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칭자리

Chirho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5월 24일 (화) 00:59 판 (새 문서: {{별자리 정보 |명칭=천칭자리 |그림= |그림설명= |라틴어명=Libra |약자=Lib |적경=15시 10분 |적위=-14° |남중시기=6월 20일 오후 9시 |관측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름}}}
중앙 적경 15시 10분
중앙 적위 -14°
관측 범위 N65°~S90°

개요

황도 12궁의 7번째 별자리로 고대 바빌로니아 지역에서부터 있어왔던 별자리이다.

전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추분점을 나누는 저울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었다. 이후 이 이름이 그리스에 전래되면서 정의의 여신인 아스트라이아[1]가 들고 있는 저울대로 다시 변용되었다.

구성 항성

  • Lib α : 주벤 엘게누비라는 고유명이 있다. 남쪽 집게발이라는 의미로 안시쌍성에 해당한다. 1번별은 5.2등성이며, 2번별은 2.8등성의 나름 밝은 별에 해당한다.
  • Lib β : 주벤 엘샤말리, 북쪽 집게발이라는 의미이다.
  • Lib γ : 주벤 엘라크라브, 전갈의 집게발이라는 의미이다.
  • Lib δ : 식쌍성으로 발을 때는 4.8등급이만 약 2.3일을 주기로 5.9등성까지 밝기가 떨어진다.
  • Lib σ :

기타

  • 본래 천칭자리는 전갈자리의 집게발 부분에 있던 별들이었으나 나중에 분리가 되어 별도의 별자리가 된 것이다. 때문에 구성 항성의 이름도 집게발이라는 의미가 붙어있다. 또한 이 별자리는 황도 12궁 중에서 가장 늦게 만들어진 별자리이며 동시에 황도의 별자리 중 유일하게 생명체가 아닌 별자리이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황도 12궁을 설정할 당시에는 이 천칭자리의 위치가 바로 추분점에 해당하는 지점이었다. 낮과 밤을 정확하게 나누는 저울이라는 의미로 천칭자리라는 이름이 붙은 것. 다만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추분점이 서서히 이동하여 현대의 추분점은 처녀자리에 자리하고 있다.
  • 리브레 위키의 마스코트인 리브라의 이름이 바로 이 천칭자리에서 유래하였다.

각주

  1. 처녀자리의 주인공으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