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기늑대

Sugungsaurus56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4월 26일 (금) 20:5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갈기늑대
Chrysocyon.brachyurus.jpg
갈기늑대, 독일 쾰른 동물원
학명
Chrysocyon brachyurus
llliiger, 1839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개아목(Caniformia)
개과(Canidae)
갈기늑대속(Chrysocyon)
갈기늑대(C. brachyurus)
보전 상태
멸종위기등급 취약근접.png
Maned wolf-aguara guazu.jpeg

갈기늑대(Maned wolf)는 포유강 식육목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현존하는 동물 중 갈기늑대속(Chrysocyon)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외형적으로는 가느다랗고 긴 다리와 갈기털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삼각형의 큰 귀를 가졌으며 얼굴은 여우를 닮았다. 몸은 비교적 짧으나 털은 길고 거칠며 붉은 갈색에서 황금빛을 띄는 주황색을 띄고 있고, 목 등쪽의 갈기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전반적으로 여우, 특히 붉은여우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꼬리가 비교적 더 짧은 점, 주둥이와 다리, 목덜미의 갈기 등이 검은색을 띄고 있다는 점 등의 차이점이 있다. 유전학적으로는 늑대여우보다 덤불개, 혹은 멸종된 개과 동물인 포클랜드늑대에 훨씬 더 가깝다.

평균적인 갈기늑대의 크기는 몸길이 87~130cm, 어깨높이는 90cm, 꼬리 길이는 30~37cm, 몸무게는 20~23kg 정도로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거대한 개과 동물이며 다른 개과 동물들에 비해 기다란 다리를 가지고 있어 개과 동물 중에서 키가 가장 크다. 갈기늑대가 이렇게 기다란 다리를 가지게 된 원인으로는 팜파스 지역에 자라나는 높은 갈대 사이에서 시아를 확보하기 위한 진화적 요인으로 추정된다.[1]

생태[편집 | 원본 편집]

갈기늑대의 분포 지역

갈기늑대의 서식지는 남아메리카의 브라질, 볼리비아, 페루,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북부의 삼림과 늪, 팜파스 지대의 나무 한그루 없는 초원, 관목 지대에 위치하여 있다. 갈기늑대는 야행성 동물로 주 활동 시간대는 오전 8~10시 사이, 야간에는 저녁 8~10시 사이에 있으며 서늘하거나 흐린 날에는 하루 종일 활동하기도 한다. 사냥에 나설 때는 들판과 같이 사방으로 개방된 환경을, 휴식 시에는 숲과 같이 비교적 폐쇄된 환경을 선호한다.

"늑대"라는 이름과는 달리, 갈기늑대는 여우나 너구리처럼 단독생활을 선호하며 무리를 형성하지 않는다. 설령 짝이 있더라도 최대 30㎢ 반경의 영역에서 서로 떨어져서 생활한다. 보통 해질 무렵부터 자정 사이에 단독으로 사냥을 나서며, 큰 귀를 이용한 뛰어난 청각을 통해 먹이를 잡는다. 앞발로 땅을 톡톡 두드려서 충격을 가하며, 그 뒤 먹이가 도망칠 때 시속 47m/h의 빠른 속도로 잽싸게 달려들어 덮친다. 사냥감을 처리할 때는 목이나 등을 물어뜯어 죽이고, 필요하면 맹렬하게 흔들어 죽이기도 한다.

암수 모두 소변을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거나 이동 경로, 먹이를 파묻은 땅의 위치를 표시하는 등의 의사소통을 한다. 특히 가위개미의 집을 화장실 삼아 배설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배출된 갈기늑대의 배설물은 가위개미들이 키우는 버섯이나 그 속에 섞인 아직 소화되지 않은 씨앗의 양분으로 사용됨으로서 초원의 환경을 더욱 비옥하게 만드는데 기여한다.갈기늑대님이 주신 똥거름폭탄의 맛 잊지 않겠습니다

대체로 성격이 온순하고 조심성이 많은 편이지만, 위협을 느끼면 특유의 갈기를 세워 상대방에게 경고한다. 울음소리는 개나 늑대보다는 마치 여우나 고양이의 울음소리에 더 가깝다.

식단 및 천적[편집 | 원본 편집]

갈기늑대는 잡식동물로 식단에 178종의 동물성 먹이와 116종의 식물성 먹이가 골고루 포함되어 있다. 개과 동물이지만 대형 동물을 사냥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대신 소형 동물이나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이로 삼는다.

갈기늑대의 사냥 성공률은 대략 21% 정도로 쥐나 토끼, 아르마딜로 등의 소형 포유류와 새, 곤충, 물고기를 사냥한다. 새를 잡는데는 땅바닥을 힘차게 차고 뛰어올라 낚아채는 방식으로 사냥한다. 이러한 갈기늑대의 사냥은 식물성 먹이를 구하기 어려운 건기에 주로 일어나며, 화재가 난 지역에서는 털복숭이꼬리볼로쥐와 배스퍼쥐와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먹이를 사냥하기도 한다.

늑대사과(Wolf apple)를 섭취하는 갈기늑대

특이하게도 갈기늑대는 식단의 50%가 사탕수수나 덩이줄기, 과일 등의 식물성 음식으로 채워져 있을 정도로 채식을 즐기는 편이다. 특히 늑대사과(Wolf Apple)라고 불리는 토마토 종은 식단의 40~90%에 이를 정도로 선호하는데, 다른 과일과는 달리 장마철이 아닌 기간에도 풍부하게 먹을 수 있어 1년 내내 꾸준히 섭취하기도 한다. 갈기늑대는 늑대사과를 섭취함으로서 신장 기생충인 신충의 감염을 예방하며, 한번에 여러 개의 과일을 섭취할 수 있고 배변을 통해 온전하게 씨앗을 분산시킬 수 있어 늑대사과의 씨앗을 퍼트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동물원의 갈기늑대들은 고기 위주의 식단을 주로 섭취하여 방광염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갈기늑대의 식단에 각종 과일이나 채소, 방광 결석을 일으키는 유발하는 물질 비율을 줄이도록 특수 제조된 고기류를 제공하고 있다.

반대로 야생에서 갈기늑대를 위협하는 천적으로는 재규어퓨마 등이 있다.

번식 및 생애주기[편집 | 원본 편집]

화이트 오크 보호구역에서 관찰된 갈기늑대와 새끼

현재 갈기늑대의 짝짓기와 번식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는 대부분 생포되어 연구 중이거나 사육된 개체로부터 관측한 것이 많다.

갈기늑대는 보통 1년에 한 번만 번식하며 짝짓기 철은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이다. 이 시기의 암컷은 4~10일 동안 가임기에 접어들며 자신의 짝과 최대 15분에 걸쳐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한다. 암컷 갈기늑대는 유도 배란 동물로, 근처에 수컷이 있을 때만 배란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짝을 이룬 성체 수컷과 암컷은 최대 30㎢ 반경의 영역에 서식하지만, 이들이 어떻게 짝을 맺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짝이 없는 개체가 냄새를 통해 서로를 추적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암컷은 임신한 뒤 60일~65일의 임신 기간 끝에 평균 2~3마리, 많게는 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340~430g이며, 태어났을 당시에는 검은색의 털을 지녔지만 10주 정도가 지나면 몇 번의 털갈이 후에 점점 붉은색을 띄게 된다. 새끼를 돌보는 것은 주로 어미의 몫으로 수컷은 개체 성격에 따라 새끼를 위해 먹이를 사냥하거나 육아에 관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새끼들은 생후 4개월 동안은 어미의 젖을 먹고 자라며, 이후에는 어미가 삼켰다가 뱉어낸 음식을 먹으며 젖을 뗀다. 태어난지 8~10주가 지난 새끼는 고체로 된 먹이를 먹으며 어미와 함께 사냥을 떠나기 시작한다.

이후 1살이 된 갈기늑대는 어미를 떠나 독립하며, 생후 2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하게 된다.

인간과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어원 및 언어적 요소[편집 | 원본 편집]

다국어 표기
한국어 한국어: 갈기늑대, 갈기이리
영어 영어: Maned wolf
중국어 중국어: 鬃狼 Zōng láng
일본어 일본어: タテガミオオカミ

"갈기늑대", "Maned wolf", "鬃狼(Zōng láng)", "タテガミオオカミ(타테가미오오카미)"라는 용어는 전부 목덜미의 갈기에 이름을 따 와 붙어졌는데, 이는 스페인어로 갈기늑대를 가리키는 "크린 울프(Crin Wolf)"라는 명칭에서 유래한 것이다.

현지에서는 과라니어로 "큰 여우"라는 의미의 "아구아라 구아수(aguara guasu)", 혹은 토바쿰어로 "칼라크(kalak)"라고 부르기도 한다. 브라질에서는 라틴어로 늑대를 가리키는 "루푸스(lupus)"에서 명칭을 따 "로보 드 크린(lobo de crin)", "로스 에스테로스(lobo de los esteros)", "로보 콜로라도(lobo colorado)", 그리고 "로보 과라(lobo-guará)" 등으로 불린다. 볼리비아에서는 "보로치(borochi)"라고도 불린다.

갈기늑대의 학명인 크리소키온 브라치우루스(Chrysocyon brachyurus)는 1815년 독일의 곤충학자 겸 동물학자인 요한 칼 빌헬름 일리거에 의해 명명된 것으로, 그 뜻은 그리스어로 "황금 개"라는 뜻이다.

위협 및 보존[편집 | 원본 편집]

갈기늑대는 광범위한 지리적 분포와 높은 적응성 덕분에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근접(NT)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우루과이에서는 현재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갈기늑대는 대체로 수줍음이 많고 소나 양과 같은 대형 가축을 사냥하기에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서 닭을 잡아가는 것을 제외한다면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 측에서 서식지 파괴와 사냥 등 갈기늑대의 생존을 위협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브라질의 일부 지역에서는 갈기늑대의 눈이나 이빨, 심장 등의 신체 부위를 기관지염, 심장질환,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해주는 행운의 부적으로 여겼으며, 볼리비아에서는 갈기늑대의 가죽으로 만든 안장이 불운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준다고 믿었다. 종종 축산업 종사자들에 의해 소나 양을 해치는 유해동물로 오인되어 사냥당하는 경우도 존재한다.[2]

또한 삼림 벌채나 도시화와 같은 서식지의 손실로 인해 종종 도시 쪽으로 먹이를 구하러 가는 경우도 많은데, 이 와중에 길을 건너던 와중 차에 치여 로드킬을 당하거나 가축, 특히 개로부터 전염병을 옮아서 사망하는 경우도 많다. 현재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에서는 갈기늑대를 사냥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갈기늑대의 서식지를 보존하거나 가정견의 예방 접중률을 높이는 등 갈기늑대를 보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특이하게도 갈기늑대의 소변에는 삼 종류의 식물에 들어있는 '피라진'이라는 성분이 있어 마치 대마초(...)와 유사한 향을 풍긴다.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동물원에서는 갈기늑대 우리에서 나는 체취와 대마초 냄새를 혼동하여 경찰이 출동한 해프닝까지 있을 정도이다. 지연계에서도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는 소변 냄새 덕분에 갈기늑대는 '스컹크 늑대'라는 이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 갈기늑대는 플래닛 주의 초원 동물 팩 DLC에서 등장하는 12종의 동물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게임 상에서는 카피바라, 큰개미핥기와 합사하면 합사 보너스를 얻는다.
  • 갈기늑대는 마인크래프트의 모드 중 하나인 Alex's Mobs에서 등장하는 비공격적 몹들 중 하나로 나온다. 게임 상에서는 사과를 먹이면 몸에서 특유의 채취를 내뿜어 동물들을 유인하고 가위개미의 공길리디아 생산율을 증가시키며동물들 강제 약빨이행, 주크박스를 틀면 현란하게 리듬을 탄다.

참고 자료[편집 | 원본 편집]

  • 서적 및 참고 문헌
    • Bandeira de Melo, L. F., M. A. Lima Sábato, E. M. Vaz Magni, R. J. Young, C. M. Coelho (January 2007). "Secret lives of maned wolves (Chrysocyon brachyurus Illiger 1815): as revealed by GPS tracking collars". Journal of Zoology, 271(1). pp. 27–36. doi:10.1111/j.1469-7998.2006.00176.x.
    • Garcia, D., Estrela, G. C., Soares, R. T. G., Paulino, D., Jorge, A. T., Rodrigues, M. A., Sasahara, T. H., & Honsho, C. (2020). "A study on the morphoquantitative and cy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lbar conjunctiva of th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Illiger, 1815)". Anatomia Histologia Embryologia, 1. doi:10.1111/ahe.12647.
    • Vergara-Wilson, V., Hidalgo-Hermoso, E., Sanchez, C. R., Abarca, M. J., Navarro, C., Celis-Diez, S., Soto-Guerrero, P., Diaz-Ayala, N., Zordan, M., Cifuentes-Ramos, F., & Cabello-Stom, J. (2021). "Canine Distemper Outbreak by Natural Infection in a Group of Vaccinated Maned Wolves in Captivity". Pathogens, 10(1), 51. doi:10.3390/pathogens10010051.
  • 동영상
  • 관련 사이트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갈기늑대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각주

  1. 반대로 갈기늑대와 유사한 조상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덤불개는 기다란 풀 속에 숨어서 먹이를 확보하는 방향에 이르러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실제로 갈기늑대의 친척이었던 포클랜드늑대도 온순한 성격에도 불과하고 양을 해치는 유해동물로 오인을 받아 결국 인간에 의해 멸종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