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곤충의 정렬 키를 바꿈: " ")
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28번째 줄:
*몸을 보호하는 각종 대책 : 진화 과정에서 [[보호색]]이나 [[의태]], 심지어 [[노린재]]나 [[폭탄먼지벌레]]같은 화학전을 하는 곤충들도 존재한다. 일부 종들은 맹독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 자신은 죽더라도 종 전체 차원에서 보면 잘못 먹으면 X된다는 인식을 천적에게 주는 경우도 있다.
*몸을 보호하는 각종 대책 : 진화 과정에서 [[보호색]]이나 [[의태]], 심지어 [[노린재]]나 [[폭탄먼지벌레]]같은 화학전을 하는 곤충들도 존재한다. 일부 종들은 맹독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 자신은 죽더라도 종 전체 차원에서 보면 잘못 먹으면 X된다는 인식을 천적에게 주는 경우도 있다.


== 분류 ==
* '''곤충강'''(Insecta)
** 단관절구류(Monocondylia)
*** [[돌좀목]](Archaeognatha)
** 쌍관절구류(Dicondylia)
*** [[무시아강]](Apterygota)
**** [[좀목]](Thysanura)
*** [[유시아강]](Pterygota)
**** [[고시하강]](Paleoptera)
*****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 [[잠자리목]](Odonata)
**** [[신시하강]](Neoptera)
***** [[외시류]](Exopterygota)
****** [[강도래목]](Plecoptera)
****** [[흰개미붙이목]](Embioptera)
****** [[민벌레목]](Zoraptera)
****** [[집게벌레목]](Dermaptera)
****** [[메뚜기목]](Orthoptera)
****** [[대벌레목]](Phasmatodea)
****** [[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
***** [[망시류]](Dictyoptera)
****** [[바퀴목]](Blattaria)
****** [[흰개미목]](Isoptera)
****** [[사마귀목]](Mantodea)
***** 준신시류(Paraneoptera) 또는 노린재상목
****** [[다듬이벌레목]](Psocoptera)
****** [[총채벌레목]](Thysanoptera)
****** [[이목 (동물)|이목]](Phthiraptera)
****** [[노린재목]](Hemiptera)
***** [[내시상목]](Endopterygota)
****** [[벌목 (곤충)|벌목]](Hymenoptera)
****** [[딱정벌레목]](Coleoptera)
****** [[부채벌레목]](Strepsiptera)
****** [[약대벌레목]](Raphidioptera)
****** [[뱀잠자리목]](Megaloptera)
****** [[풀잠자리목]](Neuroptera)
****** [[밑들이목]](Mecoptera)
****** [[벼룩목]](Siphonaptera)
****** [[파리목]](Diptera)
****** [[날도래목]](Trichoptera)
****** [[나비목]](Lepidoptera)
== 관련항목 ==
== 관련항목 ==
* [[방충망]]
* [[방충망]]

2016년 5월 20일 (금) 17:42 판

  • 昆蟲

개요

절지동물에 속하는 동물 중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몸을 나눌 수 있고, 세 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는 동물을 의미한다. 절지동물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며, 동물계 전체 생물종의 약 65~70%를 이 곤충들이 차지하고 있는 거대한 집단이다. 이들이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고생대 데본기무렵으로 지구상의 동물들 중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존속해 온 집단이기도 하다.

특성

일반적인 절지동물과 비교했을 때 곤충은 다음의 특성을 가진다.

  • 몸을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정확하게 나눌 수 있다.
  • 다리는 3쌍이며 가슴부분에 달려있다.
  • 날개는 기본적으로 2쌍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퇴화되어 1쌍만 있거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날개가 있을 경우 가슴을 통해 몸에 붙어있는 형태를 가진다.
  • 머리에는 2개의 겹눈과 겹눈 사이에 3개의 홑눈이 존재한다
  • 머리에는 1쌍의 더듬이가 붙어있다.
  • 소화기관과 생식기관, 그리고 호흡기관은 모드 배에 붙어있다. 한 가지 특이점은 바로 호흡기관인데 배에 나 있는 기문이라는 숨구멍을 통하여 호흡을 한다.

곤충의 변태

곤충은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과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완전변태 : 알-애벌레-번데기-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애벌레와 성충은 완전히 다른 종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번데기 과정에서 많은 모습의 변화가 있으며, 이러다 보니 애벌레와 성충간의 먹이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아 먹이경쟁에서 팀킬을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1] 반대로 각 단계를 거칠 때의 생존률이 상당히 떨어진다. 특히 번데기 단계에서는 아예 꼼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취약한 기간이이도 하다
  • 불완전변태 : 알-유충-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유충과 성충의 모습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탈피과정을 거쳐 몸만 쭉쭉 커지는데 매미잠자리와 같이 마지막 단계에서는 유충의 모습과 꽤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유충과 성충의 기본 골격 자체는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유충의 모습을 보면 성충의 모습도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한 수준

곤충은 어떻게 오랜 세월 살아남을 수 있었는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생존에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는 이유로 곤충이 고생대부터 현세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다 : 물론 인간 관점에서는 별로 튼튼하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곤충의 외골격은 몸의 사이즈와 무게를 감안하면 상당히 튼튼한 편에 해당한다. 딱정벌레류나 바퀴벌레 종류의 등짝의 경우 해당 외골격을 그대로 사람에게 대입하면 거의 콘크리트 방호벽 수준이 된다.
  • 엄청나게 많은 알을 낳는다 : 애초에 자연상태의 경우 여러가지 이유로 알에서 성충까지 제대로 성장하는 것은 기껏해야 1%도 채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낮은 비율을 어마어마하게 많은 알을 낳아서 물량으로 커버를 하는 것. 생존률 자체는 떨어지지만 모수 자체가 크다보니 일정 숫자 이상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거기에 초파리와 같은 일부 종의 경우 생장 주기 자체도 상당히 빨라서 세대 전환이 엄청나게 빠르다.
  • 몸집이 작다 : 외부 환경의 극심한 변화에 대해서는 오히려 몸집이 작은 것이 이점이 될 수 있다. 외부의 위협에서 쉽게 몸을 숨길 수 있어 포식자 입장에서 곤충을 사냥하는 것은 꽤나 까다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몸을 보호하는 각종 대책 : 진화 과정에서 보호색이나 의태, 심지어 노린재폭탄먼지벌레같은 화학전을 하는 곤충들도 존재한다. 일부 종들은 맹독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 자신은 죽더라도 종 전체 차원에서 보면 잘못 먹으면 X된다는 인식을 천적에게 주는 경우도 있다.

분류

관련항목

리브레 위키에 등재된 곤충 목록

각주

  1. 먹이만 다른게 아니라 습성, 생활양식, 생활반경 등등 모든 것이 완전히 다 바뀌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