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asemonkey: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Greasemonkey'''는 어떤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에서 영감을 받은<ref>'''Greasemonkey was heavily inspired by Adrian Holovaty's site-specific extension for All Music Guide and the conversation which ensued after he published it. There were tons of sites I wanted to create SSE's for, but fully-fledged Firefox extensions proved too cumbersome. I wanted it to be as easy to create an SSE as it is to write DHTML.'''<br />Greasemonkey는 Adrian Holovaty의 [http://holovaty.com/blog/archive/2004/07/19/2210 모든 음악 가이드에 적용되는 확장 기능]과 게시 후 그가 한 대화에서 큰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SSE를 만들고 싶은 사이트는 많았지만, 완전한 Firefox 확장 기능은 너무 무겨워, DHTML를 작성하는 SSE를 쉽게 만들고 싶었다.<br />- Aaron Boodman</ref>Aaron Boodman이 만들기 시작한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으로, 유저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관리하며, 페이지의 모양을 바꾸거나 동작을 바꾸는 데 강력하다.
'''Greasemonkey'''는 어떤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에서 영감을 받은<ref>'''Greasemonkey was heavily inspired by Adrian Holovaty's site-specific extension for All Music Guide and the conversation which ensued after he published it. There were tons of sites I wanted to create SSE's for, but fully-fledged Firefox extensions proved too cumbersome. I wanted it to be as easy to create an SSE as it is to write DHTML.'''<br />Greasemonkey는 에이드리언 홀러배티의 [http://holovaty.com/blog/archive/2004/07/19/2210 모든 음악 가이드에 적용되는 확장 기능]과 게시 후 그가 한 대화에서 큰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SSE를 만들고 싶은 사이트는 많았지만, 완전한 Firefox 확장 기능은 너무 무겨워, DHTML를 작성하는 SSE를 쉽게 만들고 싶었다.<br />- Aaron Boodman</ref>에런 부드먼(Aaron Boodman)이 만들기 시작한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으로, 유저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관리하며, 페이지의 모양을 바꾸거나 동작을 바꾸는 데 강력하다.





2015년 10월 11일 (일) 15:10 판

Greasemonkey는 어떤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에서 영감을 받은[1]에런 부드먼(Aaron Boodman)이 만들기 시작한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으로, 유저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관리하며, 페이지의 모양을 바꾸거나 동작을 바꾸는 데 강력하다.


위키, 공식 홈페이지

유저스크립트란?[2]

유저스크립트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및 프록시) 측에서 특정한 웹페이지를 빠르게 수정하는 스크립트로, 일반적으로 보이는 모양새를 바꾸거나 기능을 추가/수정하는 데 쓰인다. 언어는 주로 JavaScript가 사용되며, 사실상의 표준이다.

유저 스크립트 호스팅

유저 스크립트 호스팅은 말 그대로 유저 스크립트를 올리고 내려받을 수 있는 곳이다. userscripts.org(미러2014년에 휘청거리다가 망했고, 그 외에 Gist[3]나 Greasy fork, OpenUserJS 등이 있다.

각주

  1. Greasemonkey was heavily inspired by Adrian Holovaty's site-specific extension for All Music Guide and the conversation which ensued after he published it. There were tons of sites I wanted to create SSE's for, but fully-fledged Firefox extensions proved too cumbersome. I wanted it to be as easy to create an SSE as it is to write DHTML.
    Greasemonkey는 에이드리언 홀러배티의 모든 음악 가이드에 적용되는 확장 기능과 게시 후 그가 한 대화에서 큰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SSE를 만들고 싶은 사이트는 많았지만, 완전한 Firefox 확장 기능은 너무 무겨워, DHTML를 작성하는 SSE를 쉽게 만들고 싶었다.
    - Aaron Boodman
  2. Greasespot내 User script 문서
  3. [https://gist.github.com/ GitHub에서 운영하는 그거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