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진료과= 내과
| 진료과= 내과
}}
}}
== 개요 ==
'''결핵'''(Tuberculosis, '''TB''')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결핵균은 주로 [[폐]]에서 질병을 일으키지만(폐결핵), 몸의 다른 부위에서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증상이 없는데, 이러한 상태를 [[잠복감염]]이라고 한다. 잠복감염 환자의 약 10%는 실제 증상을 나타내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며, 활동성 결핵 환자의 절반 정도는 사망에 이른다. 활동성 결핵의 주요 증상은 [[피]]가 섞인 [[가래]]를 동반하는 만성적인 [[기침]], [[열]], [[식은땀]], [[체중감소]]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 의학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결핵을 '''노채'''(勞瘵), '''노증'''(勞症) 등으로 불렀는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치게 만드는<ref>勞(일할 노)자는 ‘지치다’는 의미가 있다.</ref> 소모성 질환이라는 결핵의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ref>[https://www.medhist.or.kr/upload/pdf/kjmh-21-2-227.pdf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최은경, 2012년 8월</ref> 서양 문화권에서도 예로부터 이와 비슷하게 ‘소모’라는 뜻의 '''consumption'''을 결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결핵'''(Tuberculosis, '''TB''')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결핵균은 주로 [[폐]]에서 질병을 일으키지만(폐결핵), 몸의 다른 부위에서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증상이 없는데, 이러한 상태를 [[잠복감염]]이라고 한다. 잠복감염 환자의 약 10%는 실제 증상을 나타내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며, 활동성 결핵 환자의 절반 정도는 사망에 이른다. 활동성 결핵의 주요 증상은 [[피]]가 섞인 [[가래]]를 동반하는 만성적인 [[기침]], [[열]], [[식은땀]], [[체중감소]]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 의학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결핵을 '''노채'''(勞瘵), '''노증'''(勞症) 등으로 불렀는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치게 만드는<ref>勞(일할 노)자는 ‘지치다’는 의미가 있다.</ref> 소모성 질환이라는 결핵의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ref>[https://www.medhist.or.kr/upload/pdf/kjmh-21-2-227.pdf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최은경, 2012년 8월</ref> 서양 문화권에서도 예로부터 이와 비슷하게 ‘소모’라는 뜻의 '''consumption'''을 결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 개요 ==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이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가 기침, 침 뱉기, 대화, 재채기를 할 때 다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긴다. 잠복감염 환자는 질병을 퍼뜨리지 못한다. [[에이즈]] 환자나 [[흡연|흡연자]]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크다. 활동성 결핵 환자는 [[흉부 X선]] 촬영이나 가래 속에 있는 결핵균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진단 가능하다. 잠복감염 환자는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ST)나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이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가 기침, 침 뱉기, 대화, 재채기를 할 때 다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긴다. 잠복감염 환자는 질병을 퍼뜨리지 못한다. [[에이즈]] 환자나 [[흡연|흡연자]]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크다. 활동성 결핵 환자는 [[흉부 X선]] 촬영이나 가래 속에 있는 결핵균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진단 가능하다. 잠복감염 환자는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ST)나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결핵의 예방법은 ⓵ 결핵 고위험군에 대한 결핵검진 ⓶ 결핵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 ⓷ [[BCG]] [[백신]] 접종 등이다. 결핵 고위험군은 활동성 결핵환자의 가족과 직장동료를 포함한다. 치료법은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들을 투여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다제내성 결핵]]이 늘어나면서 결핵균의 [[항생제 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증상 및 진단 ==
== 증상 및 진단 ==

2017년 8월 7일 (월) 16:08 판

결핵
질병 정보
원인 결핵균 감염
증상 기침, 객담, 고열, 식욕부진
진료과 내과

결핵(Tuberculosis, TB)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결핵균은 주로 에서 질병을 일으키지만(폐결핵), 몸의 다른 부위에서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증상이 없는데, 이러한 상태를 잠복감염이라고 한다. 잠복감염 환자의 약 10%는 실제 증상을 나타내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며, 활동성 결핵 환자의 절반 정도는 사망에 이른다. 활동성 결핵의 주요 증상은 가 섞인 가래를 동반하는 만성적인 기침, , 식은땀, 체중감소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 의학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결핵을 노채(勞瘵), 노증(勞症) 등으로 불렀는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치게 만드는[1] 소모성 질환이라는 결핵의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2] 서양 문화권에서도 예로부터 이와 비슷하게 ‘소모’라는 뜻의 consumption을 결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개요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이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가 기침, 침 뱉기, 대화, 재채기를 할 때 다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긴다. 잠복감염 환자는 질병을 퍼뜨리지 못한다. 에이즈 환자나 흡연자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크다. 활동성 결핵 환자는 흉부 X선 촬영이나 가래 속에 있는 결핵균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진단 가능하다. 잠복감염 환자는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ST)나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결핵의 예방법은 ⓵ 결핵 고위험군에 대한 결핵검진 ⓶ 결핵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 ⓷ BCG 백신 접종 등이다. 결핵 고위험군은 활동성 결핵환자의 가족과 직장동료를 포함한다. 치료법은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들을 투여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다제내성 결핵이 늘어나면서 결핵균의 항생제 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증상 및 진단

주요 증상으로 2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객담(혹은 각혈), 고열, 식욕부진 등이 있다. 해당 증상 의심시 가까운 보건소 결핵검사실을 찾으면 무료 검진이 가능하다.

진단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객담배양검사와 흉부 X선 촬영이 있다.

  • 객담배양검사는 객담(가래)으로 배출된 결핵균을 검출하는 검사로 장기간의 배양 기간(빨라야 2주)이 필요하나, 정확도는 높다. 보건소 기준으로 방문 즉시 채취 1회, 자기 전 1회, 일어난 직후 1회씩 총 3회 채취하며, 채취 1회당 최소 3mL의 시료가 필요하다.
  • 흉부 X선 촬영은 폐결핵으로 인한 염증을 잡아내기 위한 검사로,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으나 잠복기 또는 발병 초기인 경우 잡아내기 어렵다. 기숙사 등 집단 생활 시설에서 흉부 X선 소견서를 요구하는 이유 중 하나.

치료

세균이 일으키는 병이므로, 세균을 죽이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한다. 문제는 결핵균이 대식세포 안에서 계속 생존하면서 항체에 내성을 획득하여 약발이 듣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결핵 환자 처방시 항생제를 여러 종류로 투하하여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갖기 전에 다른 항생제로 균을 죽이도록 하고 있다.

결핵균은 성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진단이 오래 걸리는 만큼 치료도 오래 걸린다. 항생제는 세포 분열 과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주요 원리인데, 성장 속도가 느리므로 세포 분열도 적어서 항생제가 활약할 구석이 없다. 기본적으로 6개월치를 처방하며, 이 때문에 환자들이 긴 복용 기간에 질려 임의로 약을 끊었다가 내성균이 출몰해서 항생제를 퍼부어도 잘 안 잡히는 사례가 속출한다.

예방

결핵균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며, BCG 백신을 접종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생후 1개월 이내에 의무적으로 접종한다. 또한 외국에서 출산 후 국내로 귀국하였을 때, 만 5세 미만이라면 접종 대상이다.

BGC는 경피용 백신과 피내용 백신으로 나뉜다. 경피용은 흉터가 넓고 흐릿하게 남고, 피내용은 흉터가 뚜렷하고 작게 남는 차이만 있다. 접종 위치는 왼팔 삼각근이다.[3]

피내용 백신은 불주사라는 별명이 있다. 결핵은 오래 전부터 필수 백신으로 학교에서 접종했으며, 일회용 주사기가 없던 시절에 유리 주사기를 재사용하면서 감염을 막기 위해 고온 살균했으나 대량 접종 과정에서 다 식히지 못하고 뜨거운 주사기를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현대에는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 일은 없다.

각주

  1. 勞(일할 노)자는 ‘지치다’는 의미가 있다.
  2.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최은경, 2012년 8월
  3. <BCG>, 아는 만큼 쉬워지는 육아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