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

Hasperd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1일 (화) 00:56 판 (새 문서: '''[김천시(金泉市) Gimcheon City]''' == 개요 ==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 경부고속도로 중간지점에 위치해 있고, 경북선철도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김천시(金泉市) Gimcheon City]

개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

경부고속도로 중간지점에 위치해 있고, 경북선철도와 경부선철도가 분기 하는 등 교통의 요지이다.

1949년, 이른 시기에 시로 승격될 만큼 규모가 큰 지역이였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전국은 물론 경북지역에서도 입지가 많이 약해진 상태. 하지만 혁신도시가 들어서고, 교통이 편리한 이점이 있는 만큼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도시이기도 하다.

지리

위치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으로 구미시, 상주시, 서로 거창군, 무주군, 남으로 칠곡군.성주군, 북으로 영동군과 접해있다. 경상북도 소속이면서 경상남도, 충청북도, 전라북도의 3개 상이한 도의 도시들과 접경을 맞대고 있는 특이한 위치. 덕분에 서남방언, 충청방언이 아주 약간씩 혼재되 있는 지역 특유의 방언이 존재한다.

현대의 도 구분 말고, 조선의 도 구분으로 봐도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3개 도가 맞대어 지는 접경지대인데, 3개 도가 맞닿아 있는 곳에 삼도봉이라고 하는 봉우리가 위치해 있다. 등산을 좋아하는 위키러라면 방문해 볼 만 한곳.

자연지리

감천 이라고 하는 낙동강 지류의 하천이 대덕면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른다. 또한 서고동저의 지형을 지니는데, 이는 서쪽에 백두대간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에서는 직지사 근처의 황학산이 유명하다. 남부지방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겨울철 온도는 은근히 낮은 편이며, 이는 백두대간 산지의 영향인듯 보인다. 겨울에는 북서쪽에서 매서운 바람이 불어오며, 북서쪽에는 추풍령이 있기에 지역민들은 이를 추풍령 황소바람이라고 부른다. 지방 소도시답게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녹지가 매우 많다. 그 덕분인지 여름은 무덥지 않고 선선한 편. 매서운 더위로 악명이 자자한 근처 대구광역시와는 달리 열대아 현상이 거의 없으며, 개인차가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선풍기 만으로도 지낼만 하다.

인문지리

인구는 130,000 ~ 140,000여명정도. 시가지 인구는 8만명정도로,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의 도시이다. 평양, 대구, 강경, 개성과 함께 5대 시장이라고 불리며 흥해왔던 큰 도시였지만, 현대에 들어 공업, 상업이 많이 발달하지 못하고, 산업이 발달한 주변도시로 인구유출이 많아지면서, 발전이 정체되어 왔다. 2, 3차 산업 비율도 없지는 않지만, 시 급의 도시 치고 1차 산업 비율이 높은 편. 하지만 공단에는 롯데, 현대모비스, 코오롱 등의 대기업이 입주해 있기도 하다. 경상도 지역이지만 다른 도와 접경지역인 영향인지, 전형적인 동남방언과 살짝 다른 방언을 보인다. 보통 동남방언의 의문형 종결어미는 ~~하노?, ~~카나? ~~카나? 등인데 김천지역은 ~~라? ~~캐여? ~~여?([여]와 [으]의 중간발음으로 현지인들은 자연스럽게 구사한다.) 식으로 상이한 방언을 보인다. 때문에 표준어 화자들은 김천방언을 글로 써 놓으면 반말임에도 불구하고 존댓말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종결어미 뿐 아니라 어투로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인 동남방언에 비해 말이 빠르고 거친편으로 들린다는 사람도 있다. 이는 김천만의 특징이라기 보다 상주시, 구미시등 경북 서부지역에서 두루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