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대동계건조기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농담이 아니라 겨울이 되면 왠지 서울 한복판에 낙타가 지나다니고 선인장을 심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농담이 아니라 겨울이 되면 왠지 서울 한복판에 낙타가 지나다니고 선인장을 심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한국과 중국의 냉대기후는 99% 여기에 속한다. 그나마 한국은 강수량이 20~30mm대라 간간히 눈 오는 걸 볼 수 있지만 중국은 진짜로 사막과 접해있는지라 겨울에 눈이 오면 로또를 사야 할 수준이다. 이쯤 되면 어떻게 중국에서 '''雪'''이란 한자가 만들어졌는지 신기할 지경. 강수량과 반비례되는 특성상 일조량 역시 겨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ㅊ|겨울인데 왜 이렇게 들뜨고 싱숭생숭하지?}}
한국과 중국의 냉대기후는 99% 여기에 속한다. 그나마 한국은 강수량이 20~30mm대라 간간히 눈 오는 걸 볼 수 있지만 중국은 진짜로 사막과 접해있는지라 겨울에 눈이 오면 로또를 사야 할 수준이다. 이쯤 되면 어떻게 중국에서 '''雪'''이란 한자가 만들어졌는지 신기할 지경. 강수량과 반비례되는 특성상 일조량 역시 겨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ㅊ|영국인: 겨울인데 왜 이렇게 들뜨고 싱숭생숭하지?}}


당연하지만 가뭄, 산불, 미세먼지, 황사 문제도 겨울~봄에 집중적으로 일어난다.
당연하지만 가뭄, 산불, 미세먼지, 황사 문제도 겨울~봄에 집중적으로 일어난다.

2017년 4월 4일 (화) 07:20 판

쉽게 말해서 여름에 강수량이 많지만,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 동안 사막 같은 풍경을 보여주는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Dw로 표기한다.

농담이 아니라 겨울이 되면 왠지 서울 한복판에 낙타가 지나다니고 선인장을 심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한국과 중국의 냉대기후는 99% 여기에 속한다. 그나마 한국은 강수량이 20~30mm대라 간간히 눈 오는 걸 볼 수 있지만 중국은 진짜로 사막과 접해있는지라 겨울에 눈이 오면 로또를 사야 할 수준이다. 이쯤 되면 어떻게 중국에서 이란 한자가 만들어졌는지 신기할 지경. 강수량과 반비례되는 특성상 일조량 역시 겨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영국인: 겨울인데 왜 이렇게 들뜨고 싱숭생숭하지?

당연하지만 가뭄, 산불, 미세먼지, 황사 문제도 겨울~봄에 집중적으로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