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진

Wnerns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1월 14일 (화) 18:14 판

낙진(落塵)이란 말 그대로 떨어지는 먼지를 가리킨다. 단어의 원래 뜻을 생각하자면 위에서 떨어지는 모든 먼지를 낙진이라고 부를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크게 두 경우에 사용한다.

자연적 낙진

화산 폭발이나 운석 충돌 등으로 인해 공중으로 날아간 쇄설물이 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광범위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강력한 화산폭발로 인해 발생한 낙진이 태양광을 차단하여 기온을 떨어뜨려 소빙하기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며, K-T 대멸종의 원인인 운석이 유카탄 반도에 충돌하면서 발생시킨 낙진 또한 기온을 떨어뜨려 공룡을 비롯한 많은 생물을 멸종시켰다고 여겨진다.

방사성 낙진

주로 '낙진'이라고 하면 이 경우를 가리킨다.

핵폭탄으로 인해 발생하는 낙진이다. 일반적인 폭탄보다 폭발규모가 커서 낙진의 양 또한 많아지는데, 문제는 이 낙진들이 방사선을 뒤집어쓰면서 방사성 물질이 된다는 것이다. 핵폭탄의 2차적 피해원인으로, 핵폭탄의 직접 공격에서 벗어난 사람들이 가장 먼저 해야될 것이 낙진을 피해 달아나거나 숨는 것이다.

방사성 낙진은 시간이 지날수록 안정되어 방사능이 줄어드는데, 보통 쉘터에서 밖으로 나와도 되는 시간이 핵폭발로부터 48시간 이후로 여겨진다. 이 때면 그나마 돌아다녀도 크게 위험하지는 않을 수준으로 방사능이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