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縣: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한자 유래/서체: replaced: -금문 → -bronze, -대전 → -bigseal, -전서 → -seal, removed: |수동==)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县
|간체자 =县
|정체자 =縣
|정체자 =縣
|뜻 = 고을, 매달
|뜻 소리 = 고을, 매달 []
|소리 =
|획수 =16
|획수 =16
|신자체 획수 =9
|신자체 획수 =9

2024년 5월 10일 (금) 02:20 기준 최신판

고을, 매달 [현]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7E23
부 16획
뜻과 소리 고을, 매달 [현]
중고한어ɦwenH
정체자
CJK Unified Ideographs
U+770C
부 9획
뜻과 소리 고을, 매달 [현]
훈독(訓読)あがた、か-ける、か-かる
음독(音読)
오음(呉音)げん
한음(漢音)けん
CJK Unified Ideographs
U+53BF
부 7획
뜻과 소리 고을, 매달 [현]
병음xiàn

한중일, 홍콩, 대만 자형이 모두 다른 한자.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縣-bronze.svg
금문
縣-bigseal.svg
대전
縣-seal.svg
전서
縣-명조.svg
명조
縣-명조-대만.svg
명조
(대만)
縣-명조-중국.svg
명조
(중국)
縣-명조-홍콩.svg
명조
(홍콩)
県-명조.svg
명조
(신차제)
县-명조.svg
명조
(간체자)
縣-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한국[편집 | 원본 편집]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의 도(道) 아래에 부목군현에 들어가는 행정구역이었다.

중국[편집 | 원본 편집]

중국에서는 성(省) 아래에 지급행정구, 그 아래에 현(县)이 들어간다. 대만은 타이완성(省) 아래에 여러 현을 두고 있다.

일본[편집 | 원본 편집]

일본은 폐번치현(廃藩置県)으로 번(藩)을 폐지하고 현이 광역 자치단체가 되었다. 1943년에는 현재와 거의 비슷한 도도부현이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