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한국 한자|[[共]]<small>함께 '''공'''&nbsp;</small>[[感]]<small>느낄 '''감'''</small>}}
{{한국 한자|[[共]]<small>함께 '''공'''&nbsp;</small>[[感]]<small>느낄 '''감'''</small>}}
 
<del>[[공감.jpg|.jpg]]</del>
타인의 감정, 주장에 대하여 자신도 그렇다고 느끼는 것. 또는 눈치를 보면서 주변을 이해하는 능력. 능숙한 사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려면 타인의 마음에 공감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타인의 감정, 주장에 대하여 자신도 그렇다고 느끼는 것. 또는 눈치를 보면서 주변을 이해하는 능력. 능숙한 사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려면 타인의 마음에 공감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2021년 10월 25일 (월) 18:17 판

틀:한국 한자 .jpg 타인의 감정, 주장에 대하여 자신도 그렇다고 느끼는 것. 또는 눈치를 보면서 주변을 이해하는 능력. 능숙한 사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려면 타인의 마음에 공감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국, 일본 등 아시아권 국가에서는 특히 중요시되는 가치. 그렇기 때문에 아시아인들이 대체적으로 상호간의 소통을 중요시한다고 한다. 이러한 공감 능력이 결여되면 사회생활이 힘들다.

사이코패스, 자폐스펙트럼 환자들은 타인의 감정과 주변의 분위기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매우 저조하다. 때문에 동물이나 타인을 학대하는 데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자신 이외의 사람이 느끼는 정서적 고통에 무감각하다.[1]

공감 능력이 결여되고 자신만의 생각이 옳다고 생각하며, 남의 말을 듣지 않는 사람은 꼰대라고 불린다.

공감 능력이 떨어져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데[2] 공감 능력이 좋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주변에 사람이 많아지는 법이다.

일본에서는 공감이 학술적인 용어이다. 일상적으로는 동감(同感)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일본어로 된 댓글을 볼때 동감(同感)이라고 되어있으면 그건 공감한다는 뜻이다.

타고 나는 것이라 후천적인 향상이 거의 불가능하다.

각주

  1. 자신이 감정을 느끼는 것과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은 별개이다.
  2. 정확히는 정서적 공감은 없어도 인지적 공감이 발달하면 크게 상관이 없다. 그 반대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사회는 인지적 공감만을 중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