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급 구축함

203.226.208.64 (토론)님의 2020년 4월 9일 (목) 17:51 판

틀:군함 정보

개요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의 구축함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첫 이지스함이다.

한국 해군이 보유한 함정 중 가장 강력한 전투력을 지닌 군함으로 3척의 동형함들이 건조되었고 네임쉽인 세종대왕함을 비롯해 2번함 율곡 이이함, 3번함 서애 류성룡함이 세종대왕급을 구성하고 있다.

흔히 KDX라 알려진 한국형 구축함 계획에서 광개토대왕급과 충무공 이순신급으로 이어지는 한국형 구축함 계보 중 3번째이며 진수 전에는 계획명인 KDX-3라는 계획명으로 불렸다. 세종대왕급의 건조로 한국은 이지스함을 보유한 5번째 국가가 되었고 강력한 방공능력을 지닌 이지스함의 도입으로 한국 해군은 함대 방공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세종대왕급의 함종은 구축함 종류 중 유도탄 구축함(DDG)으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분류는 이전 구축함들이 헬기운용구축함(DDH)으로 분류되는 것과 대비되며 이는 세종대왕급이 방공 임무에 치중된 방공구축함으로 건조되었음을 말해준다.

세종대왕급은 기동함대인 제7기동전단에 배치되어 있어 기존 해역함대와 달리 주로 원양 작전에 투입되며 독도, 이어도 방위의 핵심 전력이다.

한편 건조 당시부터 1만톤을 넘어가는 경순양함급 배수량으로 구축함보단 순양함으로 보는 시선이 있었으며 발표된 배수량이 축소발표 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그만큼 일반적인 서방권 군함보다 그 규모가 큰 편이며 미국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을 넘어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수준의 체급을 지닌 군함이다. 또한 동급 체급의 군함과 비교했을 시 더 많은 무장탑재가 가능해

역사

기원
세종대왕급의 역사는 1980년대 부터 해군의 현대화와 대양해군을 지향하는 해군의 전략에서 비롯된 한국형 구축함 사업(KDX)에서 비롯되었다.
주변국의 해군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해군은 그 한계를 실감하게 되는데, 당시 KDX 사업이 시작된 1980년에서 1990년대 한국 해군은 2차대전에 쓰였던 중고 구축함을 주력으로 운용할 만큼 낙후되어 있었기에 주변국 해군에 맞서는 건 불가능했다.
그렇게 해군 현대화 계획에 따라 3차에 걸쳐 현대식 구축함을 건조하기로 하였고 KDX-1과 KDX-2는 각각 광개토대왕급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으로 건조되어 KDX-3의 근간이 되었다. 이들의 계보를 잇는 KDX 3차 사업(KDX-3)은 1990년대 부터 이지스 체계를 도입한 함정이 구상되고 있었다.
KDX-3 계획
KDX-3가 이지스함 건조로 가닥이 잡힌 건 1985년 이지스함 소요제기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1994년에 KDX의 첫 결과물인 광개토대왕함이 건조되면서 KDX사업은 탄력을 받기 시작되었고 1995년에 KDX-3는 이지스함으로 건조하는 게 확정되면서 기본 설계가 진행되었다.
이후 2척을 건조하고 경제사정에 따라 1척을 추가로 건조하는 계획을 추진했으며, 김대중 정권을 지나 노무현 정권인 2007년 5월 25일, 현대중공업 도크에서 세종대왕함이 진수되며 대한민국 해군의 첫번째 이지스 구축함이 탄생하였다. 이후 인수과정을 거쳐 2008년 12월 22일 취역식을 거쳐 임무를 시작했다.
세종대왕급은 외관상으로만 봐선 알레이버크급과 유사한 형태지만 알레이버크급의 설계도를 기반으로 건조된 사실상의 파생형인 일본의 공고급 이지스함과 아타고급 이지스함과는 달리 세종대왕급은 우리나라에서 자체적인 설계를 거쳐 그 설계를 바탕으로 건조되었다.

성능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서방권 군함 중 최고의 전투력을 지닌 함정 중 하나이다.

방공능력

세종대왕함의 이지스 체계는 AN/SPY-1D(V)(이지스 레이더의 계열형)를 사용하는 베이스라인 7.1 버전으로 AN/SPY-1D(V)의 경우 방해 요소가 많은 근해에서 방공능력 성능에 중점을 두고 있어 우리 해역에서 작전시 함대에 대한 방공우산 전개에 효과적이디.

이 베이스라인 7.1은 미국의 신예 구축함이였던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2A에 사용된 사항으로 여기에 사용된 AN/SPY-1D(V) 평면형 위상배열레이더는 450km내에 존재하는 90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하며 여기서 위협 표적을 구분해 15~16개의 표적과 동시교전이 가능한 수준이다. S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 레이더는 스텐다드 SM-2를 중간유도 하는 데 이용되며 저고도 표적에 대해선 40km, 고고도 표적에 대해선 100km이상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종말유도시는 위생배열레이더 대신 4개의 일루미네이터로 목표를 조사해 스텐다드 미사일로 목표를 타격한다.

세종대왕급의 방공체계는 충무공 이순신급에서 처음 시도된 다층방공체계 방식을 적용한 두번째 함정이다. 1차 방어선은 스텐다드 SM-2블록3B가 함대방공과 원거리 표적을 저지하는데 사용되며 위에서 언급한대로 시 스키밍 대함미사일의 경우 약 170km~40km부터 요격할 수 있다. 한편 2차,3차 방어선은 개함방공 범위에서 이루어지며 2차는 RIM-116 램 으로 5km 내외의 방공망을 형성하고 종말돌입단계에 진입한 미사일은 골키퍼 CIWS로 방어하는 3중 방공망을 가지고 있는다. 해궁의 개발로 배치2에서는 램의 임무를 해궁이 승계하게 된다.

베이스라인7은 미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2와 일본 공고급, 아타고급과 동일 제품이기도 하는데 곧 세종대왕급의 전투체계는 타국의 이지스함과 비교했을 시 보편적인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는 걸 의미하며 타국의 이지스함과 동등 수준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다만 SM-3 운용하지 않고 미국과 일본의 이지스함이 갖춘 BMD 능력이 세종대왕급에는 없어 탄도탄 탐지,추적은 가능하나 요격은 불가능하다.

무장능력

세종대왕급은 128쉘의 수직발사대를 보유하여 서방권 군함들의 수직발사대 보유 수량인 90~96쉘을 크게 상회하는 화력을 지니고 있다.

90~96쉘의 Mk.41 수직발사대를 장비한 다른 이지스함들이 90여발의 요격미사일을 수납하는데 비하여 스텐다드 운용능례이 없는 KVLS를 제하면 80발 정도인 세종대왕급의 요격미사일 탑재 수량은 얼핏 부족한듯 보인다. 그러나 타국의 경우 90여쉘로 한정된 수직발사대에 공격용 무장을 장착하려면 요격미사일 수량을 희생해야 해 실 수납량은 세종대왕급과 비슷한 수준이며 그렇게 해도 대지,대잠미사일을 대량으로 넣기 힘들다. 반면에 세종대왕급은 타 이지스함과 동등한 수량의 요격미사일을 탑재하면서도 신설된 48쉘의 KVLS로 대지, 혹은 대잠미사일의 대량운용이 가능하다.

KVLS는 국산 무장인 해성2,해룡 순항미사일(함대지)과 홍상어 대잠로켓의 주요 플랫폼이며 KVLS에서 발사되는 해성2 함대지 순항미사일로 유사시 한반도 근해에서 반경500~1000km내의 주변국 본토를 타격하는 걸 상정하고 있는 공세적 성향이 다분한 함정이기도 하다. 한편 앞으로 해궁 대공미사일의 배치된다면 램 개함방공 미사일 대신 KVLS기반 해궁으로 변경될 여지가 크다.

이처럼 전반적인 무장능력은 미국의 이지스함과 유사한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적은 수량으로 주변국의 해상 전력과의 균형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동구권 군함들 같은 과한 공격력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나아갔고 그러한 이유로 여느 이지스함보다 공격무기의 특성을 띄고 있다.

대잠성능

한편 세종대왕급의 성능에 대해 가장 지적받는 부분은 대잠 분야로 체급에 비해 떨어지는 대잠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피탐회피

운용

동급 함정

KDX-3 BATCH 1

  • DDG-991 세종대왕함
  • DDG-992 율곡이이함
  • DDG-993 서애 류성룡함

KDX-3 BATCH 2

현재 3척(세종대왕함,율곡이이함,서애류성룡함)의 함정이 운용되고 있지만 우리 해양 영토에 대한 주변국의 위협이 심화되면서 해군력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고 북한의 탄도탄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를 방어할 수단이 필요하게 되자 세종대왕급을 추가 건조하기로 결정한다.추가로 3척이 건조

배치2는 배지1보다 선체가 확장되고 일부 무장이 변경되는 등의 차이가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탄도탄 방어능력인 BMD 능력 확보를 위해 기존 이지스 베이스라인7 대신 이지스 베이스라인9를 선택했다. 탄도탄 요격을 위해선 스텐다드 SM-6, SM-3를 운용해야 하지만 베이스라인7에선 불가능했기 때문에 BMD 기능이 포함된 베이스라인9로 선회했다.

확장된 신형 KVLS 탑재가 예정되어 있고 해궁 함대공 미사일과 신형 무장들을 운용할 계획이다. 이 신형 무장들 중에는 차기 초음속 대함미사일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며

함정목록

함번 함명 진수일 취역일 제작
DDG-991 세종대왕 2007년 5월 25일 2008년 12월 22일 현대중공업
DDG-992 율곡 이이 2008년 11월 14일 2010년 8월 31일 대우조선해양
DDG-993 서애류성룡 2011년 3월 24일 2012년 8월 30일 현대중공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