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Transphobia & Biphobia, IDAHO)은 1990년 5월 17일에 세계보건기구(WHO)가 동성애를 질병 분류 목록에서 제외시킨 것을 기념하여, 매년 5월 17일에 열리는 행사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반대하는 날이다. 한국에서는 줄여서 '''아이다호'''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Transphobia & Biphobia, IDAHOT)은 1990년 5월 17일에 세계보건기구(WHO)가 동성애를 질병 분류 목록에서 제외시킨 것을 기념하여, 매년 5월 17일에 열리는 행사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반대하는 날이다. 한국에서는 줄여서 '''아이다호'''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아이다호==
==대한민국의 아이다호==

2016년 5월 17일 (화) 21:17 판

틀:토막글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Transphobia & Biphobia, IDAHOT)은 1990년 5월 17일에 세계보건기구(WHO)가 동성애를 질병 분류 목록에서 제외시킨 것을 기념하여, 매년 5월 17일에 열리는 행사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반대하는 날이다. 한국에서는 줄여서 아이다호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아이다호

역사

2016년

5월 14일 오후 2시에 세종문호회관 중아계단 앞에서 아이다호 합창 플래쉬몹이 열렸다.

5월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 26개 성소수자 단체와 95개 인권·시민사회·종교 단체가 모여 ‘5월 17일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 날’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1]

5월 17일, 아이다호를 맞아 서울대학교 기숙사 삼거리에 성소수자 혐오에 반대하는 "무지개 현수막"이 게시되었으며, 아이다호 리플렛은 서울대 관악캠퍼스 학생회관 1층 테이블에 비치되었다.[2]

트위터에서는 "생각없이 내뱉은 한마디가 혐오가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은 '#이것도_성소수자_혐오야'라는 해시태그가 트렌드에 올랐다.[3]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