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한자 유래/서체: removed: |수동==)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刈
|정체자 =刈
|뜻 =베다
|뜻 소리 = 베다 []
|소리 =
|획수 =4
|획수 =4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2024년 5월 10일 (금) 02:41 기준 최신판

베다 [예]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5208
부 4획
뜻과 소리 베다 [예]
중고한어ŋɨɐiH
정체자
CJK Unified Ideographs
U+5208
부 4획
뜻과 소리 베다 [예]
훈독(訓読)かーる
음독(音読)
오음(呉音)
한음(漢音)ガイ
CJK Unified Ideographs
U+5208
부 4획
뜻과 소리 베다 [예]
병음

베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刈-명조.svg
명조
刈-명조-대만홍콩.svg
명조
(대만, 홍콩)
刈-칸테이류.svg
칸테이류




'刈'(*ŋads)는 소리 부분인 '乂'(*ŋads)과 의미부분인 刂(“knife”)가 합쳐진 형성(形聲)자이다.

용례[편집 | 원본 편집]

  • 예초기(刈草機) 풀깎는 기계
  • 조예(早刈) 곡식을 일찍 베다.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