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페디아에서 포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신한은행 (1982~2006년 기업)|1897년에 설립된 기업|1982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기업}}
{{다른 뜻|신한은행 (1982년 기업)|1897년에 설립된 기업|1982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기업}}
{{회사 정보
{{회사 정보
|이름 = 주식회사 신한은행
|이름 = 주식회사 신한은행
|로고 = 신한금융그룹 로고.png
|로고 =  
|그림 = Sungryemun of seoul.jpg
|그림 =  
|산업 = 금융업
|산업 = 금융업
|창립 = [[1897년]] 2월 19일
|창립 = [[1897년]] 2월 19일
|창립자 =
|창립자 =
|이전 회사 = [[신한은행 (1982~2006년 기업)|㈜신한은행]]<br>[[조흥은행]]
|이전 회사 = [[신한은행 (1982년 기업)|㈜신한은행]]<br>[[조흥은행]]
|해체 =  
|해체 =  
|분할=  
|분할=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신한은행'''(新韓銀行)은 [[대한민국]]의 [[은행]]이자 [[신한금융그룹]]의 계열사다.
'''신한은행'''(新韓銀行)은 [[대한민국]]의 [[은행]]이자 [[신한금융지주]]의 계열사다.


== 연혁 ==
== 연혁 ==
36번째 줄: 36번째 줄:
* 1903년: 본점을 종로구 안국동으로 이전
* 1903년: 본점을 종로구 안국동으로 이전
* 1905년: 본점을 중구 다동으로 이전
* 1905년: 본점을 중구 다동으로 이전
* 1912년: 현 신한은행 광교영업부([[조흥은행]] 본점) 자리로 본점 이전
* 1912년: 현 신한은행 광교영업부([[조흥은행|구 조흥은행]] 본점영업부) 자리로 본점 이전
* 1943년: 한성은행과 동일은행 합병, 조흥은행 출범
* 1943년: 한성은행과 동일은행 합병, 조흥은행 출범
* 1990년: 명동지점에 국내 최초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설치
* 1982년 7월: [[신한은행 (1982년 기업)|구 신한은행]] 설립
* 1997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광화문지점 내에 [[한국금융사박물관|조흥금융박물관]](現 신한은행 [[한국금융사박물관]]) 개관
* 1990년: 구 조흥은행 명동지점에 국내 최초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설치
* 1997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구 조흥은행 광화문지점 내에 [[한국금융사박물관|조흥금융박물관]] 개관
* 1999년 4월: [[충북은행]] 흡수합병
* 1999년 4월: [[충북은행]] 흡수합병
* 1999년 9월: [[강원은행]] 흡수합병
* 1999년 9월: [[강원은행]] 흡수합병
* 2001년 9월: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2001년 9월: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2006년 4월: 조흥은행과 신한은행 합병, 통합 신한은행 출범
* 2006년 4월: 조흥은행과 신한은행 합병, 통합 신한은행 출범
* 2007년: 신한크메르은행(캄보디아) 출범
* 2007년: 신한크메르은행(캄보디아) 출범
* 2008년: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출범
* 2008년: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출범
55번째 줄: 56번째 줄:
* 2018년: 멕시코신한은행 출범
* 2018년: 멕시코신한은행 출범


== 영업점 ==
== 주요 업무 ==
=== 국내 지점(2017년 6월 말) ===
은행법에 의한 수신 여신업무, 외국환 업무, 신탁업무, [[직불카드]] 및 [[신한카드]] 발급 업무 등이다. 조흥은행 시절부터 외환 짬밥이 꽤 되어서 그런지 외환 상품에 특이한 것들이 있다. 외화현찰수수료가 없는 외화통장이라던가, 해외 가맹점과 ATM에서만 쓸 수 있는 직불카드라던가, 외화선불카드라던가, 외화통장에서 출금되는 체크카드라던가, 알아보면 쓸만한 상품들이 많다. 수신·여신도 대체로 개인이 무난하게 거래하기 좋다는 평. 고객우대 서비스인 탑스클럽도 월급 받고 돈 꾸면 누구나 쉽게 클래식 정도는 찍을 수 있다.  
지점 출장소: 899개
 
=== 국외 지점(2017년 6월 말) ===
20개국 150개 네트워크
 
현지법인 10개: 신한아주금융유한공사(홍콩), 아메리카신한은행(미국), 유럽신한은행(독일), 신한캄보디아은행, 신한카자흐스탄은행,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캐나다신한은행, SBJ은행(일본), 신한베트남은행, 신한인도네시아은행
 
지점 14개: 인도지역(뭄바이, 뉴델리, 칸치푸람, 푸네, 아메다바드, 랑가레디지점), 홍콩지점, 뉴욕지점, 런던지점, 싱가폴지점, 마닐라지점, 두바이지점, 시드니지점, 양곤지점
 
대표사무소 2개: 멕시코사무소, 우즈베키스탄사무소
 
== 마케팅 ==
* 마스코트는 강아지를 형성화한 신이와 한이, 찬이, 랑이, 토리이다. 줄여서 '''신한패밀리'''라고 한다.
* 2004년부터 '신한은행 대학생 홍보대사' 를 운영하고 있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1918353420488 신한은행, 대학생 홍보대사 100명 선발]아시아경제 2011.07.20</ref>
*2017년 대세 아이돌 워너원이 신한은행의 광고모델이 되었다.


== 주요 업무 ==
개인금융도 쓸만한 수준이지만, 은행이 오래된 만큼 기업금융에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주요 기업 거래처로는 [[한국방송공사]][[롯데그룹]]이 잘 알려져 있다. 지방자치단체로는 [[한국씨티은행]]을 밀어내고 [[인천광역시]]의 시금고를 따냈다.  
은행에 의한 수신 및 여신업무, 외국환 업무, 신탁업무, [[직불카드]] [[신한카드]] 발급 업무 등이며 현재 [[인천광역시]]의 시금고이다. [[대한민국]]의 시중은행 중에서는 유일하게 외화 선불카드를 발행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3657218 신한은행, 해외선불카드 확대] - 아시아경제</ref>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 [[재일동포]]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 [[신한금융그룹]]
* [[조흥은행]]
* [[신한카드]]
*[[조흥은행]]
* [[한국 금융사 박물관]]
* [[한국 금융사 박물관]]
* [[롯데그룹]]
* [[숭례문]]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www.shinhan.com/ 공식 홈페이지]
* [http://www.shinhan.com/ 공식 홈페이지]
* [http://banking.shinhan.com 개인인터넷뱅킹]
* [http://bizbank.shinhan.com 기업인터넷뱅킹]
* [http://www.shinhan.com/mall/dm/index.jsp 금융상품몰]
* [http://fun.shinhan.com/index.jsp Funny Zone]
* [http://www.shinhan.com/pbank/bankservice/ebankservice/psnl_ezplus_info.jsp?cid=C00605&mid=A00030&sid=B00174 EZ-PLUS]
* [https://open.shinhan.com/index.jsp 신한은행 오픈뱅킹]
* {{페이스북|ShinhanBank|신한은행}}
* {{트위터|/shinhanbank|신한은행}}
{{대한민국의 은행}}
{{신한금융그룹}}
<!--조흥은행과 합병 통합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은행]]
[[분류:신한금융그룹의 자회사]]
[[분류:1897년 설립]]
[[분류:재일본대한민국민단]]


{{퍼온문서|신한은행|21172439}}
{{퍼온문서|신한은행|21172439}}
[[분류:은행]]
[[분류:신한금융지주]]

2018년 5월 4일 (금) 18:52 판

틀:회사 정보

신한은행(新韓銀行)은 대한민국은행이자 신한금융지주의 계열사다.

연혁

  • 1897년: 한성은행 설립
  • 1903년: 본점을 종로구 안국동으로 이전
  • 1905년: 본점을 중구 다동으로 이전
  • 1912년: 현 신한은행 광교영업부(구 조흥은행 본점영업부) 자리로 본점 이전
  • 1943년: 한성은행과 동일은행 합병, 조흥은행 출범
  • 1982년 7월: 구 신한은행 설립
  • 1990년: 구 조흥은행 명동지점에 국내 최초 ATM 설치
  • 1997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구 조흥은행 광화문지점 내에 조흥금융박물관 개관
  • 1999년 4월: 충북은행 흡수합병
  • 1999년 9월: 강원은행 흡수합병
  • 2001년 9월: 신한금융지주회사 자회사 편입
  • 2006년 4월: 구 조흥은행과 구 신한은행 합병, 통합 신한은행 출범
  • 2007년: 신한크메르은행(캄보디아) 출범
  • 2008년: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출범
  • 2009년: 카자흐스탄신한은행 출범
  • 2009년: SBJ은행(일본) 출범
  • 2011년: 신한베트남은행과 신한비나은행 합병
  • 2013년: The Banker 誌 선정 한국 최우수은행 수상
  • 2014년: The Asset 誌 선정 한국 최우수은행 수상
  • 2016년: 신한인도네시아은행 출범
  • 2017년: ANZ뱅크 베트남 흡수통합
  • 2018년: 멕시코신한은행 출범

주요 업무

은행법에 의한 수신 및 여신업무, 외국환 업무, 신탁업무, 직불카드신한카드 발급 업무 등이다. 조흥은행 시절부터 외환 짬밥이 꽤 되어서 그런지 외환 상품에 특이한 것들이 있다. 외화현찰수수료가 없는 외화통장이라던가, 해외 가맹점과 ATM에서만 쓸 수 있는 직불카드라던가, 외화선불카드라던가, 외화통장에서 출금되는 체크카드라던가, 알아보면 쓸만한 상품들이 많다. 수신·여신도 대체로 개인이 무난하게 거래하기 좋다는 평. 고객우대 서비스인 탑스클럽도 월급 받고 돈 꾸면 누구나 쉽게 클래식 정도는 찍을 수 있다.

개인금융도 쓸만한 수준이지만, 은행이 오래된 만큼 기업금융에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주요 기업 거래처로는 한국방송공사롯데그룹이 잘 알려져 있다. 지방자치단체로는 한국씨티은행을 밀어내고 인천광역시의 시금고를 따냈다.

관련 항목

외부 링크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신한은행 문서 21172439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