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선

Vfx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월 6일 (월) 10:13 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틀:수도권 5호선 틀

{{{이름}}}
파일:하남선 서울시.jpg
나라 대한민국
종류 광역철도
영업거리 7.725 km
역 수 6
소유자 서울특별시(1공구)
경기도·하남시(2~5공구)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개통일 1단계(1,2,3 공구) : 2020년 5월 예정
2단계(4,5 공구) : 2020년 12월 15일 예정
시설 정보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 복선
신호 ATC/ATO

개요

서울 지하철 5호선상일동역에서 경기도 하남시로 연장하는 노선으로, 그 기원은 92년 경전철 시범 사업 구상에서 출발한다.[1] 도시철도 사업으로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가 시행하는 사업이며 일부 예산은 LH 미사지구 입주자들이 낸 돈이다. 서울전용 정기권은 강일역까지만 사용 가능.

역사

연혁

건설배경

서울 동쪽에 인접해 있으면서도 서울방면 이동은 올림픽대로 등 도로에 의존하던 하남시에 최초로 건설되는 철도노선이다. 하남시는 오래전부터 경전철 사업을 통해서라도 서울과 연결되는 철도를 구상하고 있었으나, 정작 서울 강동구와 하남시 경계선에 설정된 그린밸트의 영향으로 인구가 적고 도시개발이 더뎠으며, 철도 건설시 중요한 수요에 대한 문제가 발목을 잡아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다.

그러다가 2009년, 보금자리주택 조성사업에 하남시의 망월동, 풍산동, 덕풍동, 선동 일원을 포함하는 미사강변도시가 계획되었고, 그린밸트가 해제되면서 본격적인 신도시 건설사업이 진행되었다. 미사강변도시에 입주하는 인구가 당시 하남시 전체 인구와 대등한 수준으로 예측되었기 때문에 경전철 구상이 중전철(5호선 연장)로 변경되어 경기도와 서울시의 합의끝에 노선연장이 확정되어 착공하게 되었다.

강일역과 개통지연

1공구에 걸쳐있는 강일역 시공에서 문제가 생기면서 공기가 지연되어, 전체 노선의 개통이 질질 끌려다녔다. 결국 강일역을 무정차한다는 전제로 1공구 건설주체이자 운영주체인 서울특별시와 정치권이 2020년 상반기 개통을 잠정합의함에 따라 강일역은 2020년 하반기 개통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1단계 구간의 개통도 2019년 상반기에서 2020년 4월 25일로 연기된 전례가 있었고, 공사중 안전문제 등이 다시 발목을 잡으면서 2020년 5월 개통으로 다시 일정이 밀려난 상황이다.

운행차량

역 목록

역 번호 km 역명 환승 소재지
553 0.0 상일동 上一洞 5호선 (직결 운행) 서울특별시 강동구
554 강일 江一
555 미사 渼沙 경기도 하남시
556 하남풍산 河南豊山
557 하남시청(덕풍·신장) 河南市廳(德豊·新長)
558 하남검단산 河南鈐丹山

미래

  • 서울 지하철 3호선 환승
    문재인 정부 들어서 수도권 과밀화 해소를 위한 3기 신도시 계획이 발표되었는데, 여기에 하남의 교산신도시가 포함되면서 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연장이 확정되었다. 교산신도시를 통과하는 3호선 연장노선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전액 부담하기로 결정되면서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어 빠른 건설이 가능하지만, 정작 3기 신도시 건설을 위한 지구지정 등 행정절차가 연기되면서 자연스럽게 3호선의 연장도 미뤄지고 있다. 정부의 계획대로 교산신도시가 완공되면 하남시청역에서 5호선과 3호선의 환승이 이뤄지게 된다.
  • 서울 지하철 9호선 환승
    9호선의 하남미사지구 연장이 확정될 경우, 강일역까지 9호선이 연장되어 환승역이 된다. 2019년 현재는 조건부 추진으로 조건이 달려있는 상태.
  • 팔당역 연장
    양평군에서 강력하게 추진중인 사업으로, 하남선 구간의 종착역인 하남검단산역부터 팔당역까지 노선을 연장하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환승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연장구간의 길이는 약 2.3 km 정도로 길지는 않지만, 문제는 두 역 사이를 한강이 가로지르고 있으므로 이를 건너기 위한 철교나 하저터널이 요구되므로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것이다. 팔당역 주변의 수요가 이런 막대한 공사비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높지 않아 예비타당성 조사의 결과가 희망적이지 않다는게 문제. 팔당역 연장이 실현될 경우 5호선은 한강을 3번이나 건너는 노선이 될 전망이다.

여담

  • 이미 타 지역에 건설된 역명과 중복될 문제가 높아 역명에 하남이 표기된 사례가 많다. 하남의 풍산지구에 건설될 역명은 기존에 건설된 고양시풍산역과 중복되므로 하남풍산역으로, 하남검단산역의 경우에는 인천광역시의 검단산과 검단지구 등과 혼동될 우려가 높아 하남을 표기하게 되었다. 비슷하게는 서울 강남에 위치한 논현동과 유사한 지명 및 이미 건설된 논현역신논현역 등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로 역명앞에 지명을 붙인 인천논현역의 사례와 유사하다.

각주

틀:대한민국의 광역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