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멸충: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76번째 줄: 276번째 줄:


== [[스타크래프트 2]] ==
== [[스타크래프트 2]] ==
{{스타크래프트 2 저그 유닛}}
자유의 날개에서는 뼈만 등장한다. 그렇기에 [[군단의 심장]] 캠페인에서는 당연히 등장할 줄 알았으나, 등장하지 않는 통수와 창렬함을 선보였고, 동영상에도 등장하지 않고 적으로도 등장하지 않는다. 심지어 군단의 심장 모델링을 보면 가관인게, 모델링에 색도 입혀져 있지 않고, 울음소리, 버튼, 와이어프레임, 초상화 모두 구현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스킬셋 조차도 구현되지 않았으니...
자유의 날개에서는 뼈만 등장한다. 그렇기에 [[군단의 심장]] 캠페인에서는 당연히 등장할 줄 알았으나, 등장하지 않는 통수와 창렬함을 선보였고, 동영상에도 등장하지 않고 적으로도 등장하지 않는다. 심지어 군단의 심장 모델링을 보면 가관인게, 모델링에 색도 입혀져 있지 않고, 울음소리, 버튼, 와이어프레임, 초상화 모두 구현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스킬셋 조차도 구현되지 않았으니...


그리고 파멸충의 처우는 공허의 유산에서도 개선되지 않은 것이, 스킬셋이 완성되고 잠복 상태도 만들어졌지만, 색이 입혀지지 않은 모델링을 그대로 사용하며, 와이어프레임도 스캔티피드라는 중립 동물의 것으로 때웠기에 이질감이 크게 느껴진다. 답이 없다.  
그리고 파멸충의 처우는 공허의 유산에서도 개선되지 않은 것이, 스킬셋이 완성되고 잠복 상태도 만들어졌지만, 색이 입혀지지 않은 모델링을 그대로 사용하며, 와이어프레임도 스캔티피드라는 중립 동물의 것으로 때웠기에 이질감이 크게 느껴진다. 답이 없다.  
그런데 협동전 모드 확인 결과, 케리건 레벨 8의 보상과 레벨 9의 보상이 각각 파멸충과 감염 구덩이에서 파멸충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이었고, 파멸충 패시브는 무리 수호군주 것으로 때운 것이 확인되었다.


{{각주}}
{{각주}}
[[분류: 스타크래프트]]
[[분류: 스타크래프트]]

2016년 1월 28일 (목) 16:45 판

개요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지상 마법 유닛이다.

스타크래프트

디파일러
기본 정보
영어명 Defiler
종족 저그
역할 바이러스 돌격대
무장 -
장갑 저그 갑각
유닛 정보
크기 중형
수송공간 2
시야 10
이동속도 2.25
형태 생체 유닛
방어 능력
HP 80
에너지 200 (+50)
아머 1 (+3)
공격 능력
대지 공격력 -
대공 공격력 -
생산 정보
생산 건물 해처리
레어
하이브
요구 건물 디파일러 마운드
미네랄 50
가스 150
보급품 2
생산시간 50
단축키 F
스킬
기본 스킬 다크 스웜
부가 스킬 버로우
컨슘
플레이그

특징

저그의 지상 마법 유닛. 그리고 저글링의 천적. 저글링은 훌륭한 마나 공급원이죠. 상당한 우여곡절을 겪어 현재의 모습이 확립된 유닛이다. 즉 오리지널 시절에는 디파일러는 프로토스의 스카웃보다 더한 잊혀진 존재였지만 브루드워로 넘어오면서 바이오닉 테란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목동저그가 재발견되면서 디파일러의 다크 스웜이 바이오닉 주력 유닛인 마린의 화력을 무력화시키는 사기성이 뒤늦게 조명받고 현재 대테란전 필수유닛으로 탈바꿈했다. 특히 매직 저그라 불리던 임정호를 필두로 프로의 세계에서도 각광받는 유닛으로 중요성이 부각된 것.

또한 같은 마법 유닛인 퀸이 공중 유닛임에도 불구하고 애매한 성능의 스킬들만 보유해 실전에서 잘 선택되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디파일러는 사실상 저그의 유일한 마법 유닛으로 그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디파일러 특성상 손이 제법 많이 간다. 초보 유저들은 디파일러를 제대로 다루는데 있어서 컨트롤이 상당히 요구되어 능숙하게 사용하기까지 진입장벽이 높은 편. 또한 체력이 80으로 낮은편이라 지상군을 졸래졸래 따라다니다가 소리소문없이 녹아버리기도 하니 운용상 주의를 기울이자. 가스를 제법 소모하므로 디파일러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생산을 반복하면 가스가 남아나지 않을 것이니.

특히 테란 사이언스 베슬의 이레디에이트가 디파일러 입장에선 사형선고나 다름없다. 지상유닛이라 사이언스 베슬에 포착되면 제대로 피하기도 어려우며 이레디에이트에 걸리면 꼼짝없이 죽을 수 밖에 없다.

전략

  • 대 테란전
  • 대 저그전
  • 대 프로토스전

상성

  • 테란
  • 저그
  • 프로토스

기본 스킬

다크 스웜 (Dark Swarm)
연구 정보 기술 정보
요구 건물 - 소모자원 에너지 -100
미네랄 - 사거리 9
가스 - 지속시간 38
연구 시간 - 효과 범위방어
연구 단축키 - 기술 단축키 W
  • 특징
5 X 5 범위에 주황색 벌레때를 펼쳐 적의 원거리 공격 일체를 무력화 시킨다. 근접 공격과 사이오닉 스톰같은 광역 공격 스킬, 스파이더 마인이나 스캐럽같은 자폭 공격을 제외한 원거리 공격 자체가 다크 스웜 범위 안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사실상 대테란전에서 상당한 위력을 발휘하는데, 테란의 지상유닛은 파이어뱃을 제외하면 모두 레인지 유닛이라 다크 스웜안의 유닛에게 피해를 입히기 어렵다. 시즈 탱크의 시즈 모드가 명중률이 떨어져 제대로 피해를 입히기 어렵고, 그나마 스파이더 마인이 있어서 견제가 성립되기는 하지만 주력인 마린의 공격력이 무력화되는 효과는 무시하기 어렵다. 테란전 중후반 이후 목동저그 체제에서 주력 유닛인 울트라리스크와 저글링은 다크 스웜의 보호를 받느냐 아닌가에 따라 생존시간 자체가 차원이 다르다. 또한 공중유닛은 사실상 다크 스웜 안의 유닛을 공격할 방법이 없다. (배틀크루저의 야마토포같은 공격 마법을 제외한다면)
프로토스 상대로는 테란에 비해 효과는 반감되는데, 일단 질럿은 근접공격이라 애초에 다크 스웜의 영향을 기대할 수 없고, 아콘은 명중률이 급락하지만 공격이 떨어진 자리에는 피해가 들어가며 무엇보다도 하이탬플러의 사이오닉 스톰, 리버의 스캐럽이 존재하므로 프로토스 상대로 다크 스웜 안에 짱박혔다가는 그대로 몰살 확정.
기본 스킬 치고 굉장히 유용하지만 에너지 소모가 극심하므로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컨슘 업그레이드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업그레이드

컨슘 (Consume)
연구 정보 기술 정보
연구 건물 디파일러 마운드 소모자원 저그유닛
미네랄 100 사거리 1
가스 100 지속시간 일시적
연구 시간 100 효과 에너지회복
연구 단축키 C 기술 단축키 C
  • 특징
저그 유닛 1기를 처묵처묵흡수해 에너지 50을 즉시 회복한다. 이 스킬로 인해 디파일러는 다른 마법유닛과는 달리 마법 스킬을 연사하는 무시무시한 면모를 선보인다. 사실상 디파일러를 운용할 생각이라면 컨슘은 디파일러 마운드가 건설되자마자 찍어주자. 디파일러의 스킬인 다크 스웜과 플레이그 모두 한방에 에너지 소모가 극심한 스킬들이라 컨슘이 없었다면 디파일러도 지금처럼 유용하게 사용되는 유닛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컨슘의 불쌍한 희생양은 아무래도 저글링이다. 미네랄 50으로 2기가 생산되는 뛰어난 가성비는 언제든 화면 가득히 저글링을 스팸하는 것이 가능한 저그 특성상 디파일러 입장에선 가장 저렴하게 한 끼를 해결하는 수단이다. 궂이 따지자면 미네랄 25를 소모해 에너지 50을 채운다는 개념. 물론 관광 수준으로 상대방을 압살하는 상황이라면 상대방이 보는 앞에서 유유히 울트라리스크를 잡아먹는 쇼를 선보이기도 한다.
컨슘을 잘 활용하면 소수의 디파일러만 뽑아도 지속적으로 저글링을 잡아먹으면서 다크 스웜을 무한대로 뿌려댈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에너지 회복 측면에서 컨슘은 디파일러의 가성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궁극기로 볼 수 있다. 자신의 유닛을 희생시킨다는 개념은 프로토스의 캐리어가 인터셉터를 생산하거나 리버가 스캐럽을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자원과 동일한 개념이다. 단지 디파일러는 잡아먹는다는 설정때문에 잔인해 보일 뿐.

플레이그 (Plague)
연구 정보 기술 정보
연구 건물 디파일러 마운드 소모자원 에너지 -150
미네랄 200 사거리 9
가스 200 지속시간 지속적[1]
연구 시간 100 효과 범위공격
연구 단축키 G 기술 단축키 G
  • 특징
설정상 부식성이 크고 아름다운 바이러스를 끼얹는다. 스킬 사용시 선명한 빨간색 액체가 확 퍼지는 비주얼이라 보통 피를 뿌린다고 표현된다. 효과범위는 4 X 4. 일단 플레이그를 뒤집어 쓴 유닛은 플레이그의 최대 대미지인 295에 도달하기까지 지속적으로 체력이 소모된다. 유닛의 체력이 295보다 크다면 295의 대미지를 제외한 수치가 남으면서 살아남고, 그보다 체력이 적은 유닛은 체력이 3~4 정도만 남은 상태로 빈사상태가 된다. 플레이그가 1회에 3~4정도의 도트대미지를 입히는 원리가 적용되며 플레이그만으로 유닛을 완전히 죽일 수는 없다.
테란과 프로토스 상대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테란 바이오닉 병력을 상대로 플레이그를 끼얹으면 마린의 체력이 계속 빠지는데 메딕은 멋모르고 계속 치료하느라 결국 메딕의 에너지가 빈깡통이 되어 이후 돌격하는 저그 병력에게 녹아난다. 또한 테란 건물들은 일정 수준의 대미지를 입으면 화재가 발생하고 체력이 서서히 빠지다 결국 폭파되는데, 미사일 터렛은 플레이그 한 방에 처리가능하다. 서플라이 디포를 조밀하게 모아놓은 지역에 플레이그 2~3방을 골고루 뿌려주면 어느샌가 테란은 보급품이 부족하다는 매세지를 듣고 당황하게 될 것이다. 특히 저그의 최대 골칫거리인 사이언스 베슬에게 플레이그를 선사하면 SCV를 동원해 부지런히 수리하는 희귀한 테란이 아닌 이상은 체력이 다 빠진 상태로 뮤탈리스크가 살짝 건드리면 순삭 확정.
프로토스 상대로도 효과적인데 일단 아머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체력을 빼놓으니, 상대적으로 대미지에 취약한 실드[2]만 남은 상태의 프로토스 병력은 DPS가 강한 저그 유닛들의 공격에 삽시간에 녹아버린다. 예외적으로 실드가 전부인 아콘을 상대로는 큰 효과가 없지만 가스 괴물인 아콘을 양산하는 토스도 찾아보기 어려우니. 플레이그를 뿌리고 아드레날 업이 완료된 풀업 저글링 또는 히드라를 동원해 깔끔한 뒷처리가 가능하다.
퀸의 인스네어와 마찬가지로 클로킹 상태의 유닛이 플레이그에 당하면 클로킹이 무력화된다.

메타시납틱 노드 (Metasynaptic Node)
연구 정보 기술 정보
연구 건물 디파일러 마운드 소모자원 -
미네랄 150 사거리 -
가스 150 지속시간 영구적
연구 시간 166 효과 능력향상
연구 단축키 M 기술 단축키 -
  • 특징
디파일러의 에너지 최대량을 50 증가시킨다. 컨슘이 있다면 궂이 업그레이드의 중요성은 떨어지지만 어쨋든 최대량이 늘어나서 손해볼 일은 없으니 자원상황이 허락하면 찍어주자.

버로우 (Burrow)
연구 정보 기술 정보
연구 건물 해처리 소모자원 -
미네랄 100 사거리 -
가스 100 지속시간 영구적
연구 시간 80 효과 잠복
연구 단축키 B 기술 단축키 U
  • 특징
업그레이드시 유닛이 땅속에 파고들어 디텍터 없이는 탐지가 되지 않는다. 다만 버로우 상태에서는 움직일 수 없고, 스플래쉬 대미지나 공격 스킬에는 노출된다. 사이오닉 스톰이 대표적인 공격 스킬이며 테란의 경우 SCV나 마린같이 값싼 유닛을 버로우 된 유닛 근처에 올려놓고 시즈탱크가 시즈모드로 쏴서 스플래쉬 대미지를 입히는 식.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에서는 뼈만 등장한다. 그렇기에 군단의 심장 캠페인에서는 당연히 등장할 줄 알았으나, 등장하지 않는 통수와 창렬함을 선보였고, 동영상에도 등장하지 않고 적으로도 등장하지 않는다. 심지어 군단의 심장 모델링을 보면 가관인게, 모델링에 색도 입혀져 있지 않고, 울음소리, 버튼, 와이어프레임, 초상화 모두 구현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스킬셋 조차도 구현되지 않았으니...

그리고 파멸충의 처우는 공허의 유산에서도 개선되지 않은 것이, 스킬셋이 완성되고 잠복 상태도 만들어졌지만, 색이 입혀지지 않은 모델링을 그대로 사용하며, 와이어프레임도 스캔티피드라는 중립 동물의 것으로 때웠기에 이질감이 크게 느껴진다. 답이 없다.

그런데 협동전 모드 확인 결과, 케리건 레벨 8의 보상과 레벨 9의 보상이 각각 파멸충과 감염 구덩이에서 파멸충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것이었고, 파멸충 패시브는 무리 수호군주 것으로 때운 것이 확인되었다.

각주

  1. 플레이그의 최대 대미지에 도달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HP를 깎는다.
  2. 실드는 진동형이든 폭발형이든 일반형이든 항상 100% 대미지를 받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DPS가 높은 유닛의 공격에 취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