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발산역

Jh3711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18일 (토) 22:02 판 (새 문서: * 상위 항목: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鼎鉢山驛 / Jeongbalsan Statio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정발산 / 鼎鉢山 / Jeongbal...)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鼎鉢山驛 / Jeongbalsan Station

정발산 / 鼎鉢山 / Jeongbalsan
수도권 전철 3호선
역번 311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70
(舊 마두1동 1123번지)
개업일 1996년 1월 12일[1]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3호선
주 엽
1.6km
정발산 마 두
0.9km

개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에 위치한 전철역.

연혁

당초 일산선 건립 당시 이 역의 명칭은 일산시청역이었다. 왜냐하면, 당시 일산신도시 건립이 완료되는 1996년에 일산신도시 지역을 일산시로 승격, 고양시에서 분리시킬 계획이 있었기 때문인데...결과적으로 이 방안이 무산되고 일산구가 설치되면서 당초 계획한 일산시청 건물은 일산구청 건물이 되었다.(현재 일산동구청)

이에 따라 1995년, 이 역의 명칭은 마두역(...)으로, 그 다음 역은 낙민역으로 계획되었으나,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자, 이 근처에 위치한 야산 정발산(81m)의 명칭을 따서 현재의 정발산역으로 확정되었다.

본래 역번호는 312번이었으나,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이 개통함에 따라 역번이 하나씩 밀려, 311번이 되었다.

특징

  • 2014년 고양시에서는 서울특별시가 추진하고 있는 삼송역-동빙고역 간 도시철도(신분당선 연장선)를 풍산역과 이 역을 거쳐 킨텍스까지의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당초 삼송-식사동-탄현동-대화역-킨텍스 노선으로 추진했으나, 킨텍스에는 GTX가 시종착할 예정이라 중복투자 지적도 있어, 일산신도시 내를 관통하는, 일산 도시철도 기능도 겸하게 되는 노선으로 추진 중이다. 물론 그게 언제가 될지는 따져보진 말자(...)

참조

  1. 일산선 개업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