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U8

Wnernst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3월 7일 (수) 08:23 판
{{{이름}}}
나라 독일 독일
종류 도시철도
영업거리 18.0 km
역 수 24
운영자 BVG
개통일 1927년 7월 17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 구간)

베를린 U8은 베를린 북쪽의 라이니켄도르프에서 시작해서 게준트브루넨, 미테, 크로이츠베르크, 노이쾰른 구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베를린 U반 노선이다. 개통 당시에는 D선으로 불렸다.

역사

원래 이 노선은 공영 철도가 아닌 AEG의 사설 철도로 계획되었다. 계획 자체는 1902년 게준트브루넨-노이쾰른 간 모노레일로 제안되었으나 이미 이 시기에 늘어난 교통량 때문에 모노레일은 현실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고, 1907년 AEG가 지하철 건설을 제안했다. 베를린 시와 협상 끝에 1912년 착공에 들어갔으나, 제1차 세계대전과 연이어 찾아온 대공황 탓에 1919년 10월 공사가 중단되었다. AEG에서 더 이상 공사를 진행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에 건설 회사가 파산했고, 당시 베를린 시는 U6 건설 만으로도 버거웠기 때문에 1926년이 되어서야 공사를 재개할 수 있었다. 1927년 7월 17일 노선 남쪽 끝인 보딘슈트라세-쇤라인슈트라세 구간이 개통되었다. 비록 원래 사철 계획은 엎어졌지만, 노선 색으로 사용하려고 했던 어두운 파란색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노선 공사는 남북으로 계속되어 1928년 2월 12일에는 쇤라인슈트라세-코트부서 토어, 같은 해 4월 6일에는 코트부서 토어-하인리히-하이네-슈트라세 구간이 개통되었다. 코트부서 토어-하인리히-하이네-슈트라세 역 사이는 원래 선시공부를 사용하여 직선으로 노선을 건설할 예정이었으나, 현재의 모리츠플라츠 역에 백화점을 건설하고 도시 철도 노선을 끌어오고 싶었던 베르트하임(Wertheim) 그룹의 출자로 노선이 드리프트를 돌도록 변경되었다. 베르트하임 백화점은 제3제국 시기에 유대인 자본이라는 이유로 강탈당했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폭격으로 사라진 후 다시 지어지지 않았으나, 철도 노선은 계속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1929년 8월 4일 보딘슈트라세-라이네슈트라세, 1930년 4월 18일 하인리히-하이네-슈트라세-게준트브루넨 간이 개통되면서 원래 목표로 했던 구간은 다 지어졌다.

베를린이 분단되면서 서쪽의 U6호선과 함께 중심부 구간이 잘려나갔다. 당시 운행 구간의 절반에 가까운 베르나우어 슈트라세-하인리히-하이네-슈트라세 구간이 통째로 유령역이 되었고, 프리드리히슈트라세 역이 국경역으로 지정되어 중간에 잠시나마 열차가 섰던 U6과는 달리 U8 쪽의 어느 역에도 국경 통과 시설이 설치되지 않았다. 한동안 U8 노선의 중요성이 감소하였다가, 서베를린 북동부 메르키셰스 피어텔(Märkisches Viertel)에 새로운 주거지를 개발하기로 결정하면서 U8을 더 북쪽으로 끌고 가기로 결정하였다. 비록 개발 예정지 근처에 S반 노선과 비테나우 역이 있긴 했으나, 베를린 분단 당시 서베를린 지역의 S반은 동독과의 연관성 때문에 보이콧당했기 때문에 새로운 U반 노선이 평행하게 건설되었다. 1977년 10월 2일 게준트브루넨 역에서 북쪽으로 오슬로어 슈트라세 역까지의 구간이 건설되었다. 오슬로어 슈트라세 역은 비슷한 시기에 건설된 U9와의 환승역이며, 연결선도 같이 건설되었다. 1987년 4월 27일에는 더 북쪽으로 나아가서 오슬로어 슈트라세-파라첼수스-바트 구간이 개통되었다. 해당 구간은 1980년에 착공하였다.

1981년 3월에는 이 노선을 통해서 한 가족이 동독을 탈출하는 사건이 있었다. 동독 BVB의 한 신호 기술자는 알렉산더플라츠 역 주변의 신호기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 구간을 통해서 가족과 함께 동독 탈출을 결심했다. 알렉산더플라츠 역 주변으로는 동베를린 U반 A/E선과 서베를린 U8의 연결선이 설치되어 있고, 서베를린 쪽으로 연결되는 선로가 개방되면 경보가 울리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사건 당일 저녁, 우선 가족들을 연결선의 동베를린 끝까지 진입시킨 다음, 야노비츠브뤼케 역의 신호 설비를 점검한다는 명목으로 서베를린 열차가 다니는 U8 역사로 들어왔다. 그리고 연결선의 서베를린 끝으로 간 다음, 경보를 울리지 않고 가족들을 빼내 오기 위해서 출입문 보안 장치를 부쉈다. 가족들을 서베를린 쪽 선로로 진입시킨 다음, 선로변의 신호기를 조작해서 야노비츠브뤼케 역에서 남쪽으로 가는 서베를린 U8 열차를 정지시켰다. 열차가 서베를린에 도착한 후 가족들은 연합군에 인계되었고, 동독의 슈타지는 사건이 발생한 다음 날 새벽에 현장을 조사했다.

1984년 서베를린 BVG가 베를린 S반을 다시 운영하게 되면서, 서독 연방정부에서는 그 동안 관리되지 않았던 S반 유지보수에 예산을 쓸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U8의 추가 북부 연장은 잠시 중단되었으나, 서베를린에서 못먹어도 고를 외친 덕분에 1985년 마지막 북부 구간이 착공되었다. 1994년 9월 24일 파라첼수스-바트-비테나우 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한편 1920년대부터 계획된 남부 연장도 통일 이후에 와서야 이루어졌다. 1996년 이전의 남쪽 종점인 라이네슈트라세 역 남쪽에 S반 헤르만슈트라세 역이 있었으나, 직접적인 환승은 1996년 7월 13일 연장 구간이 개통된 이후에야 가능했다.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S반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S반 노선과 연결시킬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고, 통일 이후에서야 완공했다. 한편 더 남쪽으로 나아가서 노이쾰른으로 이으려는 계획은 U7이 먼저 들어오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역 목록

보딘슈트라세 역에서 숫자가 양쪽으로 증가하는 것은 눈의 착각이 아니라 노선의 역사 때문이다.

km 역명 승강장 구조 접속 노선
16.6 비테나우 Wittenau │■│ 베를린 S반 S1 S85
15.5 라트하우스 라이니켄도르프 Rathaus Reinickendorf │■│
14.3 카를-본회퍼-네르벤클리니크 Karl-Bonhoeffer-Nervenklinik │■│ 베를린 S반 S25
13.7 린다우어 알리 Lindauer Allee ■││■
13.0 파라첼수스-바트 Paracelsus-Bad │■│
12.0 레지덴츠슈트라세 Rezidenzstraße │■│
11.3 프란츠-노이만-플라츠 Franz-Neumann-Platz │■│
10.3 오슬로어 슈트라세 Osloer Straße │■│ U9
9.5 판크슈트라세 Pankstraße │■│
8.9 게준트브루넨 Gesundbrunnen │■│ 장거리 열차, 베를린 S반 S1 S2 S25 S41 S42
8.1 볼타슈트라세 Voltastraße │■│
7.5 베르나우어 슈트라세 Bernauer Straße │■│
6.6 로젠탈러 플라츠 Rosenthaler Platz │■│
6.0 바인마이스터슈트라세 Weinmeisterstraße │■│
5.2 알렉산더플라츠 Alexanderplatz │■│ 장거리 열차, 베를린 S반 S3 S5 S7, U2 U5
4.5 야노비츠브뤼케 Jannowitzbrücke │■│ 베를린 S반 S3 S5 S7
3.9 하인리히-하이네-슈트라세 Heinrich-Heine-Straße │■│
3.0 모리츠플라츠 Moritzplatz │■│
2.2 코트부서 토어 Kottbuser Tor │■│ U1
1.5 쇤라인슈트라세 Schönleinstraße │■│
0.7 헤르만플라츠 Hermannplatz │■│ U7
0.0 보딘슈트라세 Boddinstraße │■│
0.7 라이네슈트라세 Leinestraße │■│
1.4 헤르만슈트라세 Hermannstraße │■│ 베를린 S반 S41 S42 S45 S46 S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