 먹으면 대부분 낫는다. 하지만 여러 종류의 약을 6개월씩이나 먹는 것이 귀찮은 나머지 환자가 임의로 약을 끊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결핵균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질 수 있다.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결핵균에 재차 감염될 경우 치료 기간도 늘어나고, 치료 약물도 더 많아진다. 그러니까 제발 의사선생님 말듣고 약 꼬박꼬박 챙겨먹자. 너 목숨이 달린 일이다.

치료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결핵균이 어떤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다재내성균으로 판명될 경우에는 가장 효과적인 항생제 최소 4개 이상을 18-24개월 동안 투여한다.

예방

결핵균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며, BCG 백신을 접종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생후 1개월 이내에 의무적으로 접종한다. 또한 외국에서 출산 후 국내로 귀국하였을 때, 만 5세 미만이라면 접종 대상이다.

BGC는 경피용 백신과 피내용 백신으로 나뉜다. 경피용은 흉터가 넓고 흐릿하게 남고, 피내용은 흉터가 뚜렷하고 작게 남는 차이만 있다. 접종 위치는 왼팔 삼각근이다.[4]

피내용 백신은 불주사라는 별명이 있다. 결핵은 오래 전부터 필수 백신으로 학교에서 접종했으며, 일회용 주사기가 없던 시절에 유리 주사기를 재사용하면서 감염을 막기 위해 고온 살균했으나 대량 접종 과정에서 다 식히지 못하고 뜨거운 주사기를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현대에는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 일은 없다.

각주

  1. 勞(일할 노)자는 ‘지치다’는 의미가 있다.
  2.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최은경, 2012년 8월
  3. 국내 잠복결핵감염 양성률 36.8%…5~10%가 결핵 발병, 쿠키뉴스, 2016년 9월 26일
  4. <BCG>, 아는 만큼 쉬워지는 육아 이야기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Tuberculosis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