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e diligence: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경영학 == 개요 == Due Diligence(DD), 실물조사(실사) == M&A에서 == 오늘날 DD는 주로 M&A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단순히 자산을 확인하...)
 
8번째 줄: 8번째 줄:
*산업: 시장환경,성장추세,전망,경쟁분석.
*산업: 시장환경,성장추세,전망,경쟁분석.
*기업: 영업, 구매, 인사 등 주요 Function
*기업: 영업, 구매, 인사 등 주요 Function
*재무상황, 세무사항
*재무상황, 세무사항: 재무실사(Financial DD) 담당자는 [[공인회계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선호된다.
*법률사항
*법률사항
*기술적 역량, 생산설비
*기술적 역량, 생산설비

2017년 5월 23일 (화) 02:00 판

개요

Due Diligence(DD), 실물조사(실사)

M&A에서

오늘날 DD는 주로 M&A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단순히 자산을 확인하는 데 그치지는 않고, 이 기업을 합병할 가치가 있는지 기업가치를 평가할 목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조사한다. 실사 없이 M&A를 수행하면 사기를 당하거나, 중요한 손해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넘어갈 수 있어서 실사가 필수적이다.

  • 산업: 시장환경,성장추세,전망,경쟁분석.
  • 기업: 영업, 구매, 인사 등 주요 Function
  • 재무상황, 세무사항: 재무실사(Financial DD) 담당자는 공인회계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선호된다.
  • 법률사항
  • 기술적 역량, 생산설비

절차는 주로 다음과 같다.

  1. 계약 체결
  2. 회사 및 산업에 대해 이해하기
  3. Deal 목적 및 일정 파악하기
  4. Valuation 방법 파악하기
  5. 자료파악 및 요청
  6. 업무분장 및 세부계획 수립
  7. 사실 조사
  8.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