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공돌이 양성 프로젝트/전자공학/회로이론

계산기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0월 28일 (수) 20:15 판 (→‎기본이론)

어떤 전자/전기회로에 대한것을 해석하는 것에 관한 기초 내용입니다.

개요

RLC circuit.JPG

이 회로는 어떻게 작동할까요? 전압계 V에는 어떤 값이 나올까요? 그전에 저기 적힌건 뭔가요?

전자공학을 배운 사람이면 이런 RLC 회로를 쉽게 알수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이 회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모르고, 이게 무엇인지도 모릅니다. 회로이론은 어떤 회로가 동작하는 원리에 대해서 배우는 학문입니다.

기본

단위

  • 전자기학에서는 SI 단위를 사용합니다.
  • 전류는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지만, 전자는 -극에서 +극으로 이동합니다. 이것은 벤저민 프랭클린이 18세기에 전류를 먼저 정의한 다음[1], 톰슨이 19세기에 전자를 발견해서 그렇습니다. 잘못된 첫 출발 이제와서 바꾸자니 대혼란이 일어날거 같아서 어쩔 수 없이 그냥 쓰고 있습니다.

관련 학문

단순한 전원-저항 회로면 사칙연산으로도 가능하지만, 캐패시터, 인덕터(코일)이 들어가면 미적분은 필수요소가 됩니다. 더 복잡한 회로는 라플라스 변환, 푸리에 변환도 필요합니다 수포자에게 힘들다.

아래의 문서들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기본이론

  • 전류는 전하(q)가 단위시간(dt)당 흐른 양을 의미합니다.
    • 수식으로 표현하자면 [math]\displaystyle{ i = dq/dt }[/math] 입니다. 단위는 A (암페어)
    • 전류는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 전압은 두 지점간의 전위차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를 의미합니다. 단위는 V (볼트)
    • [math]\displaystyle{ v_{ab} = \frac{dw}{dq} }[/math]
  • 전력은 단위시간당 에너지를 흡수/사용하는 양을 의미합니다. 단위는 W(와트)
    • 전력 [math]\displaystyle{ p = \frac{dw}{dt} }[/math]로 표현가능합니다 (w는 에너지(J, 줄), t는 시간(초)을 의미합니다)
    • [math]\displaystyle{ p = \frac{dw}{dt} = \frac{dw}{dq} \centerdot \frac{dq}{dt} = vi }[/math]
    • 위 식으로부터, 전력 = 전압*전류가 성립합니다.
    • 어떤 소자에서 소비하는 전력값이 음수 값인경우, 그 소자는 에너지를 공급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옴의 법칙

저항이 있는 회로에서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 v 는 전류 i와 선형적인 비례관계가 있습니다. [math]\displaystyle{ v \propto i }[/math]로 표현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비례관계를 어떤 상수 R로 표현하게 됩니다. 이것을 저항 R 이라고 표현합니다. [math]\displaystyle{ v =iR }[/math]로 표현합니다. R 값을 정하는 방법은 밑 문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노드, 루프

노드와 루프 설명
  • 노드 (색깔이 있는 원으로 그려진 부분) 는 2개 이상의 소자[2]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 회로이론에서는 "동일한 노드면, 그 노드에 걸리는 전압은 동일하게 취급"합니다. (전자기학에서는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 루프 (화살표) 는 한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른노드를 한번만 거치고 돌아오는 닫힌 경로를 의미합니다.

키르히호프 법칙

윗문단 "노드, 루프"의 그림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 한 노드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총 합은 0입니다. 위 그림에서 주황색 노드에 들어오는 전류는 357.14mA이고, 나가는 전류는 20Ω방향으로 71.43mA, 5Ω방향으로 285.74mA 입니다. 들어오는 값을 +라고 하고, 나가는 값을 -라고 하면 총합이 0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 한 루프에서의 전압을 모두 더하면 0입니다. 위 그림에서 주황색 노드부터 시계방향으로 전압을 더하면 20Ω에 1.43V, 5Ω에 -1.43V (주황색 → 노란색 노드 방향으로 1.43V니까, 그 반대 방향이면 부호가 -입니다) 의 전압이 걸리므로 합이 0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 부품

아래의 저항, 축전기, 인덕터는 기본적인 수동소자들(에너지를 소모, 저장, 방출하는 기관)입니다. 이것과는 다른, 능동소자는 신호를 입력받아서 다른 출력신호로 변화가 가능한 소자 입니다.(트랜지스터, Op Amp, 다이오드, 진공관)

  • 기본적으로 수동소자는 선형해석(Linear analysis)이 가능합니다. 온도가 급격히 변화한다던지 하면 선형이 아니긴 합니다만.

저항

저항은 전하의 흐름 (전류) 를 방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R (Resistance)로 표시하며 단위는 Ω(ohm, 옴)으로 표시합니다.

  • 이 저항값은 단면적(m2), 길이(m), 비저항, 온도에 관계되어 있습니다.
  • [math]\displaystyle{ R = \rho\frac{l}{A} }[/math]로 표현됩니다. [math]\displaystyle{ \rho }[/math]값은 전기 저항 문서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일반적인 전도체(conductor)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이 증가합니다. 이와 반대로 반도체(semiconductor)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이 감소합니다.

커패시터

축전기는 전기를 전기장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소자입니다. (일반적인 배터리는 화학적으로 전기를 저장합니다.)

인덕터

인덕터는 전기를 자기장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소자입니다.

DC 회로

공급되는 전류가 일정한 경우를 다루는 내용입니다.

  • 건전지(1.5V, 9V), USB 전원 (5V) 등등이 해당됩니다.

AC 회로

공급되는 전류가 일정한 주기로 변화할 때를 다루는 내용입니다.

  • 가정용 전기 (220V 60Hz) , 산업용 전기 (3상 380V) 등이 해당됩니다.

순시전력

순시전력 (Instantaneous power) 은 어떤 순간적인 임의의 시점에서의 전력으로, 순시전압 (Instantaneous voltage)와 순시전류( Instantaneous curren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순시전력 = 순시전압*순시전류

이렇게 표현합니다. 이걸 시간에 따른 식으로 나타내면, [math]\displaystyle{ p(t) = v(t)i(t) }[/math]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측정하기 어려우니까 (오실로스코프 같은 장비가 있어야 제대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평균전력(Average Power)을 측정하게 됩니다. 1주기 동안의 순시전력의 평균은 다음 식으로 표시됩니다.

[math]\displaystyle{ P_{average} = \frac{1}{T} \int_{0}^{T} p(t) dt }[/math], (T는 주기 (초))

RMS

고급 해석

어떤 회로를 분석하기 위해서 라플라스 변환이나 푸리에 급수, 푸리에 변환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 Fundamentals of Electric Circuits, 5th Edition, Alexander, Sadiku, ISBN 9788960558274

각주

  1. [1]
  2. 건전지 저항, 커패시터 등등의 어떤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