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대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을(를) 삭제함, 분류:서울 노원구의 철도역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역번호 = {{역번호/한국|646|SM|6}}
|역번호 = {{역번호/한국|646|SM|6}}
|역코드 =
|역코드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510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서울)|화랑로]] 지하510
|개업일 = {{날짜/출력|2000-8-7}}
|개업일 = {{날짜/출력|2000-8-7}}
|폐지일 =
|폐지일 =
21번째 줄: 2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 510(舊 [[공릉동]] 285-2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서울)|화랑로]] 지하 510(舊 [[공릉동]] 285-2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이름은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인 [[화랑대]]에서 따왔다. 병기역명은 <del>근처의</del>[[서울여자대학교]]에서 따왔다.
이름은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인 [[화랑대]]에서 따왔다. 병기역명은 <del>근처의</del>[[서울여자대학교]]에서 따왔다.

2018년 11월 1일 (목) 16:54 판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510
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34.4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2선

화랑대역
花郞臺驛 / Hwarangdae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 510(舊 공릉동 285-2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이름은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인 화랑대에서 따왔다. 병기역명은 근처의서울여자대학교에서 따왔다.

역 구조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과 태릉입구역 사이에 연결 선로가 있으며, 6호선 전동차가 7호선 도봉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위하여 이 선로를 사용한다.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상행 승강장 | 동묘앞 · 삼각지 · 응암 방면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 방면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봉화산 방면 | 하행 승강장

주변 정보

역 근처에 북부간선도로가 지나가고, 그 외에는 주거, 상업지역이다. 바로 옆에 있는 폐선된 경춘선 부지를 공원화하고 있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olspan="4"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서울교통공사
class="tp_link" style="width: 11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
(34.4 km)
응암 순환
태릉입구 0.9 km
화랑대 봉화산 방면
봉화산 0.7 km

수도권 전철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순환
 645  태릉입구
 646  화랑대 봉화산 방면
 647  봉화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