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X 1001

ParanScreen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18일 (토) 02:01 판 (문서 생성.)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KS X 1001(구 명칭 KS C 5601, 통칭 완성형 한글 코드)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한글 인코딩의 일종이다.

특징

대한민국 국가기술표준원에서 개발・제정하였고, 현재 대한민국의 산업표준이며, 대한민국 정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변천

KS C 5601-1974

당시의 수많은 KS 표준과 같이 JIS C 6220-1969[1]베낀 것이 그 시초로, 1974년 제정되었다. 한글 자음과 모음을 담고 있어, 실제로 컴퓨터에서 한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KS C 5601-1987 (현 KS X 1001)

완성형 방식으로, 보통 KS C 5601(KS X 1001)이라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

추가바람

  1. 명칭, 7비트 및 8비트의 정보 교환 부호화 문자 집합7ビット及び8ビットの情報交換用符号化文字集合. 반각 가타카나 63자가 정의되어 있다.

같이 보기

찦차를 타고 온 펲시맨과 쑛다리 똠방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