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과학자분류:화학자 {{토막글}}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Georg Ernst Stahl), 1659년 10월 22일 ~ 1734년 5월 14일 독일의학자...)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1694년~1716년: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 자리를 맡음. 그 후 [[베를린]]에서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주치의가 됨.
1694년~1716년: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 자리를 맡음. 그 후 [[베를린]]에서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주치의가 됨.
1734년 베를린에서 사망.
1734년 베를린에서 사망.
== 의학 ===
== 의학 ==
의학 이론에서 [[생물]]과 [[무생물]]을 엄격하게 구별했으며, [[애니미즘]]을 제창했다. 생물에는 그 활성 원리이자 비물질적인 [[아니마]](anima: [[영혼]], [[정신]], [[생명]])가 존재하여 생명의 여러 활동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질병]]은 이 아니마가 잘못되거나 외부에서의 저해에 의해 생겨나고 이를 치료하려면 아니마에 의한 자연적 과정을 도와야 한다. 그는 [[사혈]]과 같은 배출요법을 강조했다.
의학 이론에서 [[생물]]과 [[무생물]]을 엄격하게 구별했으며, [[애니미즘]]을 제창했다. 생물에는 그 활성 원리이자 비물질적인 [[아니마]](anima: [[영혼]], [[정신]], [[생명]])가 존재하여 생명의 여러 활동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질병]]은 이 아니마가 잘못되거나 외부에서의 저해에 의해 생겨나고 이를 치료하려면 아니마에 의한 자연적 과정을 도와야 한다. 그는 [[사혈]]과 같은 배출요법을 강조했다.
== 화학 ===
== 화학 ==
[[플로지스톤설]]을 주장하였다. 이 설은 여러 가지 약점이 있었지만 당시 [[산소]]기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산화]]현상을 통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어서 여러 화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 가설은 훗날 [[앙투안 라부아지에|라부아지에]]에 의해 반증된다.
[[플로지스톤설]]을 주장하였다. 이 설은 여러 가지 약점이 있었지만 당시 [[산소]]기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산화]]현상을 통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어서 여러 화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 가설은 훗날 [[앙투안 라부아지에|라부아지에]]에 의해 반증된다.
== 저서 ===
== 저서 ==
*《진정(眞正)의학론》(1707)
*《진정(眞正)의학론》(1707)
*《황에 관한 논쟁》(1718)
*《황에 관한 논쟁》(1718)
{{주석}}
{{주석}}

2015년 7월 15일 (수) 13:40 판

틀:토막글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Georg Ernst Stahl), 1659년 10월 22일 ~ 1734년 5월 14일

독일의학자이자 화학자. 요한 요하임 베커와 함께 플로지스톤설의 기반을 형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생애

안스바흐에서 출생. 1683년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 취득. 1687년 작센-바이마르 공작 요한 에른스트 3세주치의가 됨. 1694년~1716년: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 자리를 맡음. 그 후 베를린에서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주치의가 됨. 1734년 베를린에서 사망.

의학

의학 이론에서 생물무생물을 엄격하게 구별했으며, 애니미즘을 제창했다. 생물에는 그 활성 원리이자 비물질적인 아니마(anima: 영혼, 정신, 생명)가 존재하여 생명의 여러 활동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질병은 이 아니마가 잘못되거나 외부에서의 저해에 의해 생겨나고 이를 치료하려면 아니마에 의한 자연적 과정을 도와야 한다. 그는 사혈과 같은 배출요법을 강조했다.

화학

플로지스톤설을 주장하였다. 이 설은 여러 가지 약점이 있었지만 당시 산소기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산화현상을 통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어서 여러 화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 가설은 훗날 라부아지에에 의해 반증된다.

저서

  • 《진정(眞正)의학론》(1707)
  • 《황에 관한 논쟁》(1718)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