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물

Paul8358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30일 (화) 00:51 판 (새 문서: == 소개 == 추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장르. 주로 탐정물이나 미스터리물이 여기에 속한다. 여기서 추리는 '판단에서 또 다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소개

추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장르. 주로 탐정물이나 미스터리물이 여기에 속한다.

여기서 추리는 '판단에서 또 다른 판단을 알아낸다'는 의미보다는 사건의 진상을 알아가는 과정 정도의 의미이다. 즉, 작품 내에서 알 수 없는 현상이 벌어졌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가는 이야기가 추리물이다.

최초의 추리물은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의 미스터리 추리소설인 <모르그가의 살인>로 인정받고 있다.

역사

앞서 말했듯 에드가 앨런 포는 당시 기사도 이야기나 실제의 멉죄를 담아낸 범죄기록물이 유행하던 당시 소설 장르에, 환상소설에서나 쓰일 법한 초자연적인 현상을 과학적•논증적 추리를 통해 해결해나가는 추리물을 만들어낸다. 그것이 1841년에 집필한 <모르그가의 살인>이다. 그 이후 영국에서 아서 코난 도일이 인류 최고의 탐정물 '셜록 홈즈'시리즈를 집필했으며, 프랑스에서는 모리스 르블랑이 천재 괴도 이야기인 '아르센 뤼팽' 시리즈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계보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추리의 여왕, 아가사 크리스티와 불가능 범죄의 대가, 존 딕슨 카가 물려받는다. 이후 하나의 큰 장르가 된 추리물은 각 세계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고 인기있는 장르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종류

미스터리

원래 미스터리는 신비 • 불가사의를 뜻하는 말이다. 현재는 불가사의한 사건이 발생하는 이야기를 일컫는 장르로서 쓰이게 되었다. 탐정이나 주인공이 맞닥드리게 되는 수수께끼가 그야말로 불가사의한 것이라는 뜻이다. 이런 점 때문에 (특히 일본에선) 추리물과 미스터리물이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정말 엄밀히 따지면 반드시 추리물이 미스터리 소설인 것은 아니다.

또한 넓은 의미로 따졌을 때, 미스터리는 추리물보다 장르가 넓다. 귀신 괴담같은 공포물이나 외계인과 만나는 SF물등도 미스터리로 치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도 따지고 보면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그런 초자연적인 것을 제외하고 외계인은 초자연적인 거랑은 먼 것 같기도... 근데 크툴루 신화를 보면...사건의 수수께끼를 다루는 내용이면 미스터리라고 정의하자. 여기서 미스터리물은 추리물과 미스테리의 교집합정도로 생각하면 편할 듯.

본격 미스터리

신본격 미스터리

도서(倒敍) 미스터리

역사 미스터리

사회파 미스터리

사이코 미스터리

경찰 • 법정 미스터리

스릴러 • 서스펜스

하드보일드

범죄물

셜록 홈즈의 모방작

상황

트릭

범행도구

캐릭터

탐정

주변인

그외

추리물의 규칙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