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한자 유래/서체: replaced: -갑골문 → -oracle, -금문 → -bronze, -대전 → -bigseal, -전서 → -seal, removed: |수동==)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
|정체자 =
|뜻 =나
|뜻 소리 = 나 []
|소리 =
|획수 =7
|획수 =7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2024년 5월 10일 (금) 02:29 기준 최신판

나 [아]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211
부 7획
뜻과 소리 나 [아]
중고한어ŋɑX
쓰는 순서
我-order.gif我-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6211
부 7획
뜻과 소리 나 [아]
훈독(訓読)わ、われ
쓰는 순서
我-order.gif我-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6211
부 7획
뜻과 소리 나 [아]
병음wǒ, ě
쓰는 순서
我-order.gif我-bw.png

1인칭 대명사. 중고한어 발음은 ŋɑX(응아). 한자음이 주변국으로 전해지면서 일본어는 가(ガ/ga), 한국어는 아(a)로 음운이 변동되었다. 이후 중국어는 음운이 격변하면서 발음이 '워'가 되었다.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我-oracle.svg
갑골문
我-bronze.svg
금문
我-bigseal.svg
대전
我-seal.svg
전서
我-명조.svg
명조
我-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중국어[편집 | 원본 편집]

  • 1인칭 대명사 나, 나의
  • 1인칭 복수대명사 우리, 우리의

일본어[편집 | 원본 편집]

  • 我々(와레와레) '우리'를 나타내는 예스러운 문어체 대명사.

[편집 | 원본 편집]

  • 我爱北京天安门/我愛北京天安門

워 아이 베이징 텐안먼

나는 베이징의 천안문을 사랑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