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고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중복 서술)
태그: 편집 취소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검정고시'''란 개인 사정으로 인해 정규 교육과정을 마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하여 정규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과 같은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한 시험을 말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가 존재하며, 1년에 2회, 4월과 8월 중에 치루어지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맞으면 합격<ref>전 과목 평균이 60점에 미달되더라도 60점을 넘은 과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목에 한해 과목 합격 처리된다.</ref>된다.
'''검정고시'''란 개인 사정으로 인해 정규 교육과정을 마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하여 정규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과 같은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한 시험을 말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가 존재하며, 1년에 2회, 4월과 8월 중에 치루어지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맞으면 합격<ref>전 과목 평균이 60점에 미달되더라도 60점을 넘은 과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목에 한해 과목 합격 처리된다.</ref>된다. 예전에는 어느 한 과목이 40점 미만으로 나온다면 낙제되었으나, [[2004년]]에 사라젔다.


== 시험 과목 ==
== 시험 과목 ==

2021년 8월 20일 (금) 14:31 판

개요

검정고시란 개인 사정으로 인해 정규 교육과정을 마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하여 정규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것과 같은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한 시험을 말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가 존재하며, 1년에 2회, 4월과 8월 중에 치루어지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맞으면 합격[1]된다. 예전에는 어느 한 과목이 40점 미만으로 나온다면 낙제되었으나, 2004년에 사라젔다.

시험 과목

초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과목이 필수 과목이며, 선택 과목에서 2과목을 선택하여야 한다. 선택 과목으로는 도덕, 체육, 음악, 미술, 실과, 영어 과목이 있으며, 이 중 2가지 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중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과목이 필수 과목이며, 선택 과목은 1과목이다. 도덕,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중 선택할 수 있으며, 보통은 도덕 과목을 가장 많이 선택한다.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한국사 과목이 필수 과목이며, 선택 과목은 중졸 검정고시와 마찬가지로 1과목. 중졸 검정고시와 같이 도덕,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중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덕을 가장 많이 선택하는 편.

각주

  1. 전 과목 평균이 60점에 미달되더라도 60점을 넘은 과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목에 한해 과목 합격 처리된다.