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생식계통 = 개요 = '''성징'''(性徵, sexual characteristics)은 성적 이형성을 띄는 생명체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의...)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생식계통]]
[[분류:생식계통]]
= 개요 =
= 개요 =
'''성징'''(性徵, sexual characteristics)은 [[성적 이형성]]을 띄는 생명체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의미한다.
'''성징'''(性徵, sexual characteristics)은 [[생물]]성별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의미한다.


크게 '1차 성징'과 '2차 성징'으로 나눈다. 3차 성징이라는 표현은 의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크게 '1차 성징'과 '2차 성징'으로 나눈다. 3차 성징이라는 표현은 의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2019년 9월 17일 (화) 21:38 판

개요

성징(性徵, sexual characteristics)은 생물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의미한다.

크게 '1차 성징'과 '2차 성징'으로 나눈다. 3차 성징이라는 표현은 의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분류

1차 성징(Primary sex characteristic)

성징은 주로 생식기를 통해 암컷과 수컷을 구별할 수 있다.

2차 성징(Secondary sex characteristic)

암컷과 수컷의 차이가 좀 더 명확해진다. 인간으로 치면 남성은 목소리가 굵어지고 수염이 나며, 여성은 유방이 커지고 월경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인간의 경우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사춘기과 다소 겹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