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생식력과 지능

깨진 틀 관련 문의

이 문서의 주 기여자이신 사:Resonance님께 다시 한 번 여쭈어봅니다. 사토:Resonance를 확인해주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Identicon 사용자역보.png역보 (☎토론·▶기여) 2015년 8월 4일 (화) 20:20:52 (KST)

결론 문의

이거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봤을 때 결론부터 말하면 이게 뭔 소리야 싶은데요? 단순히 몇 가지 변인만으로는 설명되기 힘든 것들이 많고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연구 설계에 따른 허위변인도 무지하게 많은데... 아무리 영어권 위백에 있다고 해도 이 연구 자체의 신뢰도가 의문시됩니다. 결론에는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붙여넣는 것이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담으로 괜히 앨런 소칼이 생각나는군요.--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1:01:55 (KST)

용어의 정의

생식력과 지능의 엄밀한 정의는 도대체 무엇이며 지능의 측정방법은 놔두고 생식력의 기준과 그 조사방법 또 어떵게 수치화를 하였는지 묻고싶습니다.--글러먹은 다메즈마씨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1:43:53 (KST)

또한 일반적으로 지능과 최종학력이 비례한다는 사실은 도출해 낼 수 있지만 그것이 국가단위에서도 적용이 될 수 있는지 또한 의문입니다 --글러먹은 다메즈마씨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1:48:53 (KST)

저도 마찬가지 생각입니다. 영어판 위백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해당 내용이 제대로 된 연구 방법이나 내용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어차피 위키는 사전이 아닌지라 잘못된 내용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든요. 딱히 감수자가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요. 아무튼 이 내용은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쪽 연구방법론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이런 내용을 기재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성이 있다고 볼텐데요.--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1:59:37 (KST)
음모론 틀이나 도시전설 틀을 부착하는 건 어떨까요? --Centrair-logo.svg (센트레아) APP·DEP 2015년 8월 4일 (화) 22:00:55 (KST)
해당 틀도 붙이고... 결론은 개소리다...라고 적고 싶어지네요... 아니 것보다 저는 애초에 이런 글이 왜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04:24 (KST)
무슨 문서를 번역할지는 본인 마음 아니겠습니까... --Centrair-logo.svg (센트레아) APP·DEP 2015년 8월 4일 (화) 22:05:07 (KST)
생각해 보니 아무 내용이나 영어권 위백에다가 적어놓고 그걸 역포크해오는 것도 가능하겠군요... 하기사 뭐라고 할 것은 아니네요(...) 대신 이거 말도 안될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은 넣어주고 싶은데 번역문서다 보니.... 어느 부분에다 손을 대야 할 것인지 난감합니다. --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13:03 (KST)
아무리 온건하게 보더라도 이건 내용이 참 요상합니다. 어찌보면 독자연구 같기도 하고, 어찌보면 잘못된 연구 결과일 수도 있는데.... 검증이나 감수 방법이 없으니.... 원.... 이런거 관련해서는 틀이라도 하나 붙여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학술문서라고 하기도 참 거시기하고요(...) 나중에 시간 될 때 연구방법론이나 변인통제쪽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부분을 하나하나 짚어놔 봐야겠네요.--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17:27 (KST)

우선은 {{음모론}} 부착할까요?--Centrair-logo.svg (센트레아) APP·DEP 2015년 8월 4일 (화) 22:20:24 (KST)

학술 틀 내용상 괜찮게 어울리지 않을까 합니다. --sternradio (토론 | 기여) 2015년 8월 4일 (화) 22:22:54 (KST)

여기서 생식력(fertility) 유효하게 만들어낸 자녀수를 말하는것이죠. 여자에게는 출산율을 뜻하는 것이지요.--Resonance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22:09 (KST)

그런 의미라면 생식력이라는 번역보다는 출산율이라고 번역하는게 맞을겁니다. 문서 제목도 바꾸고 해당 단어도 다 바꾸는게 맞을걸요 최소한 생물학적인 의미인지 사회학적인 의미인지에 따라서 번역이 달라져야할겁니다. --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26:20 (KST)
그렇다면 남자의 경우 생식력이란 무엇입니까? 또한 본문의 하단에 보면
Lynn과 Harvey (2008)는 국가의 IQ와 생식력 사이에 −0.73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찾았다.
라고 써있는데, 국가의 IQ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한 나라의 전체인구대비 최종학력자의 수 경우, 단순히 지능뿐만 아니라 그 국민들의 생각에도 좌우가 됩니다. 대표적으로 독일과 한국을 비교해보시면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독일이 대학진학률이 한국보다 떨어질 수 있지만(정확한 자료가 없어 일단 세간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독일인들의 지능이 한국인들의 지능보다 떨어진다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글러먹은 다메즈마씨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29:49 (KST)

Ledibug-Labin-Head-Opinion.png의견 정의와 측정 방법이 객관적이지 않다면 {{음모론}}이 아니라 삭제가 맞다고 봅니다. --Identicon 사용자역보.png역보 (☎토론·▶기여) 2015년 8월 4일 (화) 22:23:46 (KST)

편집 지침의 작성 금지 부분에 해당 내용이 직접적으로 들어가 있지는 않지만, 1.2 논쟁예방을 위한 기본사항에
1. 논쟁의 근거가 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독자연구를 피하고, 그 근거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2. 논쟁의 구조상 독자연구가 필요한 경우 독자연구라는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한다.
3. 근거자료는 언론보도자료, 논문의 요약본 등을 쓸 수 있으며, 근거자료가 독자연구여서는 안 된다.

이라는 내용이 있으니 여기서 유추하면 현 상태로는 삭제까지는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편집지침 3.4.1. "소수설임을 명시해야 한다."를 보면 적어도 편향된 시각, 논란이 있는 주제 등에 해당될 수 있다는 점을 알리거나 내용을 검토해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은 수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sternradio (토론 | 기여) 2015년 8월 4일 (화) 22:30:42 (KST)

그냥 비전공자 입장에서 바라봐도 변인통제 같은 것이 문제시될 부분이 몇 보입니다. 6번 문단 기타는 아예 대놓고 반박이 가능할 정도인데요... 지능 유전자가 정자의 질이 높다는 것의 상관관계에 끼어들 수 있는 변인이 많아요. 지능이 높아서 좋은 환경에 있을 가능성이 높거나 사회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서 당연히 건강상태나 영양상태가 차이나게 좋아질 수 있습니다. 이건 지능과 패스트푸드 섭취율 같은 것으로 봐도 비슷하게 나올겁니다.(보통 허위관계라고 합니다) 본문쪽은 사회학적 요인 설명인데 용어는 생물학쪽의 단어를 쓰는데 다르게 보면 인건 완전히 비문이라고 해도 할 말이 없을겁니다. 또한 IQ라는 것 자체가 논란이 있는 것인데 단순히 척도로 쓴 것도 문제가 될 수 있겠고요, IQ를 인정한다고 쳐도 출산율과 IQ간의 관계 사이에 끼어들 수 있는 변인이 한두가지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사용자:Chirho Chirho.png 토론 2015년 8월 4일 (화) 22:32:08 (KST)
편집 지침에서 말하는 근거자료가 부실하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면 사실상 없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예가 적절할지 모르겠지만 "○○민족이 ××대륙을 넘어 □□대륙까지 지배했다. 그 근거는 『△△』이다."라는 주장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여기서 △△가 날조되거나 근거가 부실한 자료라면 해당 주장은 무효하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이 문서의 경우, Chirho님 말씀처럼 "IQ=지능"처럼 쓰이고 있는데 다소 무리가 있는 주장이라고 보입니다.--Identicon 사용자역보.png역보 (☎토론·▶기여) 2015년 8월 4일 (화) 22:36:18 (KST)
전 생소한 분야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좀 피곤하기도 해서 정보 출처의 신뢰성이나 개념 정의 정도의 레벨까지 파고들기는 좀 무리일 듯하니 슬슬 빠져야겠네요(...). 참고로 영문 위백에서 원본 문서 토론 페이지를 살짝 훑어봤는데, 참고문헌의 신뢰도에 아직 문제가 제기되진 않았습니다. 다만, 리브레 위키는 '정보'를 모아두는 곳이지, '주장'을 남기는 곳이 아니라는 점에서 아직 문제의 소지는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sternradio (토론 | 기여) 2015년 8월 4일 (화) 22:42:1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