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語: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한자 유래/서체: replaced: -전서 → -seal, removed: |수동==)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语
|간체자 =语
|정체자 =語
|정체자 =語
|뜻 = 말씀
|뜻 소리 = 말씀 []
|소리 =
|동국정운 = ᅌᅥᆼ〯(응어)
|동국정운 = ᅌᅥᆼ〯(응어)
|훈몽자회 = 말〯ᄉᆞᆷ〮 어〯
|훈몽자회 = 말〯ᄉᆞᆷ〮 어〯

2024년 5월 10일 (금) 02:18 기준 최신판

말씀 [어]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8A9E
부 14획
뜻과 소리 말씀 [어]
훈몽자회말〯ᄉᆞᆷ〮 어〯
중고한어ŋɨʌX(응으어)
동국정운ᅌᅥᆼ〯(응어)
어문회 급수7급
정체자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8A9E
부 14획
뜻과 소리 말씀 [어]
훈독(訓読)かたーる
음독(音読)
오음(呉音)
한음(漢音)ギョ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8BED
부 9획
뜻과 소리 말씀 [어]
병음
쓰는 순서

주로 언어, 말이라는 뜻을 가진 접사로 사용된다. 또는 말, 말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알림이라는 뜻도 있었는데 사어(死語)가 되었다.

  1. 언어 접사
    한국어, 영어, 힌디어
  2. 말, 말한 것 명사
  3. 알림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語-seal.svg
전서
語-명조.svg
명조
語-명조-대만.svg
명조
(대만)
语-명조.svg
명조
(간체자)
語-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

  • 어불성설(語不成說)[1] 말(語)이 문장(設)을 이루지 못하다(不成). -> 말이 전혀 앞뒤가 맞지 않다.
  • 언어도단(言語道斷)

각주

  1. 주어(語) 서술어(不成) 목적어(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