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관념

Unter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3월 7일 (화) 21:04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심리학을(를) 삭제함, 분류:생각을(를) 추가함)

stereo type, fixed idea
固定觀念

개요

특정 집단의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과잉 일반화 또는 부정확하게 일반화된 신념이다. 일반적인 것으로 성, 인종, 민족, 직업집단에 관한 고정관념을 들 수 있다. 고정관념은 사회적 지각에서 많은 부정확성의 기초를 형성한다. 쉽게말해 특정한 집단에서 통용되는 일반화의 오류의 집합체로 생각할 수 있다.

사례

  • 남자는 밖에서 일을 하며, 여자는 집안에서 내조를 하는게 자연스럽다.
  • 남자가 부엌 출입을 자주 하면 고추가 떨어진다(...)
  •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에 있어서 남자와 여자간의 형평성 문제.
  • 남여칠세 부동석.
  • 흑인의 신체적 능력은 타 인종에 비해 우월할 것이다.
  • 하늘의 색깔은 파란색이다.
  • 사람은 아침, 점심, 저녁의 세 끼를 챙겨먹어야 한다.
  • 휴가철에는 여행을 떠나는게 당연하다.
  • 공부를 잘 해야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다.
  • 일본인들은 굉장히 친절한 편이다.
  • 애인이 있으면 행복할 것이다.

고정관념을 깨는 사례

  • MBC의 인기 예능 프로그램인 복면가왕은 고정관념을 탈피하는 좋은 예를 보여준다. 시청자와 판정단은 오로지 복면을 쓴 인물의 목소리와 창법, 제스쳐 등의 특징만 가지고 해당 인물을 유추해야 하며, 의외의 인물이 뛰어난 가창력으로 새롭게 재조명되기도 했다.
  • 팔도에서 제작한 꼬꼬면은 기존 라면들이 견지했던 붉은 색 국물을 투명한 국물로 바꾸면서도 독특한 풍미로 큰 인기를 끌었던 제품이다. 꼬꼬면의 대박으로 인해 경쟁사들도 나가사끼 짬뽕, 기스면 같은 투명한 국물 라면을 잇달아 출시하면서 라면에 대한 대중의 고정관념을 바꿔놓기도 했었다.

추가바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