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Isaac914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23일 (목) 22:11 판
리눅스의 마스코트 턱스(Tux)

개요

Linux. LINUX Is Not UniX.

Unix-like 하고 POSIX 호환인 오픈 소스 커널 중 하나.

현재 버전 4.0. 커널 버전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역사

초기

Linux. 잉여였던 리누스 토르발즈미닉스를 보고 이를 약간 개량할겸해서 파스타를 먹으면서 자신의 컴으로 얼추 끄적이던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 시작되었다.

발전

현재

상당수의 웹 서버모바일 장치(안드로이드, 미고 등…)를 구동하는 운영체제이다. 특히 서버 쪽에서 리눅스의 지위는 엄청나다. 무료인데다가, 리눅스에 익숙한 인력도 많고, 안정성도 높은 편이니 서버 운영체제로서는 최적인 셈. 서버용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리눅스를 지원하거나, 리눅스 상에서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시장에서 안드로이드의 위상이야 더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고...

물론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서버와 모바일(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서의 입지가 엄청나게 탄탄한 데 비해서 데스크탑에서의 존재감은 미미한 편이다.active X 쓰는 웹사이트에서 맥 사용자만 우는 거 아니다. 리눅스 사용자들도 운다. ㅠㅠ 실제로 리누스 토발즈는 2014년 "전 아직도 리눅스 데스크탑을 원합니다"라며 리눅스의 데스크탑 운영체제로서의 점유율에 아쉬움을 드러낸 바 있다. 리눅스가 애초에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시작했음을 생각하면 데스크탑에서 리눅스의 미약한 입지는 아이러니하다 할 수 있다. 그렇지만 KDE, GNOME 등의 데스크탑 환경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사용성과 안정성이 꽤 높아진데다가 리눅스 데스크탑용 소프트웨어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SteamOS의 등장으로 리눅스에 게임도 많이 포팅되고 있다. 리눅스를 데스크탑에서 사용하기에는 지금만큼 좋은 때가 없는 셈.

특징

오픈 소스

리눅스 커널은 GPL v2 라이센스 하에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소스 공개는 많은 잉여개발자들의 참여를 가능케 했고, 이는 리눅스가 지금의 위치까지 성장하게 된 큰 힘이 되었다.

배포판

리눅스 커널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init, systemd, udev, syslogd, etc..), 그 외 일반 유저 어플리케이션들을 묶어서 배포하는 형태.

대표적인 배포판들

  • 레드햇 계열
  • 데비안 계열
  • 기타
    • Gentoo (GNU/Linux 혹은 µClibc/Linux 두 설정 중 하나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 오픈수세
    • 안드로이드 (Android/Linux - 리눅스 커널을 쓰지만, 일반적 GNU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아 GNU/Linux 와는 ABI 가 호환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