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철도

Chirh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25일 (금) 11:16 판 (새 문서: 분류:철도 *幹線鐵道 ==개요== 일반적으로 철도망의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한 노선을 의미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해당 국가의 철도 수송...)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幹線鐵道

개요

일반적으로 철도망의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한 노선을 의미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해당 국가의 철도 수송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각 지방의 중심지와 중심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노선이 된다. 철도의 고속화가 이루어지면서 발생한 고속철도 노선도 간선철도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국가별 사례

대한민국

코레일에서는 간선철도와 자사 관리의 광역철도 노선을 묶어서 주요노선이라고 칭하고 있다. 고속선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5대 간선이라고 하여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중앙선, 장항선을 꼽으며, 이외의 간선으로는 태백선, 경전선, 경북선, 충북선, 경춘선이 있으며, 경의선경원선도 원래는 간선철도였지만 남북이 분단된 상황에서는 사실상의 로컬선 취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